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릅나무의 약명은 유피, 유근피라고 한다.
갖가지 종기나 종창에 신기한 효험이 있다. 소변을 잘 나오게하고 살결을 아름답게 한다.
약재에 대하여 느릅나무는 아름답고 깔끔한 인상을 주는 나무다. 느티나무와 닮았으며 산 속 물가나 계곡 근처에서 자란다.
그 껍질을 유피,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느릅나무는 그 껍질이 상당히 질겨서 옛날에는 이 질긴 껍질을 꼬아서 밧줄이나 옷을 만들기도 했다. 느릅나무에는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참느릅나무와 둥근 참느릅나무, 좀참느릅나무는 열매가 9~10월에 익고, 당느릅나무, 혹느릅나무, 떡느릅나무 등은 4~5월에 익는다. 이들 나무는 열매 익는 시기와 껍질의 생김새만 다를 뿐 잎 모양이나 약으로의 쓰임새는 같다.
기적을 일으키는 자연요법 "유근피" 무엇보다 속이 편안해야 하루가 편안하고 매사가 잘 풀린다. 속이 더부룩하거나 답답할 때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우리가 먹는 모든 것을 담당하는 ‘위장’이다.
먹거리 맛거리가 어느때보다 풍성한 시대지만 너무 잘 먹어서 오히려 병이 생기는 사람이 늘고 있다. 평소 먹는 음식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위장을 건강하게 만드는 게 급선무다. 유근피(느릅나무 뿌리껍질)는 예로부터 위장병 치료에 널리 쓰여 온 약재다
느릅나무
: 교목(喬木 : 줄기가 굳고 굵으며 높이 자라는 나무)의 한 종류. 키가 크게 자라며 꽃이 피면 담자색(淡紫色)을 띤다. 꽃이 지면 열매를 맺는다.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납작하고 평평하며 찢어진 흔적같은 결이 있어 쉽게 벗겨낼 수 있다.느릅나무는 옛 중국과 한국에서 약으로 써왔다.
유근피의 효능
유근피(느릅나무 뿌리 껍질)는 각종 암처방과 종창·비위질환에 중요한 약재로 쓰인다. 특히 여자의 자궁과 유방질환 치료에는 주장약으로 쓰이며, 평소 음주 후에 속이 쓰리거나 염증을 잘 앓거나 속이 좋지 않을 경우 유근피를 은은한 불에 오래 달여 죽염을 적당히 타 먹으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 부스럼과 종기가 난 곳에 잘 듣습니다.
◆ 위하수,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효과가 있습니다.
◆ 배가 사르르 아프고 소화가 안될 때 좋습니다.
◆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통하게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축농증과 중이염에 잘 듣습니다.
◆ 종기, 종창과 곪은 상처에 효과가 있습니다.
◆ 여성의 피부를 곱게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 자궁과 유방 질환에 잘 듣습니다.
동의보감에서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낮게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한 위궤양, 위염, 위하수 등 각종 위장 질환에 잘 듣는다고 합니다.
만드는 방법
유근피 20g에다가 두 대접의 물을 넣고 30분 정도 달여 한 대접이 되면 그 물을
하루 분량으로 정해 1일 3회씩 드세요..
1. 유근피를 떡으로
잘 말린 유근피를 가루 내어 율무 가루와 섞어 반죽한 다음 떡을 찝니다. 유근피와 율무를 3:1의 비율로 하고 물은 조금만 넣고 반죽합니다. 유근피 가루는 거품이 많이 일어 물이 많으면 너무 질어 반죽하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유근피 떡은 위하수, 위궤양, 소화불량에 도움을 준답니다.
2. 유근피 찜질법
자궁이나 직장의 종창, 치질 등에 쓴다. 우선 유근피를 물에 불린 다음 짖찧어 환부에 붙인 후 오래묵은 기와장을 불에 달군 다음 유근피 위에 대고 찜질을 합니다. 하루 두 번씩 유근피를 갈아 붙이고 찜질을 계속하면 신열과 온몸의 통증이 수그러들고 증상이 점차로 호전된다고 합니다.
3. 유죽액
유죽액이란 유근피와 죽염을 섞어 액으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유근피에 3배의 물을 넣고 약한 불에 오래(24시간 정도) 끓인 다음 찌꺼기는 버리고 물만 따라 둡니다. 이물에 죽염을(유근피액2:죽염1) 타서 다시 은은한 불로 1-2시간 졸입니다. 이 유죽액은 비 위 신장의 각종 질병에 복용 하거나 관장 주사기를 이용하여 관장하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