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를 프린터로 인쇄하는 대신 그림 파일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그림 형식 이미지로 저장해 둔 문서 파일은 필요할 때
마다 그대로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따라 하기
1. 그림으로 저장할 문서를 불러와 [파일-보내기-그림으로 저장하기]을 실행합니다.
2. [인쇄]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프린터-그림으로 저장하기”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인쇄] 단추를 누릅니다.
3. [그림으로 저장하기]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위치]에서 파일을 저장할 드라이브를 지정합니다.
4. 파일 목록 창에서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열고, [파일 형식] 목록 단추를 눌러 저장할 그림 파일 형식을 지정합니다.
5. [파일 이름] 입력 상자에 저장할 파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6. [선택 사항] 단추를 눌러 저장할 그림 파일의 해상도와 색을 지정합니다.
7. [저장] 단추를 누릅니다.
■ 자세한 정보
● 파일 이름
문서를 그림 파일로 저장할 때에는 쪽(페이지) 단위로 하나씩 파일을 만들어 저장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파일 이름의 뒤쪽에 파일의 이름을 구별하기 쉽도록 쪽별로 3글자의 일련 번호를 붙여 줍니다.
첫째 쪽은 정해 준 이름 뒤에 001을 붙이고, 둘째 쪽은 002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저장할 그림 파일의 이름을 SAMPLE.BMP라고 지정했다면, 실제로 만들어지는 그림 파일은
SAMPLE001.BMP, SAMPLE002.BMP...입니다.
● 파일 형식
그림 파일로 저장할 때의 파일 형식은 BMP(*.bmp), GIF(*.gif), PNG(*.png), JPG(*.jpg), WMF(*.wmf)의 5가지 형식 중에서
하나를 고를 수 있습니다. 처음 값은 BMP(*.bmp)입니다.
● 해상도
[그림으로 저장하기] 대화 상자의 [선택 사항] 단추를 눌러, 그림 파일로 저장할 때의 해상도를 96, 150, 200, 300DPI
(인치당 점의 수) 중에서 선택합니다. 해상도가 크다는 것은 더 정밀하다는 뜻이지만, 그만큼 파일 크기가 커져 저장 시간도
더 걸리게 됩니다.
해상도의 처음 값은 96DPI이며, 이 값은 현재 화면에 보이는 모양을 100% 크기로 저장합니다.
● 색 지정
저장할 그림 형식 이미지를 흑백으로 저장할 것인지, 16색 칼라로 저장할 것인지, 256색 칼라로 저장할 것인지 정합니다.
처음 값은 256색 칼라입니다.
■ 참고
● 그림 형식
그림 파일로 저장할 때의 파일 형식은 BMP(*.bmp), GIF(*.gif), PNG(*.png), JPG(*.jpg), WMF(*.wmf) 등입니다.
BMP: 윈도우 표준 비트맵 그림 형식
GIF: 컴퓨서브에서 만든 통신을 위해서 주로 이용하는 그림 형식
JPEG: 트루칼라의 화질을 그대로 보존하면서도 파일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그림 형식
WMF: 윈도우 표준 외곽선 방식의 그림 형식
PNG: 웹 디자인을 위하여 만들어진 그림 형식(Portable Network Graphic)
다른방법은
1. 문서를 엽니다.
2. 화면에 맞게 미리보기를 이용하여 화면에 맞추어줍니다.
3. 그상태에서 키보드의 Prt ScSysRp(print screen) 키를 동시에 눌러 저장한다.
4. 시작 =>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그림판 하여 그림판을 엽니다.
5. Ctrl + V (붙혀넣기)를 하여 캡쳐 화면을 넣습니다.
6. 자르기 툴을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자릅니다.
7. 새로만들기를 하여 자른 이미지를 다시 붙이기를 하면 됩니다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씨 외곽선이 깨진다? (0) | 2009.10.06 |
---|---|
한글문서를 그림화일로 저장하기 (0) | 2009.03.19 |
그림위에 글씨를 삽입하고 싶을 때 (0) | 2008.10.29 |
커서위치에 그림을 붙이고 싶은데 안될 때 (0) | 2008.10.29 |
그림으로 출력물을 채우고 싶을 때 (0) | 200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