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아래 그림과 같이 버츄얼덥을 실행시켜서 File->Open Video File 을 클릭해서
자르고자 하는 동영상을 불러옵니다.
다음으로 버츄얼덥의 아래 슬라이드바를 움직여서 자르고자 하는 구간으로
옮겨다 놓습니다.
여기서 체크하나 하셔야합니다.
동영상이 낱개의 그림들이 수십, 수백장으로 이뤄져 있다는걸 아실겁니다.
이를 용어로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프레임을 설명하자면긴데.. 기본적으로 프레임은 델타프레임과 키프레임이
있습니다.
키 프레임은 한장의 완전한 그림을 말하는것이고, 델타프레임은 앞의 키프레임
에서 변화된 정보만을 담고 있는 프레임입니다.
버츄얼덥에는 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이 슬라이드바 밑에 여러버튼 중 열쇠버튼이
있죠?
이것이 키 프레임을 찾아주는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클릭해서 정확한 키 프레임을 찾아줍니다.
한장의 완전한 그림으로 이뤄진 키 프레임구간을 잘라주어야 동영상이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잘립니다.^ ^
델타프레임구간을 임의로 자르게 되면 제대로 된 영상을 얻지 못할수도 있다는걸
명심 ^^!
(물론 델타프레임을 자른다고 해서 항상 오류가 나지는 않습니다
자.. 이제 키 프레임을 찾았으니 자르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이는 여러 버튼중 가장 오른쪽에 있는 두개의 검은색 화살표버튼중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 다음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에서 네번째 화살표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그 다음 그림과 같이 파란색으로 슬라이드바 구간이 지정이 됩니다.
구간지정이 끝났다면 다음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Video -> Direct Stream Copy 를 클릭합니다.
Direct Stream Copy 는 영상의 압축이나 손실없이 그대로 편집을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저장시간이 상당히 빠릅니다.
하지만 그림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Direct Stream Copy 모드가 되면 Filter, Color depth, Compression 의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Fullprocessing Mode 로 작업해야 합니다.
지금은 단순히 파일을 자르는작업이기 때문에 Direct Stream Copy 로 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File->Save As 를 선택하셔서 지정된 구간을 저장합니다.
자.. 여기서 또 뽀인트 하나..
저장창에 뭔가 적혀있습니다..
무시하고 저장하셔도 상관없지만 이왕이면 한번 살펴 봅시다 ^^
가장 위의
'Don't run this job now, add it to job control so I can run it batch mode'
휴.. 영어 쓰기 힘들군요;
해석하자면.. 지금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Job control 에 추가했다가 일괄적으로 작업하겠다.. 라는 뜻인거 같습니다.. 아니면 말고;
버츄얼덥은 기본적으로 편집프로그램이지만 가~~~~장 주목받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DVDRIP 기능때문이기도 합니다.
DVDRIP 과정은 보통 2PASS 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를 대비해서 Job control 기능이 있는것입니다.
1pass 와 2pass 작업을 연동시켜서 하기 위함이라고 아시면 되겠습니다
요새는 저 Job control 기능이 별로 소용이 없습니다..
요새 코덱은 모두 2 pass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 ^;;
여튼 각설하고.. 당연히 체크는 풀어주셔야 바로 작업하실 수 있습니다.
뭐.. 앞부분과 뒷부분자르는 작업을 동시에 하고자 하신다면 Job control 에다가
저장하신후에 일괄작업을 하셔도 무관합니다 ^^
다만.. 전 그렇게 하지 않기 때문에! Job control 사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다음으로 Save AVI in old.. 어쩌고 저쩌고..
이건 몰라도 편집하는데 아무 지장없으니 걍 넘어갑시다;
그다음 Segment output file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는 파일을 용량이나 프레임에 맞춰서 저장한다는 뜻입니다.
체크 해 주시면 아래 두개의 박스가 활성화 됩니다.
첫번째가 프레임수이고, 두번째가 용량입니다.
프레임대로 저장하실분은 별루 없겠죠 ^^;;
원하고자 하는 용량에 따라 잘라서 저장하고 싶으신분들은 원하시는 용량을 두번째 박스에 적어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혹시나 하는 어머니의 마음으로 말씀드리는것인데..
분명 '잘라서' 저장하는 겁니다.
저 부분을 이전에 작업해서 자른부분의 최종용량으로 착각하시는분들이 없길
바랍니다 ^^;
한가지 예를들어서 만일 저 부분에 10 MB 를 입력한다고 칩니다.
원래 자르고자 하는 파일의 크기가 50 MB 라면 10 MB 씩 쪼개져서 5 개의 파일로
저장된다는 얘기올시다 ^ ^;
그다음 밑부분은.. 아까 위에서 설명드렸다시피, Direct Stream Copy 와 다른
작업모드들에 관한것입니다.
Direct Stream Copy 에서 Compression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있었기 때문에 아래 Compression 부분이 비활성화되어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모든게 이해 되셨다면 저장을 하시면 됩니다 ^ ^
작업시간은 대략 1 분에서 2 분 내외.. 파일 용량이 크다면 더 걸리겠죠..ㅎ
끝~~~
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지만 뒷부분도 저장을 해야겠죠?
뒷부분을 저장하기 위해서 Edit ->Move to selection end 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 그림과 같이 이전에 자르기 작업을 시행했던 마지막 프레임으로 슬라이드
바가 이동하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에서 일곱번째 버튼을 눌러서 엔드프레임으로
이동시킵니다.
그 다음으로 마지막 검은색 화살표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파란색 구간이 지정이
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 다음부터는 앞부분자르기 작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
우선 아래 그림과 같이 버츄얼덥을 실행시켜서 File->Open Video File 을 클릭해서 자르고자 하는 동영상을 불러옵니다.
다음으로 버츄얼덥의 아래 슬라이드바를 움직여서 자르고자 하는 구간으로 옮겨다 놓습니다.
여기서 체크하나 하셔야합니다.
동영상이 낱개의 그림들이 수십, 수백장으로 이뤄져 있다는걸 아실겁니다. 이를 용어로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프레임을 설명하자면긴데.. 기본적으로 프레임은 델타프레임과 키프레임이 있습니다. 키 프레임은 한장의 완전한 그림을 말하는것이고, 델타프레임은 앞의 키프레임에서 변화된 정보만을 담고 있는 프레임입니다. 버츄얼덥에는 그림에서 보는것과 같이 슬라이드바 밑에 여러버튼 중 열쇠버튼이 있죠? 이것이 키 프레임을 찾아주는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클릭해서 정확한 키 프레임을 찾아줍니다.
한장의 완전한 그림으로 이뤄진 키 프레임구간을 잘라주어야 동영상이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잘립니다.^ ^ 델타프레임구간을 임의로 자르게 되면 제대로 된 영상을 얻지 못할수도 있다는걸 명심 ^^!(물론 델타프레임을 자른다고 해서 항상 오류가 나지는 않습니다 ^_^;; 그러니 겁먹지 마시길..ㅎ)
자.. 이제 키 프레임을 찾았으니 자르고자 하는 영역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이는 여러 버튼중 가장 오른쪽에 있는 두개의 검은색 화살표버튼중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다음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에서 네번째 화살표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그 다음 그림과 같이 파란색으로 슬라이드바 구간이 지정이 됩니다.
구간지정이 끝났다면 다음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Video -> Direct Stream Copy 를 클릭합니다. Direct Stream Copy 는 영상의 압축이나 손실없이 그대로 편집을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저장시간이 상당히 빠릅니다. 하지만 그림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Direct Stream Copy 모드가 되면 Filter, Color depth, Compression 의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Fullprocessing Mode 로 작업해야 합니다.
지금은 단순히 파일을 자르는작업이기 때문에 Direct Stream Copy 로 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File->Save As 를 선택하셔서 지정된 구간을 저장합니다.
자.. 여기서 또 뽀인트 하나.. 저장창에 뭔가 적혀있습니다.. 무시하고 저장하셔도 상관없지만 이왕이면 한번 살펴 봅시다 ^^
가장 위의 'Don't run this job now, add it to job control so I can run it batch mode' 휴.. 영어 쓰기 힘들군요; 해석하자면.. 지금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Job control 에 추가했다가 일괄적으로 작업하겠다.. 라는 뜻인거 같습니다.. 아니면 말고; 버츄얼덥은 기본적으로 편집프로그램이지만 가~~~~장 주목받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DVDRIP 기능때문이기도 합니다. DVDRIP 과정은 보통 2PASS 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를 대비해서 Job control 기능이 있는것입니다. 1pass 와 2pass 작업을 연동시켜서 하기 위함이라고 아시면 되겠습니다 요새는 저 Job control 기능이 별로 소용이 없습니다.. 요새 코덱은 모두 2 pass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 ^;;
여튼 각설하고.. 당연히 체크는 풀어주셔야 바로 작업하실 수 있습니다. 뭐.. 앞부분과 뒷부분자르는 작업을 동시에 하고자 하신다면 Job control 에다가 저장하신후에 일괄작업을 하셔도 무관합니다 ^^ 다만.. 전 그렇게 하지 않기 때문에! Job control 사용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다음으로 Save AVI in old.. .. 이건 몰라도 편집하는데 아무 지장없으니 걍 넘어갑시다;
그다음 Segment output file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는 파일을 용량이나 프레임에 맞춰서 저장한다는 뜻입니다. 체크 해 주시면 아래 두개의 박스가 활성화 됩니다. 첫번째가 프레임수이고, 두번째가 용량입니다. 프레임대로 저장하실분은 별루 없겠죠 ^^;; 원하고자 하는 용량에 따라 잘라서 저장하고 싶으신분들은 원하시는 용량을 두번째 박스에 적어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혹시나 하는 어머니의 마음으로 말씀드리는것인데.. 분명 '잘라서' 저장하는 겁니다. 저 부분을 이전에 작업해서 자른부분의 최종용량으로 착각하시는분들이 없길 바랍니다 ^^;
한가지 예를들어서 만일 저 부분에 10 MB 를 입력한다고 칩니다. 원래 자르고자 하는 파일의 크기가 50 MB 라면 10 MB 씩 쪼개져서 5 개의 파일로 저장된다는 얘기올시다 ^ ^;
그다음 밑부분은.. 아까 위에서 설명드렸다시피, Direct Stream Copy 와 다른 작업모드들에 관한것입니다. Direct Stream Copy 에서 Compression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있었기 때문에 아래 Compression 부분이 비활성화되어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모든게 이해 되셨다면 저장을 하시면 됩니다 ^ ^ 작업시간은 대략 1 분에서 2 분 내외.. 파일 용량이 크다면 더 걸리겠죠..ㅎ
끝~~~
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지만 뒷부분도 저장을 해야겠죠?
뒷부분을 저장하기 위해서 Edit ->Move to selection end 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 그림과 같이 이전에 자르기 작업을 시행했던 마지막 프레임으로 슬라이드 바가 이동하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에서 일곱번째 버튼을 눌러서 엔드프레임으로 이동시킵니다.
그 다음으로 마지막 검은색 화살표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파란색 구간이 지정이 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 다음부터는 앞부분자르기 작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 |
'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도 9계훈 (0) | 2007.11.22 |
---|---|
ISO 이미지 파일을 시디 레코딩 하는 방법 (0) | 2007.10.17 |
예쁜 한글 폰트 따운받으셔서 유용하게 쓰세요 (0) | 2007.09.06 |
편지지에서 늘어나지 않는 부분 해결 (0) | 2007.08.31 |
음악CD 굽기 (0) | 2007.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