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용어 정리(CAM , DIVX , PDIVX , SBC)
1. CAM (소위 캠버젼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극장에서 영화가 개봉되면 영화를 관람하시는 분이 캠코더를 가지고 가셔서 직접 촬영하여 영화를 보시고 싶은 분들에게 배포한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화면이 흔들리거나 너무 어두운 경향이 있으며 화질도 별로 좋지 않습니다. 보존차원이 아닌 감상차원으로 보시면 되겠죠.
캠코더를 극장에 들고 가서 직접 찍은 것을 MPEG-1 으로 인코딩한 것입니다. 더 자세히 설명 하자면 Z, NB, NA 등의 릴리즈 그룹들이 유명합니다. 캠 버전이 돌면 이것을 다시 DivX 로 인코딩해서 용량을 줄인 파일들이 다시 유통되곤 하는데 PDIVX, SMR 등의 그룹들이 그런 짓(?)을 잘 합니다. 이 때문에 캠 버전을 DivX 로 인코딩한 것이 PDIVX (일명 피디빅)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데 실제 MPEG 파일을 DivX 코덱으로 바꿔서 용량을 줄이면 화질은 떨어집니다.
2. SCREENER (스크리너)
스크리너란 필름을 VHS로 옮겨 담아 놓은것을 말합니다.(극장 상영전에 극장주에게나 홍보용으로 돌립니다.) 그 VHS를 소스로 삼아서 만든것을, DivX-스크리너라고 부릅니다. 캠코더판에 비해서 화질이나 음질이 더 나은편입니다. 캠코더판에서 처럼 관객의 잡음이들어갈 일이 없구요. 뒤통수로 인해서 화면이 가리는 일은 없습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극장주, 영화 리뷰어 등에 홍보용으로 돌리는 DVD/LD/VHS 등을 인코딩한 것인데 여기에서 DVD나 LD는 말만 DVD, LD 이지 화질과 음질은 VHS 수준입니다.
물론 캠코더 영화보다는 좋습니다. 보통 스크리너 버전은 영화 개봉하기 전에 돌리는 것이라 최종 편집판(극장 개봉판)과는 내용에서다소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극장 개봉판도 각 나라나 배급사에 따라 가위질로 인해 내용이 삭제되기도 하며 가정용 DVD/VCD/VHS 판 역시 내용이 보충되거나 삭제되기도 합니다.
3. PDIVX
Mpeg DivX 즉, 스크리너나 켐버전으로 제작된 Mpeg파일 2개를 합쳐서 하나의 DivX 파일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화질의 손상은 거의 없고 단지 용량을 좀 많이 줄어 듭니다. 이 피디빅은 아직 디빅이 릴리즈 되지 않았을 때 보통나옵니다. 거의 화일형식은 AVI만 MPG도 종종 있습니다. 디빅으로 포맷되었기 때문에 완전히 다 받지 않고는 그것이 DVDRip인지 피디빅인지 구분하기가 곤란한데 이럴땐 보통 DVD가 릴리즈 되었는지 생각해보시고 교환에게 물어보며 또한 받다가 잠시 중단한채 받던 AVI화일 보는 프로그램으로 고쳐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피카뷰최신 버전으로 화일을 우클릭하면 다 받지 않은 AVI화일도 미리보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렇게 확인 할수도 있습니다.
4. SBC
DivX를 만드는 한가지 방법으로 , SBC는 Smart Bitrate Control의 준말입니다. 일반적으로 DVD영화를 Divx로 인코딩할 때, 영화의 진행속도에 따라 코덱을 DivX low motion이나 DivX high motion을 선택해서 하게됩니다. 하지만 영화에 따라서 빠른 장면과 느린 장면이 다 섞여 있는 경우가 많으니 결정하기가 쉽지않죠. 느린 영화에 맞추면 빠른 장면이 거의 모자이크로 나오겠고, 빠른 장면에 맞추자니, 파일 사이즈가 너무 커집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나온 것이 SBC 입니다. 글자 그대로 화면의 전개 속도를 분석해 서 적절하게 인코딩 레이트를 변화시켜줍니다. 파일 형식상으론 divx 와 다를게 없습니다.
5. DIVX
DVD를 DivX로 코딩한 것을 말하며 DVD 만큼은 못하나 그만큼의 좋은 영상을 얻게 됩니다. 한, DVD 의 용량을 일반 공 CD에 들어 갈 정도로 줄여 줍니다. 그러나 DivX로 코딩 했기에 DivX 코덱을 설치해야지만 영화를 감상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통합코덱을 많이 사용하니 예전보다는 코덱 설치 떄문에 골치 아플 필요 없죠..^^
6. DVD-RIP
우리가 흔히 말하는 `디빅` 으로서 DVD 에서 추출한 동영상을 말합니다.보통 비디오는 DivX(MPEG4) 나 DivX-SBC 로 인코딩되고 오디오는 MP3 나 MP3-VBR, AC3 등으로 인코딩 과정을 거칩니다. 참고로 DivX 는 MPEG-4 기술입니다. 코덱 버전업을 하면서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MPEG-4 코덱을 사용한 AVI 인코딩을 막자 이것을 크랙한 DivX 라는 것이 나오게 됩니다. 즉, MPEG-4 와 DivX 는 헤더 부분만 약간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합니다. DivX 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후에 마소에서 MPEG-4 제한을 풀게 됩니다.
7. VOB
DVD (DIGITAL VERSATILE DISC) 의 데이터 파일입니다. 원래는 복사 방지 장치가 돼 있지만 이것이 제거된 채로 인터넷 상에 유통됩니다. DVD 와 100% 동일하기 때문에 화질, 음질은 가장 좋지만 용량이 크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활발하게 보급되진 않고 있습니다. DVD 는 HDTV, 위성방송등에도 이용되는 MPEG-2 기술(나중에 MPEG-3 까지 흡수 통합)이 사용됩니다. VOB 와 VOD (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를 헷갈리지 마세요.
8. LD-RIP
LD (LASER DISC) 에서 추출한 동영상입니다. 요즘 새롭게 릴리즈된 고화질 스타워즈 시리즈가 LD 에서 립된 것입니다. 참고로 DVD 와 LD 의 화질/음질은 비교하는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DVD 쪽이 좋다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LD 쪽이 좋다는 사람도 많습니다. 하지만 LD 는 사양화 돼가는 추세이고 이제 대세는 DVD 라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겠죠.
9. VCD
VIDEO CD 2.0 규격(비디오는 MPEG-1, 오디오는 MP2)으로 만들어진 동영상 파일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비디오 시디가 바로 여기에 해당합니다. 러브레터 같이 DVD/LD 립이 나오지 않은 영화들이 VCD 로 인터넷 상에 돌아다니기도 합니다. 한국에서 출시된 VCD 라면 한국어 더빙이나 한국어 자막 처리가 돼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10. TELESYNC 캠코더 버전에서 따로 음향 부분만 녹음해서 덧붙인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1. TELECINE 영화 원본 필름에서 직접 떠서 만든 것입니다.
12. WORKPRINT 편집이 끝나지 않은 영화 필름에서 떠서 만든 것입니다. 따라서 극장 개봉판과는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
(S.C) 슈퍼비트 콜렉션판
(D.C) 감독판
(T.E) 극장판
(U.E) 울티메이트 에디션판=최종판
(W.C) 와이드 스크린
(F.C) 풀 스크린
(Unrated)무삭제판
(DTS,AC3_5.1CH, 2AUDIO)음질 최고수준입니다
<영화 기본상식>
영화파일 =avi
자막파일 =smi
이 두 파일은 항상 같은 폴더안에 있어야하고
이름도 점 하나도 틀리면 안됩니다.
예)어머니.avi 와 어머니.smi는 같이 있어야 영상과 자막이 같이 나온다.
어머니.avi와 어머나.smi 경우 자막이름이 달라 자막이 안나온다
'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지지에서 늘어나지 않는 부분 해결 (0) | 2007.08.31 |
---|---|
음악CD 굽기 (0) | 2007.08.30 |
동영상볼때 xvidcore.dll not found에러시 해결방법 (0) | 2007.08.20 |
smi 파일(영화 자막파일)보는 법 (0) | 2007.08.20 |
원형으로 둘러싸인 블럭깨기 (0) | 2007.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