길이의 단위
1(인)치, 1자(척), 1보, 1마, 1리
1인치(inch)는 2.54cm 이다.
그런데 이 2.54센티미터라는 길이는 어디서 나온 것일까?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일까?
이 단위는 1/12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uncia에서 파생된 옛 영어의 'unce' 또는 'ynche'에서 유래되었다(위의 라틴어는 또다른 영국의 단위인 온스의 어원이기도 함). 옛 영어인 ynche는 1150년경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1세에 의해서 엄지손가락 손톱의 뿌리 부분의 폭으로 정의되었다.
단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하나는 작고, 또 하나는 중간이고, 나머지 하나는 큰 세 사람의 엄지손가락 폭을 더해서 그 수를 3으로 나누어 측정했다. 14세기초의 에드워드 2세의 통치 기간에는 1in가 "마르고 둥근 3개의 보리 낱알을 길이 방향으로 늘어놓은 것"으로 정의되었다.
어떤 시기에는 12개의 양귀비 씨앗을 결합한 길이로 1in가 정의되기도 했다. 1959년 이후 1in는 2.54㎝로 공식적으로 정의되었다
국어사전을 참고하면 1인치는 야아드 파운드 법에 의한 길이의 단위로 1피트의 12분의 1이며 1인치는 2.54cm라 되어 있다.
그러면 1피트의 길이는 어디에서 얻어진 길이일까?
[인치]를 우리말로 풀이해 보자. 1인치의 의미는 “손가락 한마디”를 의미하고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인지(둘째)손가락 한마디”를 의미한다. 인지는 사람의 손가락(人枝) 또는 사람의 둘째손가락(人指)을 의미하고 1인치는 “둘째손가락 한마디”를 의미한다.
바로 1인치의 기준이 되는 2.54cm는 둘째손가락 한마디에서 얻어진 길이이며 인지나 인치는 영문언어가 아니라 한글의 파생 언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치”는 “지(가지/손가락)의 끝 부분에 있는 (작은) 것”이란 의미에서 얻어진 것이며 이(齒)를 “치(齒)”라고 하는 이유도 이와 비슷하다. 손가락 한마디는 아주 작은 길이이기 때문에 작고 어린 물고기를 치어(穉魚)라 하기도 한다.
한 치의 길이는 1자의 10분의 1로 3.03cm로 알고 있다. 하지만 과거 상고(上古) 고대시대에는 한 치는 인치(inch)와 같이 인지손가락 한마디의 길이이지만 2.54cm가 아니라 2.53cm로 보았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치”와 “인치”는 같은 말이며 길이도 같은 2.54cm와 2.53cm 로 모든 길이의 기본(표준) 단위로 사용 되었다.
동부와 서부는 종교적 가치관(이념)의 차이 때문에 정치제도, 언어, 문화 등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그 차이의 중심에는 음양사상(서부)과 삼신사상(동부)이 있었다.
음양사상은 세상(원리)을 음(陰)과 양(陽) 이분구조로 보았기 때문에 2,4,6,8,10,12 짝수를 선호하였고 삼신사상은 1(하나)과 3(셋)의 관계 속에서 세상은 변화 발전되어 간다는 집일함삼(執一含三),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사상 때문에 1, 3, 6, 9, 12. 13. 1과 3의 배수를 중요시 했는데 이것이 길이의 단위에 그대로 적용되었다.
그래서 서부와 동부는 길이의 단위가 서로 달랐는데 동부와 서부를 구분하여 길이의 단위를 알아보자.
1인치=2.54cm
1치=2.53cm
* 1인치와 1치는 같다고 보아야 한다.
1자(척) 古代
1자=2.53 x 9 = 22.77 cm(동부 古代)
1척=2.53 x 10 =25.30 cm(서부 古代)
후기(後期)에 통합
1척(자)=2.53 x 12= 30.3 cm (동서부 통합)
1피트=2.54 x 12= 30.48 cm (참고)
1보=3자=22.8cm x 3 = 68.4 cm (동부)
1보=3척=25.3cm x 3 = 75.9cm (서부)
1리(上古代)
68.4cm x 6 x 9 = 3693cm = 37m (상고 시대)
68.4cm x 6 x 10 = 4104cm= 41m (고대 시대)
1리(한국)
68.4cm x 60 x 9 = 36936cm = 370m
68.4cm x 60 x 10 =4104cm=410m
(370+410)m ÷ 2 = 390m => 약 400m = 한국 1리
1리(중국)
25.3cm x 3 = 75.9cm
75.9cm x 60 x 10 = 45540cm = 455.4m
30.3cm x 3 = 90.9cm =1마(馬)
90.9cm x 60 x 10 = 54540cm = 545.4m
(455m + 545m) ÷ 2 = 500m = 중국 1리
1(인)치= 손가락 한마디(길이와 비슷)
1자= 한뼘
1보= 사람의 한걸음
1마(馬)= 말(馬)의 한걸음.
목재사이즈에서는 1자 단위는 30 cm이며, 1치 단위는 3cm고,1푼의 단위는 0.3cm 입니다
1치는 당초 3.03cm 이었으나 언제부터인지 3cm로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3 x 6 싸이즈 합판이나 석고보드는 900mm x 1800mm가 되었습니다.
<현재>
1자=30.30303cm
1보=6척(자)=1.81818m
1리=220보=400m
10리=4km
<과거>
1자=25cm
1보=6척(자)=1.5m
1리=360보=540m
10리=5.4km
*****************************************************************************************************************
1. 1미터:빛이 진공 중에서 2억9979만2458분의 1초 동안 이동한 길이다. 기호는 m.
2. 1인치:엄지손가락 폭의 길이인 2.54㎝에서 나왔단다. 기호는 in.
3. 1피트:1인치의 열두 배로 약 30.48㎝에 해당한다. 기호는 ft.
4. 1야드:1피트의 세 배로 91.44㎝에 해당한다. 기호는 yd. 12세기 영국 헨리 1세가 팔을 뻗었을 때 코 끝에서 엄지손가락 끝까지 길이를 기준으로 정해졌단다.
5. 1마일:1야드의 1760배로 약 1.6㎞에 해당한다. 기호는 mil. 라틴어 ‘Mille’(1000)가 어원으로, 로마시대 행군 단위인 ‘1000 더블페이스’에서 나왔다. 더블페이스란 양발을 한 번씩 걸은 2보 거리(약 1.6m)를 뜻한다.
6. 1리:약 400m에 해당한다.
7. 1척:1자라고도 하며, 그 길이는 30.3㎝다. 손을 폈을 때의 엄지손가락 끝에서 가운데손가락 끝까지의 길이에서 비롯되었다.
8. 1치:1자의 10분의 1이며, 길이는 3.03㎝다.
9. 1푼:1치의 10분의 1이며, 길이는 0.303㎝다.
10. 1모:1푼의 10분의 1이며, 길이는 0.0303㎝다.
11. 1길:원래 사람의 키를 기준으로 한 것인데, 처음엔 짧다가 차차 길어져서 8척 또는 10척을 한 길이라 하게 되었다. 물건의 높이나 깊이를 어림잡는 데 쓰인다. (예)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12. 1해리:자오선(子午線)의 위도(緯度) 1의 평균거리인 1852m를 말한다. 보통 바다 위나 공중의 긴 거리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기호는 nmile.
*********************************************************************************************************************************
활의 세기는 보통 파운드로 구분하는데, 1파운드는 약 453그램을 드는 것과 같은 힘의 세기를 뜻한다.
파운드 단위를 사용하는 것은 양궁이 들어오면서 부터일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힘의 세기를 세는 단위가 마땅한게 없기 때문.
화살은 '치'와 '푼'을 길이에 사용하고, 무게는 '돈'으로 따지고 있다.
전통적인 단위의 한 치는 약 3.03cm이고, 푼은 그의 10분의 1을 뜻한다.
무게 단위인 돈은 약 3.75그램 정도이다.
이 길이는 화살의 촉 끝에서부터 오늬 속까지의 길이에 해당한다.
오늬 속에 시위를 끼우기 때문에, 시위에서부터 촉끝까지 실제로 당길 수 있는 범위로 길이를 규정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