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D 비디오 타이틀을 DivX 파일로 만드는 과정에 대해서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Auto Gordian Knot v1.83 beta 설치를 위해서는 Auto Gordian Knot v1.60 버전이 시스템에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0_s.png)
가장 먼저 DVD 비디오 타이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로 복사하기 위해 DVD Decrypter를 실행합니다. 기본적인 Mode가 File로 설정되어 있으면 위와 같은 화면처럼 나타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1_s.png)
하지만 우리가 DivX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꼭 Mode를 IFO로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혹 File 모드로 DVD 비디오 타이틀 데이터를 하드디스크로 복사한 데이터의 경우 Auto Gordian Knot(이하 AUTOGK)에서 파일을 불러올 수가 없습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2_s.png)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File 모드와 IFO 모드는 확실하게 차이가 있습니다. 1번에서 메인 영상 즉 영화 데이터에 대한 파일 선택하고 원하는 챕터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작업하시는 DVD 비디오 타이틀 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Stream Processing 탭에서는 해당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오디오, 자막 데이터를 좀더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무시하셔도 됩니다.
1번에서 영화 영상의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2번의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디렉토리를 설정한 후 3번의 Decrypt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0_s.gif)
Decrypt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한 디렉토리에 데이터의 저장을 시작합니다. DVD 비디오 타이틀의 용량과 DVD 드라이브의 성능에 따라 5분에서 20분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3.png)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창이 나타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을 마무리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4_s.png)
설정한 디렉토리에서 DVD 비디오 타이틀에서 하드디스크로 복사한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이렇게 하여 여기까지 한가지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제 이 파일을 이용하여 가장 중요한 DivX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5_s.png)
DivX 파일로 변환하기 위해 AUTOGK를 실행합니다.(상단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컴퓨터에 AUTOGK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됨)복잡한 듯 하지만 매우 간결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1번에서 DVD input을 체크해 줍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6.png)
2번의 Input directory에서 디렉토리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폴더 찾아보기 창이 나타납니다. 위에서 DVD Decrypter로 작업하여 하드디스크로 복사한 디렉토리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7_s.png)
3번의 Output File에서 디렉토리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하여 저장할 DivX 파일의 저장 위치와 파일명을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8_s.png)
Input directory에서 하드디스크로 복사된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면 4번의 Audio track에는 해당 DVD 타이틀에 포함되어 있던 오디오트랙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DivX 파일 변환시 원하는 오디오 설정을 선택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09_s.png)
5번의 Subtitle track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자막을 선택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10_s.png)
6번의 Output size는 DivX의 용량을 설정하는 곳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을
선택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11.png)
DivX 변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7번은 영상의 크기, 사용할 코덱, 오디오 설정, 자막의 설정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사용자의 구미에 맞게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Resolution setting |
Auto width |
자동으로 폭을 맞춘다. |
Minimum width |
최소크기로 폭을 맞춘다. |
Fixed width |
폭을 사용자가 고정하여 맞춘다. |
Maximum width |
최고크기로 폭을 맞춘다. |
Codec |
XviD |
XviD 코덱을 이용한다. |
DivX 5 |
DivX 5 코덱을 이용한다. |
Audio |
Auto |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설정한다. |
AC3/DTS |
AC3 돌비 디지털이나 DTS 사운드로 설정한다. |
VBR MP3, kbps |
오디오 데이터 부분마다 필요한 데이터량이 적어도 될 부분에서 비트 레이트를 줄이고, 데이터량이 많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비트레이트를 늘리는 방식으로 가변적인 비트레이트를 사용한다. CBR 모드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
CBR MP3, kbps |
고정된 비트 레이트를 사용한다. |
Subtitle Options |
Display only forced subtitles |
? |
Use external subtitles |
자막을 추출한다. ( idx, sub ) |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12_s.png)
Subtitle Options의 Use external subtitles를 체크하면 나타나는 메시지로 추출된 자막은 이용해서는 기본적인 플레이어에서의 재생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입니다. idx, sub의 자막파일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SMI 파일로 변환하거나 DirectVobSub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습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13_s.png)
이렇게 총 7가지의 설정을 모두 맞추고 나면 위의 화면처럼 Add Job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해당 변환 작업을 하기 위해서 Add Job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14_s.png)
Add Job 버튼을 클릭하면 위의 화면처럼 Job queue란에 작업이 추가되고 Start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작업을 하기 위해서 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15_s.png)
작업을 시작하면 Log Window를 통해서 현재의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젠 모든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면 되겠죠
![](http://www.cdrinfo.co.kr/Hardware/2004/12/16/cdrinfo_lecture_16_s.png)
기다리던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