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고르는 법
울동생이 정말 지겹게 물어보는
CPU 차이 입니다.
노트북을 고르실때
첫번째 중요한 것 바로
노트북 CPU 고르는 법
가장 무난한 선택으로 보여지는
I5 모델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마지막에 할께요
일반 퍼스널 컴퓨터 그러니까 그냥 PC 를 구매하든
혹은 노트북을 구매를 하든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이 바로 이 CPU 입니다.
CPU 혹은 그래픽 카드 이런 용어 자체가
머리 아프다면
추천 드리는 방법은 가격대 별 검색이 가능한
인터넷 쇼핑 사이트 가셔서 원하시는 가격대
적으셔서 검색후 평가 가장 높은 모델을 구매 하는시편이
가장 현명 합니다.
사무용 : 50만원~
일반 게임 에서~ 3D게임용 : 70 만원 ~
3D 게임을 렉없이? 90 만원 ~
겜방 수준의 PC를 나의 노트북에 구현 하고 싶다면 130 만원 ~
이 수준에서 선택 하시면 무난한 선택이 되실꺼에요.
그럴꺼면 이렇게 검색해서 찾아 들어 오지 않으셨다면
그럼 그 첫 번째 CPU 선택 법 시작 합니다.
노트북 고르기
1. CPU 고르는 방법
초창기 셀러론 시대는 넘어 가구요.
지금 판매 되는 대부분의
CPU는 I3 , I5 , I7 이렇게 분류가 되는대요.
이3가지 CPU의 차이는
I3 듀얼 코어( CPU 가 2개) + 하이퍼 쓰레딩 2코어
I5 쿼드코어 (CPU 가 4개)
I7 퀴드코어 (CPU 가 4개) + 하이퍼 쓰레딩 4코어
이렇게 크게 분류 되어 집니다.
이 CPU의 듀얼 과 쿼드 코어를
가장 쉬은 예로 사용 되는 것이
바로 나무꾼 인데요.
나무를 도끼로 찍는다고 가정 할때
한 나무를 두명의 나무꾼이 자르냐 혹은 4명의 나무꾼이 자르냐의
차이라고 생각 하면 됩니다.
지름이 1M 정도 되는 큰 나무를 자른다고 한다면
4명의 나무꾼이 당연히 빠르겠지만
허벅지 굵기의 나무를 자르다고 하면
2명만으로도 충분 하겠지요?
아마도 인원수 보다는 능력이 중요 하게 적용 될 것 입니다.
단순한 게임을 예로 들어 볼께요.
페르시아 왕자 1탄을 돌린다고 했을때
쿼드 코어 2.0Ghz 보다 듀얼 코어 3.4GHz 가 더 빠르게
돌아 간다는 것 입니다.
즉 가벼운 프로그램을 구동 시킬 때
듀얼 코어, 쿼드 코어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인터넷 검색과 사무용 워드 작업 정도의 노트북을
구매 하실 예정이라 하시면 바로 여기에 해당 됩니다.
CPU의 소캣 갯수 (듀얼,쿼드)는 오직 다중 작업에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주 용도가 사무용과 가벼운 게임 위주 라고 하고
노트북을 추천 받고 싶다면
CPU는 i3~ i5 정도면 충분 하구요.
빠른 작업과 빠른 부팅을 위해 CPU에 나갈돈 10만 정도 세이브 하셔서
차라리 SSD 하드에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Win 8 이 깔린 상태에서 SSD 하드를 사용 한다면
2~3 초면 윈도우 부팅이 이루어 집니다.
CPU 가 쿼드 코어 라고 해서절대로
부팅 시간이나 인터넷이 빨라 지는건 아닙니다.
가장 무난한 선택이라 할 수 있는 i5 기준으로 얘기해 볼깨요.
i5 정도면 대부분의 모든 프로그램을 돌리는데 어떤한 차이도 느낄수 없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를 예로 들면 I5 /I7 사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이미 기본 프로 그램 바탕이 쿼드가 필요할 만큼의 연산은 필요치 않기 때문이며
게임에에 CPU의 차이를 느낌수 있다면
바로 위의 사진 처럼 수류탄이 왼쪽 끝에서 터졌는데
거리별로 대미지를 다르게 받는 다고 하고
가까이 있는 군인부터 좀더 많은 피를 깍는 등의 연산을 해야 할때
CPU의 성능의 차이가 생긴다 생각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게임 기준으로 CPU를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 경우는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같은 연산이 주가 되는 시뮬레이션 게임이
아닌 이상 게임을 위해 높은 사양의 CPU는 필요가 없으며
i7 에서 i5 내려 오더라도 그래픽 카드에 더 투자 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위의 사진에서 게임 실행에 영향을 주는건
CPU 가 아닌 그래픽 카드임을 잊지 마셔요.
게이밍 을 염두해 두고 노트북을 살때 CPU의 선택은
철저하게 어떤 종류의 게임을 주로 하는가에 맞추는 것이 현명 합니다.
전략 시물레이션 게임 위주라면 CPU를 보시고
롤플레잉, 슈팅 게임 위주라면 그래픽 카드에더 투자 하셔요.
어차피 특수한 일을 하시지 않는 이상
일상적인 노트북 사용으로 CPU 혹은 그래픽 카드가
부족한 경우는 크게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GHz의 기준역시
시물을 하신 다면 높게
롤플래잉 이라면 크게 상관 없습니다.
돈 있으면 그냥 암거나 좋은거 사요...
GHz 라는건 1초당 몇번의 연산이 가능한가를 말하며
1GHz 면 1초에 10억 번의 연산이 가능 하다는 의미 입니다.
하지만 연산을 졸라게 했는데 송출을 할 수 없다면
아무런 의미가 업기 때문에 단순히
3GHz 면 좋고 1.4GHz 면 별로란 생각은 금물 입니다.
예를 들어 i5 - 2550k 3.40GHz 와 i7 - 4550k 1.40GHz
가 있다하면 뒤쪽의 i7 -4550k 1.40GHz 의 성능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이해가 않되시면 끝까지 정독해 주셔요.
CPU를 직접 선택을 해야 한다면 필수로 외워 두셔요.
가장 일반적인 CPU 라고 할 수 있는 인텔 CPU 세대 내역 입니다.
모르시는 분이 있다면이번 기회에 알아 두셔요.
겔럭시 S ,겔럭시 S2 , 겔럭시 S3 , 겔럭시 S4 가 나온 것 처럼
인텔의 CPU 에도 세대 구분이 있습니다.
1. 세대: 린필드
2.세대: 센디 블릿지
3. 세대: 아이비 브릿지
4. 세대: 하즈웰
5세대: 브로즈 웰 (출시전)
이렇게 분류가 되구요.
표기는
1세대는 모델 이름 뒤에 오는 숫자가 3자리 입니다. i5 - xxx 이런식
2세대는 모델 이름 뒤에 오는 숫자의 자리가 4자리로 변경이 되며
시작 숫자가 2xxx 이렇게 됩니다. i5 - 2xxx 이런식
3세대는 모델 이름 뒤에 오는 숫자가 3으로 시작. i5 - 3xxxx 이런식
4세대는 당연히 4로 시작합니다. i5 - 4xxxx 이런식
CPU 순위로 검색 하면 자주 보는 사진 이져?
이사진을 보면서 CPU 보는 방법을 설명 드릴께요.
Intel Core i7 - 4770K @ 3.50 GHz ( 이놈 기준으로 설명 드립니다)
CPU 기본 구분법 i3 ,i5 ,i7 이걸로 구분 한다고 했져?
그러니 이놈의 기본 틀은 i7 입니다.
그다음은 바로 전에 다룬 세대 구분을 해봐요.
모델명 이후 나오는 숫자로 2,3,4,5 세대를 나눈다고 했는데
4 700 K 이니까 이놈은 4세대 하즈웰 모델 입니다.
4770K 이라는 숫자에서 세대를 뜻하는 4 이후의 숫자는
보통 100~300 까지가 기본형
400~600 까지가 고급형
700~ 900 까지가 전문가 형으로 나누어 집니다.
대부분 높을 수록 성능이 좋다고 보시면 되구요.
숫자 마지막에 나오는 알파벳에 대해 설명 드릴께요.
U / UM 절전형 ( 절전형 모델은 성능이 저하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M 일반 CPU
Q /QM / HQ 쿼드코어 CPU ( 이 표기가 없다고 쿼드 코어가 아닌 것은 아님니다.)
K 오버클럭 이 가능한 CPU
XM 최상위의 CPU
몇가지 모델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7 의 3세대 9로 시작 하니 졸라 고사양 XM 이니까 최상위 모델 이네요
i7의 4세대 모델 이고 7로 시작하고 HQ 니까 쿼드코어 모델 입니다.
- 밑의 3.40GHz 보다 헤르츠가 낮지만 성능이 더 좋은 이유는
i7 의 플랫홈에 4세대 모델이기 때문 입니다.
i5 의 2세대 모델이고 K 로 끝나니 오버클럭이 되는 모델 입니다.
i7 모델 이지만 3자리로 되어 있으니 1세대 모델 입니다.
이정도 설명 드렸는데...모르시겠다면...
그냥 가격 맞추어 구매 하세요.
그래도 이것 봤는데 참고 하시 겠다면
이정도 설명 드리고 노트북 CPU 선택 방법을 정리 할께요.
1. i5 ,i7 의 모델을 선택 한다.
2. 첫번째 오는 숫자 2.3.4.5 가 있다면 4 이상을 구매를 한다. (5는 출시전 임)
3. i7 - 4xxx 면 대부분 쿼드코어를 지원 하지만 확인이 필요하며
그 다음 숫자는 높을수록 좋지만 가격은 올라 간다.
4. 절전이 아닌 성능을 중요시 한다면 마지막에 U 가 들어가면 구매하지 마라.
5. GHz 가 높을수록 좋은 모델이기는 하지만 세대와 방식에
더 의미를 두고 고르고 GHz의 숫자에 큰 의미를 두지 마라.
i7 -4730Q ( 이정도 를 말함) 실제로 있는지는 모르는 모델임
Q가 꼭 들가야 되요? 하고 물을꺼면
처음 부터 다시 정독해 주셔요.
CPU를 선택 하였다면 이번에는
그래픽 카드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노트북 그래픽 카드는 사진에서 보이듯 상당히 작게 만들어 집니다.
해서 일반 적으로 보는 그래픽 카드 수치와 비교 하여서는 절대로 않되요.
같은 GTX 750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PC 용과 노트북 용은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 적으로 40% 정도 성능 하락이 있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노트북을 그래픽 카드를 선택을 할때
가장 먼저 해보는 것이
노트북 그래픽 카드 순위 입니다.
검색 하시면 이런 사진이 나와요.
이런 사진 들여다 보면 노트북 고르다가 전문가 수준으로 변해 버릴 정도로
몇일을 고르게 되어 있어요.
그래서 객관적 평가를 받기위해
쉽게 하시는 것이 네이버에 원하는 제품의
노트북 그래픽 카드를 검색을 해보게 되는대
실제 검색을 해보겠습니다.
첫 화면에 가장 최근의 것이 1년이 넘은 정보 밖에 없어요.
그래서 선택한 그래픽 카드가 어느 정도의
수준의 등급인지 확인이 불가능 해져요.
반대로 PC 용 그래픽 카드를 검색을 해보면
이렇게 쉽게 검색이 가능 합니다.
그래서 추천 드리는 방법은
생각중인 노트북용 그래픽 카드의 성능과
비슷한 성능을 보이는 일반 PC 용 그래픽 카드를
찾아서 스팩을 비교 하는 방법입니다.
자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원하시는 노트북용 그래픽 카드를 노트북 순위 정보를 통해 확인을 합니다.
그곳에 나오는 가격은 상관 하지 마시고 수치만 확인 합니다.
예를 들어 GTX 780M 모델이다.
밴치마크 점수가 8.062 로 아주 높은 점수를 받았네여.
시원하게 40% 할인 해서 계산해 봅니다.
4.837 이 나옵니다.
즉 대충4800 언저리 PC용 그래픽 카드와 비슷한 성능을 가졌다고
생각 하면 됩니다.
이런 방법이 마음에 않든다면
그럼 해 봐야져~
노트북 그래픽 카드 순위에 GTX 780M 을 검색 해 보았습니다.
적용 기준이 확연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수치가 나오며
1536??? 48만원 짜리 그래픽 카드의 가치가
10만원 짜리 PC 용 그래픽 카드 보다 못하다는 거야? 라는 질문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밴치마크
5000대 의 그래픽 카드를 확인해 볼께요.
GTX760 GTX 580 정도가 맞겠네요.
40% 하락이라니... 저의 의견에 동의 하지 않는 다면
충분한 검색후 60% 하락 해서 봐야 한다는 글도 보일꺼에요.
그냥 40% 하락 해서 보시는게 편할 꺼라 생각 합니다.
이번에도 실제로 네이버에 검색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한달부터 10시간 전에 포스팅 된 글 까지 보이네요.
노트북 그래픽 카드 선택법 정리해 드릴께요
1. 원하는 노트북 그래픽 카드를 선정을 한다.
2.노트북 그래픽 카드 순위가 아닌 일반 그래픽 카드
순위를 검색을 한다.
( 노트북형 GT -650M m이 추가 되구요.
일반형은 GT -650 이렇게 m이 없습니다.)
3. 최근의 그래픽 카드순위 에서 밴치마크 점수를 확인한다.
4.그 성능 점수에서 40~50% 정도 뺀 점수가
노트북 의 밴치마크 점수 입니다.
5. 추가적 정보를 받기 위해 40%를 뺀
밴치마크 점수에 해당 되는 그래픽 카드를 검색을 해서
비교를 하면 됩니다.
마지막 으로 CPU 선택 할때와 마찬가지로
그래픽 카드 표기에 대해서 설명 할께요.
문제는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지포스 계열 그래픽 카드 보는 방법 입니다.
인텔 CPU 볼때와 마찬가지로 세대가 적용 됩니다.
CPU 보다는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꺼에요.
저의 동생은 끝내 이해 하지 못하였습니다.
기본 적인 등급은
LE /Ve /XT /GS / GT / GTS /GTX / GX2 /GK /Ultra
이렇게 구분 되며
뒤쪽으로 갈수록 높은 모델입니다.
지포스 그래픽 카드의 시작이라 할수 있는 모델이
1998년 처음 출시된
MX 256 으로 시작 하여 Geforce 400
으로 이어 지다가
GS / GT /GTX 로 구분 되어 집니다.
이때부터 GT 5xx / GT 6xx / GT 7xx 방식으로 변경이 되는데
GT 뒤에 따라오는 숫자는 세대를 의미 합니다.
5/6/7 세대 이해 되져?
위쪽 이미지의 GTX 6xx 모델은
6세대 모델 입니다.
그리고 뒤 따라 나오는 숫자가
GT 5xx 기준으로 예를 들면
GT 510 / GT 520 /GT 530...GT 570 까지가 일반 적이라 보면 되는데
10~40 때가 기본형
50~60 중급형
70~80 이 고급형 이라 보면 됩니다.
위쪽 사진에서 확인 되듯
660 에서 670 680으로 올라갈수록
성능이 높은 모델 입니다.
GTX 980이 정점 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GS 8xx 보다 GTX 5xx 가 성능이 좋으며
GT 730 보다 GTX 680 이 성능이 좋습니다.
한때 국민 그래픽 카드 였던 GT440 을 예로 들면
GT 630 과 같은 모델 입니다.
그러니까~~ 아 동생 한테 설명 하던게 생각이 나서 자꾸 짜증이..ㅋㅋㅋㅋ
GT 440 이 GT 630 과 같을수 있는 이유는
GT 440 이 4 세대 그래픽 드라이버 이지만 뒷자리가 40 이고
GT 630 이 6세대 그래픽 드라이버 이지만 뒷자리가 30 이니까
두개가 비슷한 성능을 보입니다.
정리 하면 그래픽 카드의 모델 이름은
GS / GT /GTS / GTX 순으로 높은 모델이여
모델 이름 뒤에 따라오는
5xx.6xx.7xx.등은 세대를 의이
xx 자리에 오는 10~90 까지의 숫자는
성능을 위미 합니다.
가끔 GTX 760 Ti 같이 번호 끝에 Ti 가 붙는 모델들이 있는데
이는 Ti 가 붙은 모델의 업 그레이드 모델 이라는 뜻이며
GTX 760 Ti 는 이전 버전인 GTX 670 의 업그레이드 모델이라 생각
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OS 를 보유 하고 있다면
OS 미장착 모델을 구매 하시면 10만원 가량
세이브 가능 하셔요~
도움이 되셨길 바라구요.
뭐기 좋을까요 하는 그런 댓글은 삼가 하겠습니다.
사양은 단순 비교가 힘들기 때문에 곤란 할 것 같아요.
'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자기 나타난 delfino 악의적 공격 메시지 (0) | 2015.12.09 |
---|---|
바닥프로그램 설치 제거 주요기능 인코딩 (0) | 2015.07.24 |
윈도8 HP 스캐너 설치 (0) | 2014.07.28 |
차량용 USB 인식 (0) | 2014.06.29 |
노트북 ssd하드 설치하기 (0) | 201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