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41가지이다.
복룡간(伏龍肝)
즉 아궁바닥흙( 心土)이다. 피를 멎게 하는 데는 제일 좋은 약이다. 대체로 성질이 조(燥)한 약은 습을 없앤다[탕액].
○ 붉은 이슬(血露)을 치료하는 데는 잠사, 갖풀(아교) 각각 40g과 복룡간 20g을 쓰는데 함께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본초].
백초상(百草霜)
혈붕을 치료한다.
○ 가루내어 8g을 구담즙(狗膽汁)에 반죽하여 두번에 나누어 당귀술에 타 먹는다[본초].
망초, 박초(芒硝, 朴硝)
이것은 달거리가 나오지 않고 중단된 것과 징가( )를 치료한다. 가루내어 4g씩 빈속에 식초 끓인 물로 먹는다[본초].
건지황(乾地黃, 마른지황)
애기집에서 피가 조금씩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익모초(益母草)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꽃이 필 때 베다가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세번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본초].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멎게 한다. 닦아서 8g씩 더운물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당귀(當歸)
붕루와 달거리가 고르지 못한[不利]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혈적(血積)에는 당귀 16g과 마른옻(건칠) 12g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5알씩 술로 먹는다[양방].
황금(黃芩, 속썩은풀)
달거리가 중단된 것과 이슬이 조금씩 나오면서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 혈붕에는 속썩은풀(황금)을 가루내어 8g씩 쓰는데 불에 달군 저울추를 담갔던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양방].
작약(芍藥, 함박꽃뿌리)
달거리가 중단되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백지(白芷, 구릿대)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데는 구릿대(백지) 40g, 오징어뼈(오적어골, 불에 태운 것) 2개, 태발 1뭉치(불에 태운 것) 등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빈속에 술에 타 먹는다[양방].
산장초(酸漿草, 꽈리)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그늘에 말려 가루내어 한 번에 8g씩 빈속에 술에 타 먹는다[본초].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여자의 생식기와 관련된 12가지 병을 주로 치료한다. 1. 벌건 이슬이 많은 것 2. 흰이슬이 많은 것 3.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 4. 음부가 허는 것 5. 애기집이 뜬뜬해진 것[堅] 6. 애기집이 비뚤어진 것 7. 성생활을 하면 음부가 아픈 것 8. 아랫배가 차고 아픈 것 9. 애기집이 막힌 것 10. 애기집이 냉한 것 11. 꿈에 헛것과 성교하는 것 12. 5장(五藏)이 온전하지 못한 것 등이다. 또한 붕루가 멎지 않는 것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면서 여위며 뼈만 남는 데는 오이풀뿌리(지유) 600g을 썰어서 물에 넣고 고약처럼 되게 달여 한번에 2홉씩 하루 두번 빈속에 먹는다[양방].
궁궁(芎궁)
붕루를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혈붕을 치료하는 데는 궁궁이(천궁) 40g을 썰어서 술 5잔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생지황즙 1잔을 넣고 다시 두세번 끓어오르게 달여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양방].
애옆(艾葉, 약쑥잎)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먹는다.
○ 혈붕에는 약쑥잎(熟艾) 큰달걀(鷄子大)만큼, 아교주 20g, 건강(싸서 터지게 구운 것) 4g을 함께 달여서 먹는다[본초].
대계, 소계(大계, 小계 , 엉겅퀴, 조뱅이)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다 치료한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 혈붕에는 엉겅퀴(대계)와 조뱅이뿌리 200g과 띠뿌리(모근) 120g을 술에 달여서 먹는다[양방].
목단피(牧丹皮, 모란껍질)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삼릉(三稜)
달거리를 나오게 하고 혈가(血가)를 헤친다[破].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현호색(玄胡索)
달거리가 고르지 못한[不調] 것과 피가 나오면서 이슬이 조금씩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대황(大黃)
달거리가 막혀 배가 붓는 것과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가 오랫동안 몰려 있어서 징가(징가)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상목이(桑木耳, 뽕나무버섯)
달거리가 고르지 못한[不調] 것과 붕루, 이슬이 흐르는 것, 달거리가 막히고 피가 엉킨 것을 치료한다. 술에 달여서 먹거나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는다.
○ 홰나무버섯도 역시 같다[본초].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적당한 양을 달걀 흰자위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끓인 물로 먹으면 낫는다[회춘].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껍질)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뿌리속껍질을 썰어서 크게 1줌을 물 1되에 넣고 달여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 가루를 내어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도 좋다[회춘].
상실각(橡實殼, 도토리껍질)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 먹는다.
○ 도토리껍질(상실각)과 도꼬마리(창이)를 태워 가루내어 쓰는데 사물탕에 구릿대(백지)와 건강(싸서 구운 것)을 넣어서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종려피(棕櫚皮)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백반(구운 것)과 함께 섞어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는다. 또한 여기에 수세미오이속(絲瓜)을 태워 같은 양으로 넣어서 가루를 내어 소금 끓인 물에 타 먹어도 된다[본초].
모려(牡蠣, 굴조개껍질)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식초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이것을 다시 불에 구워 보드랍게 가루낸 다음 식초에 달여 만든 약쑥고약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식초와 약쑥(애엽)을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별갑(鼈甲, 자라등딱지)
5가지 빛깔이 나는 이슬이 흐르면서 몸이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누렇게 되도록 구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는다. 또한 자라고기국을 끓여서 늘 먹어도 좋다[본초].
잠퇴지(蠶退紙, 누에알깐종이)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내어 미음에 타 먹는다[본초].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혈고와 붕루를 치료하는데 달거리를 통하게도 한다.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만려어(鰻려魚, 뱀장어)
부인의 이슬과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국을 끓여 먹거나 구워 먹어도 다 좋다[본초].
모서시(牡鼠屎, 무서시)
처녀가 달거리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먹이되 환자가 알지 못하게 해야 한다[본초].
맹충(맹蟲, 등에)
처녀가 달거리가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어혈(瘀血)을 몰아내고 몰린 피[積血]를 흩어지게 하며 달거리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날개와 발을 떼버리고 닦아서 가루를 내어 식초 끓인 물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수지(水蛭, 거머리)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하는데 피를 흩어지게 하는 데는 제일 좋다. 여러 토막으로 잘라서 석회와 함께 두세번 닦아 가루를 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오령지(五靈脂)
달거리를 나오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혈붕이 멎지 않는 것과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닦은 것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형개수(荊芥穗)
붕루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먹는다[양방].
촉규화(蜀葵花)
빨간 꽃은 벌건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고 흰꽃은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
○ 잎이 하나씩 붙은 벌건 촉규화의 뿌리는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는데 피고름[膿血]도 아주 잘 빨아낸다[본초].
수근(水芹, 미나리)
붕루와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김치를 담가 먹거나 삶아서 먹거나 생것으로 먹어도 다 좋다[본초].
녹각교(鹿角膠)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닦아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다 좋다[본초].
녹용(鹿茸)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구워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녹각을 태워 가루를 내어 먹는 것도 좋다.
작육(雀肉, 참새고기)
혈붕과 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구워 먹거나 끓여서 먹는다[본초].
우각새(牛角 , 소뿔속뼈)
혈붕이 멎지 않는 것과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멎게 한다.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황구두골(黃狗頭骨, 누렁개의 대가리뼈)
붕루와 벌겋고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태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개의 음경(陰莖)과 음낭[陰卵]은 여자의 생식기[帶下]와 관련된 12가지 병을 치료한다. 태워 가루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밥적게 먹고도 배부른 방법 5가지 (0) | 2008.07.28 |
---|---|
손발과 장기의 대응점 (0) | 2008.07.27 |
큐마토 (0) | 2008.07.24 |
옻의 효능 (0) | 2008.07.23 |
아스피린을 마드는 원료 버드나무 (0) | 2008.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