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

은오 2017. 2. 22. 10:08

친환경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떠오르는게 바로 태양광 발전이죠.. 요즘에는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를 사용하는 가정도 크게 늘었습니다.

 

이러한 가정이 늘어난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하나는 각 지자체별로 보조금 지급을 꽤 많이 해 주는 데다가 아파트 베란다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설비가 고안되면서 부터 입니다. 아직.. 태양광 발전기가 완벽하지는 않고 경험상 1년에 한두번은 A/S 등을 받아야 하는 등의 상황들이 발생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코 라이프에 앞장선다는 자부심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전기료 저감 효과도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또 교육적인 부분에서도 아이들에게 좋다는 생각도 합니다. 물론, 경제적인 부분은 한번 더 따져봐야 하는 부분이기는 하죠..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 설치 방법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의 경우 지자체 보조금이 나옵니다. 물론, 이는 지자체 단위로 보조금이 지급되기 때문에 어느지역이냐에 따라서 보조금의 수준은 달라집니다. 또한, 어느 용량을 설치하느냐에 따라서도 다소 달라지기도 하죠..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를 생산하는 업체에 연락을 하면 보조금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을 자세히 설명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럼,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 생산 업체는 어디서 찾느냐~ 개인적으로는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들에서 확인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서울시의 경우..


 

햇빛지도라는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현재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에 보조금을 지급해 주는 업체들 리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경로는 아래와 같죠..

 

이용하시는 검색포털에서 '서울시 햇빛지도'로 검색 > 상단 메뉴바에서 '태양광 미니 발전소'

 

 

좌측의 보급업체 > 2016년 선택

 

다만, 여기서.. 경제성은 별도로 한번 더 생각해 봐야겠죠..

 

개인적으로 결론낸 부분은? 월 평균 10만원 정도는 나와야 경제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물론, 이는 각 가정의 상황에 따라 다소 유동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의 경제성은?


 

우선, 간단하게 소형 베란다 발전기를 다실 것이라면 큰 부담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260W 기준 본인부담금 33만원, 500W 기준 본인부담금 70만원) 꼭 경제성을 세밀하게 따져볼 필요성은 적다는 생각입니다. A/S 기간이 끝나면 보수유지에 약간의 비용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크지 않고(인버터를 아예 갈아야 하면 좀 많이 나오기는 하더군요..) 오랜기간 사용한다면 장기적으로 분명한 이익입니다.

 

다만.. 그 용량이 큰 경우에는 좀 따져봐야 하죠..

 

가정 전체의 전기를 태양광으로 보충하기 위해서는 꽤 큰 용량의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해야 하며.. 이런 경우에는 일반 아파트에서는 좀 어렵습니다. 보조금도 베란다 태양광에 비해서 적은 편이고 고장날 경우 A/S 비용도 많이 나오기 때문에 신중할 필요는 있습니다.

 

업체마다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한 가정에서 오롯이 쓸 수 있는 태양광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500만원 이상의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은..


 

결국, 일반 전기의 누진제를 잘 봐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유독~ 전기의 누진율이 크죠.. 그 경계선에 있는 금액이 바로 8~10만원 수준입니다.

 

10만원 이상 나오는 가정이라면? 설비에 대한 감가를 5년 정도 잡고 보면 태양광 발전기를 돌리는게 이익입니다. 물론, 그 이전에 발생하는 A/S비용은 포함하지 않고 말이죠..

 

이런부분 잘 고려하시어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할지를 고민해 보시길 권합니다. 물론,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 업체들에서 홍보하는 내용들도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도 있지만.. 경제성에 관한 부분은 현재 가정에서 나오는 전기료와 절감비용 그리고 투자비용에 대한 회수기간을 직접 계산해 볼 필요가 있다는 말씀.. 드려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