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십훈(健康十訓)

은오 2008. 4. 18. 09:42
 

                                 □ 건강십훈(健康十訓)

 

         


              -첫째:소육다채(小肉多菜)


     즉 육식을 적게 하고 채소를 많이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불교에서는 육식을 금기하고 있지만 불교신자들은 가능한 한

     육식을 피하고 먹는다 하더라도 적게 먹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 대신 채소를 많이 먹어서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과 무기질을 공급할 것을 권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불교에서는 모든 고기를 금하고 있다는 것이 상식으로 알고 있지만

     금하는 고기는 개고기와 말고기뿐이다

         



               -둘째:소식다작(小食多嚼)


     가능한 적게 먹고 잘 씹어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장수의 비결이 바로 적게 먹는 소식에 있다.

     주역에서도 '복육분천수'라 하여 자기 식량의 6할만 먹으면

     하늘이 준 수명까지 살 수 있다 했다.

     이와 같이 적게 먹되 그것도 소박하게 식사하라 권하고 있다. 

     적게 먹으면 정신이 맑아지고 성인병도 예방 할 수 있다는 것이

     현대의학의 지론이다


         


 

             -셋째:소염다혜(小鹽多醯)


     염분을 적게 먹고 식초는 많이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소금은 만병에 해롭다는 현대 의학적 해석으로 염분의 섭취를 줄일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염분을 적게 쓰고도 먹을 수 있게 하려면 초를 조금 섞으면 염분이 적어도 간이

     맞는다는 말이다. 염분을 적게 먹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넷째:소의다욕(小衣多浴)


     옷은 가능한 한 적게 입고 목욕은 자주 하라는 말이다.

     옷을 많이 입으면 질병을 방어하는 면역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적게 입되, 목욕은 자주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할 것을 권장 하는 건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이다.


         


 

                -다섯째:소번다면(小煩多眠)


     근심은 적게 하고 잠은 푹 자라는 말이다.

     사람이 살아가자면 좋은 일도 많겠지만 어려운 일도 있기 마련이다.

     근심 걱정 불안 초조 등 스트레스를 빨리 풀지 않으면

     그것이 병을 만들기 때문에 가능한 한 근심을 빨리 잊어버려야 한다는 충고이다.

     그 대신 피로를 회복하는 데는 잠 이상 없을 것이다.   


         


 

             

                -여섯째:소욕다시(小慾多施)


     욕심을 적게 하고 남에게 많이 베풀라는 말이다.

     욕심은 끝이 없다

     욕심을 가지면 가질수록 근심과 불안이 따라 다니기 마련이다.

     그래서 건강 장수의 비결로 마음을 비우라 하지 않던가.

     태어날 때 빈손으로 왔 다가 어차피 빈손으로 갈 길인데(공수래 공수거)

     먹고 살 만큼만 가지면 될 것이다.

     부처님의 자비가 그렇고 예수님의 사랑이 그렇다

     또한 공자님의 말씀도 그렇치 않는가

     남에게 베풀면 그것이 하늘에 닿아 복록(福祿)수를 누린다는 애기다

 


         


                 -일곱째:소당다과(所糖多果)

 

     설탕은 적게 먹고 과일은 많이 먹어야 좋다는 말이다.

     설탕은 비만 등 만병의 근원이기 때문에 적게 먹되, 과실을 많이 먹음으로써

     우리에게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를 충분히 공급하라는 것이다.


         


   

            -여덟째:소차다보(小車多步)


     가능하면 차를 적게 타고 많이 걸으라는 말이다.

     유산소 운동 중에 최고가 걷기이다.

     결국 차를 적게 타고 많이 움직이라는 말로서 걷기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아홉째:소언다행(小言多行)


     가능하면 말은 적게하고 행동으로 실행을 많이 하라는 말이다.

     우리 속담에 침묵은 금이라고 했다.

     말이 많으면 실수하기 쉽고 가볍다는 인상을 준다.

     그 대신 말보다는 실천에 중점을 두고 생활을 하면 실수가 적고

     남으로부터 인정을 받게 된다는 뜻이다

 

 

         


 


              -열째: 소분다소(小憤多笑)


     화는 적게 내고 많이 웃으라는 말이다.

     화를 내면 남에게도 피해를 주겠지만 자신의 건강을 해친다는 경고이다.

     대신 많이 웃으면 건강에도 좋고 가정도 화목하며 직장도 밝아진다




         




                               
2_1208478400219.jpg
0.02MB
3_1208478400369.jpg
0.02MB
7_1208478400950.jpg
0.03MB
8_120847840180.jpg
0.01MB
4_1208478400509.jpg
0.01MB
5_1208478400669.jpg
0.02MB
6_1208478400809.jpg
0.02MB
9_1208478401220.jpg
0.02MB
10_1208478401370.jpg
0.02MB
11_1208478401500.jpg
0.02MB
무제-1 복사_1208478401661.jpg
0.02MB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별 체했을 때 방법  (0) 2008.04.23
6대암 조기발견방법  (0) 2008.04.23
코막힘에 좋은 차  (0) 2008.04.17
잠, 6시간의 비밀  (0) 2008.04.14
남자가 더 살빼기 쉬운 5가지 이유  (0) 2008.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