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만든 원리는 상형·지사·회의·형성·전주·가차 이렇게 여섯가지로 나눠지고, 이를 다른 말로 육서(六書)의 원리라고도
합니다.
1. 상형문자(象形文字) : 사물의 모양을 그대로 본떠서 그려낸 가장 기초적인 글자를 상형문자
라고 합니다.(象 : 본뜰 상, 形 : 모양 형) 그리고 상형자에 속하는 상당
수의 글자들이 한자의 부수(部首) 역할을 합니다.
예) 木, 日, 月, 山, 川, 人, 心, 口, 目, 耳, 魚, 足.
2. 지사문자(指事文字) : 상징적인 부호를 사용해서 구체적 사물의 모양으로 표현이 안되는
추상적인 개념들을 표시한 문자를 지사문자라고 합니다.(指 : 가리킬 지, 事 : 일 사)
지사자의 특징은 먼저 추상적인 의미를 표현하는데, 굽고 곧은 선이나 점 등으로
표시하고, 상형자와 함께 글자의 모양을 더 이상 쪼갤 수 없습니다.
예) 一, 二, 三, 四, 五, 七, 八, 九, 上, 中, 下, 本, 末, 天, 夕
3. 회의문자(會意文字) :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뜻에 따라 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만들어
다른 뜻을 나타내는 것을 회의문자라 합니다.(會 : 모일 회, 意 : 뜻 의)
예) 田 + 力 = 男('밭 전'자와 '힘 력'자가 합쳐져 '사내 (남자)'의 뜻이 됨)
日 + 月 = 明('해'와 '달'이 합쳐 '밝다'는 뜻이 됨)
木 + 木 = 林('나무'들이 합쳐져 '수풀'을 이룸)
4. 형성문자(形聲文字) : 한쪽이 음을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뜻을 나타내는 것을 형성문자라 하는데
한자 중에서 형성문자가 가장 많습니다.(形 : 모양 형, 聲 : 소리 성)
그런데 이 형성문자는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의 음이 변한 것이 많습니다.
예) 勉 = 免(음) + 力(뜻), 問 = 門(음) + 口(뜻), 花 = 艸(뜻) + 化(음),
海 = 水(뜻) + 每(음), 宙 = (뜻) + 由(음)(유→우 : 소리가 비슷함).
5.전주문자(轉注文字) : 이미 만들어져 있는 글자의 뜻에서 다른 비슷한 뜻으로 확대, 전용하여
쓰는 것을 전주문자라 합니다.(轉 : 바뀔 전, 注 : 뜻 주)
예) 道 : 길, 도리, 도 도
相 : 서로, 재상, 도울, 지팡이 상
樂 : 풍류 악, 즐거울 락, 좋아할 요
6. 가차문자(假借文字) : 글자의 뜻과는 상관 없이, 음이 같거나 비슷한 글자를 빌어다 쓰는 것을
가차문자라 합니다. (假 : 빌릴 가, 借 : 빌릴 차) 유사한 음 또는 형태를 빌려 쓰는
것과 의성어, 의태어, 불가(佛家)용어, 외국어 표기에 많이 쓰입니다.
예) 舍(집 사)→捨( 버릴 사), 然(그러할 연)→燃(사를 연)
외국어 표기( 佛蘭西-불란서, 巴利-파리, 羅馬-로마, 亞細亞-아세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