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육십갑자

은오 2016. 11. 1. 17:37

 

 

 

 

 

 

 

 

 

  육십갑자(六十甲子)

 



 



 

 

 



 



 

육십갑자는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하여 만들었어요. 옛날엔, 60년을 세상사의 기준으로 삼아 육십갑자가 한 바퀴 도는 것을 회갑이라 했습니다.

간지를 알고 싶은 연도가

간지 계산법

1801~1860년 사이일 때

알고싶은 연도-1800 = ?

1861~1920년 사이일 때

알고싶은 연도-1860 = ?

1921~1980년 사이일 때

알고싶은 연도-1920 = ?

1981~2040년 사이일 때

알고싶은 연도-1980 = ?


☞예를 들어 올해, 2002년의 육십갑자을 알아보면, 1981~2040사이에 있으므로 2002-1980 = 22입니다. 위에서 '14~23'사이를 클릭하여 22번을 보면 壬午年(임오년), 말띠해입니다.


 

 

 
六十甲子(육십갑자)의 시작은 '甲子年(갑자년)'이 되고, 마지막은 癸亥年 (계해년)이 됩니다. 육십갑자의 가장 최근 서기년도는 1984년입니다. 곧 60년씩 뒤로 가면, 1924년 1864년 1804년이 됩니다. 1984년만 알고 있어도 근래의 간지년도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간지표기에서 앞 부분의 天干(천간)은 10개입니다. 그러므로 10년 단위로 항상 같은 것이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육십갑자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곧 天干(천간)의 첫 번째 甲(갑)은 서기년도의 끝 자리가 항상 4년, 乙(을)은 5년, 丙(병)은 6년,  丁(정)은 7년,  戊(무)는 8(년),  己(기)는 9년,  庚(경)은 0년,  辛(신)은 1년,  壬(임)은 2년,  癸(계)는 3년이 바로 천간과 서기년도 끝 자리의 결합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 고등학교 2학년 1986년생 경우, 1986년은 끝 자리가 '6'이라서 간지표기 앞 부분 천간은 '丙(병)'이 되고, 띠가 범띠가 되므로 丙寅年(병인년)생이 됩니다. 또한 10년 단위로 1996년, 2006년, 2016년이 모두 간지표기 앞 부분의 천간은 '丙(병)'이 됩니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이의 단위  (0) 2016.11.09
석고보드에 커텐,선반,거울달기  (0) 2016.11.03
가을단풍 시작과 절정기  (0) 2016.09.23
지진발생시 행동요령  (0) 2016.09.21
혼동하기 쉬운 한자  (0) 2016.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