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관련

윈도우10 스테레오 믹스 설치

은오 2019. 4. 18. 14:31

윈도우10 스테레오믹스 설정 및 사운드 드라이버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윈도우10 스테레오믹스는 USB로 꽂는 스피커나, 무선헤드셋 등


메인보드를 거치지 않은 출력을 사용할 경우 사용이 불가합니다.


스테레오믹스 기능 자체가 메인보드의 사운드카드를 이용한 기능이기 때문이죠.




어려우시다구요? 그럼 컴퓨터 본체 뒷면의 초록색단자에 무언가 꽂혀있는지를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초록단자를 사용하고 있다면, 스테레오믹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경우에 따라서는 스테레오믹스를 설정하기 위해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절차부터 차근차근 따라가시면 어렵지 않게 스테레오믹스 사용이 가능할겁니다.



먼저 윈도우10에서 스테레오믹스 설치 설정을 하기 위해서 우측 하단 스피커 모양에 우클릭 - 소리로 들어갑니다.



상단의 녹음 탭에 들어가보면 스테레오믹스가 있어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장치중에서 스테레오믹스가 없습니다.



빈 공간을 우클릭해서 스테레오믹스를 나타나게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는 장치 표시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스테레오믹스가 나타나고 우클릭해서 기본장치로 변경해줍니다.



만약 스테레오믹스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해줘야 합니다.

3dp chip을 이용하여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요즘에 사용해본 결과 제대로 설치가 안되는 경우가 있더군요.

확실하게 메인보드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먼저 작업표시줄의 돋보기를 눌러 cmd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줍니다.

그러면, 명령프롬프트가 나타나면 "wmic baseboard get product" 라고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 모델을 볼 수가 있는데, 저는 B360M MORTAR을 사용하고 있네요.

메인보드 사운드 드라이버 설치는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사를 알아보기 위해 검색을 해봅니다.



B360M MORTAR은 MSI사의 메인보드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네이버에 MSI 메인보드 드라이버라고 검색해서 메인보드사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인보드가 MSI사 것이기 때문에 MSI사의 홈페이지로 들어간 거고 각자 메인보드에 맞는 홈페이지로 들어가셔야 합니다.



MSI 홈페이지의 SERVICE에서 Drivers and Downloads 메뉴로 들어갑니다.



들어가면 검색하는 란이 있는데 위에서 찾았던 메인보드 이름을 검색해줍시다.



검색결과가 나오고 메인보드 이름 아래 드라이버 다운로드라고 작게 적힌 메뉴로 들어가줍니다.



상단에 Driver탭으로 들어가서 Select버튼을 누르면 Win10 64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메인보드가 지원하고 있는 운영체제가 Win10 64bit를 선택한 것이고, 자신에 맞는 운영체제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면 제일 아래 On Board Audio Drivers라고 메뉴가 나타난 것을 누르면 두 가지의 드라이버가 나타납니다.

위에 있는 드라이버는 윈도우10 레드스톤3이나 그 이후 것일때 설치하는 것이고

아래 있는 드라이버는 윈도우 레드스톤2나 그 이전 것일떄 설치하는 것입니다.

윈도우 버전은 어떻게 확인하냐구요?



작업표시줄의 돋보기에 "winver"를 치고 엔터를 누르면



윈도우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버전은 1803이네요.

윈도우 10버전 1703이 레드스톤2이고 1709부터가 레드스톤3 입니다.

저는 RS3 버전 이후의 것으로 설치를 해주어야 겠네요.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정상적으로 윈도우10에서 스테레오믹스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얼텍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과정이 좀 복잡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사운드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고, 바로 스테레오믹스가 보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