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방

함초

은오 2008. 6. 5. 10:51


대부분  칠면초를 퉁퉁마디(함초) 라고 알고 계십니다.
칠면초는 함초가 아니랍니다. 칠면초의 어린순(잎)은 식용 가능합니다

 


나문재(해송나물)

나문재 나물은 5월 단오가 지나면 줄기가 억세어지고 쓴맛이 나므로 나물로는 먹을 수가 없다. 나물로 먹으려면 단오 무렵에 채취하여 살짝 데쳐 말려서 묵나물로 만들어 두었다가 먹는다. 약효도 5월 단오 무렵에 채취한 것이 제일 좋고 그 이후의 것은 약성이 지나쳐 약간 독이 있다.



 

 

 

 


뿌리 부분을 제외한 줄기 부분만을 씨앗이 맺기 직전에 수확하여  함초를 건조 시킴니다.  
이때 함초를 채취시기와 건조방법에 따라 함초의 품질이 좌우  됩니다. 

 


계절이 가을에서 겨울로 기온이 점점 내려가기 시작하면  함초에 색상이  적색으로 변하면서 줄기에 씨앗이 맺어지는데 함초씨앗이 영글어 갈수록 함초는 말라 죽게되며 색상 또한 적색에서 갈색으로 서서히 변하게 됩니다. 

갈색의 함초에서 씨앗을 채취한 뒤  함초씨가 빠져버린  빈 쭉정이가 남게 되는데 저희 참갯벌함초에서는 함초쭉정이 에는 영양분이 없으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 폐기하게 됩니다. 
바닷가주변에서 간혹  함초쭉정이를 볼수 있는데 씨앗이 자연적으로 빠져 버리고 난 함초쭉정이는 영양분이 없으므로 안드시는게 좋습니다. 

 

 

 

소금은 모든 생물이 목숨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물질이지만, 소금을 주된 영양소로 삼는 생물은 없다. 바닷물 속에서 일생을 보내는 물고기나 해초도 매우 적은 양의 소금을 몸 안에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예외가 되는 식물이 있다. 함초라는 식물이다.

 

함초는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소금을 비롯하여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등 갖가지 미네랄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생리를 지니고 있다.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개펄이나 염전 주변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우리말로는 '퉁퉁마디' 라고 하며 소금 생산에 방해가 되므로 염전 주인들이 몹시 귀찮게 여기는 풀이다. 함초에는 소금을 비롯, 바닷물에 녹아 있는 모든 미량 원소가 농축되어 있으므로 맛이 짜고 무게가 많이 나간다. 함초는 지구상에서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가는 식물이다.

 

그리고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 성분은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독소를 걸러 낸 품질이 가장 우수한 소금이라 할 수 있다. 함초는 특히 온갖 미네랄의 보고와도 같아 함초에는 다른 어떤 식품보다 많은 미네랄이 들어 있으며 칼슘은 우유보다 7배가 많고 철은 김이나 다시마의 40배나 되며 칼륨은 굴보다 3배가 많다.

 

이밖에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90여 가지의 미네랄이 골고루 들어 있다. 함초의 효능은 3천년 전인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알려졌다. 곧 주나라 임금이 함초를 하늘에 바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주례(周禮)>에 나온다.

 

일본의 의성(醫聖)이라고 부르는 가이바라의 <대화본초(大和本草)>에는 함초가 불로장수하게 하는 귀한 풀이라고 적혀 있으며 함초 말고도 염초(鹽草), 복초(福草), 삼지(三枝) 등의 여러 이름이 적혀 있다.

 

줄기는 마디가 많고 두드러지며 가지는 2~3번 갈라져서 마주 난다. 가지는 다육질로 비대하고 진한 녹색이며 잎은 없다. 키는 10~40cm쯤 자라고 꽃은 6~8월 가지 끝에 녹색으로 보일 듯 말 듯 핀다. 열매는 10월에 납작하고 까맣게 익는다.

 

봄부터 여름까지는 줄기와 가지가 진한 녹색이다가 가을이 되면 진한 빨강색으로 물든다. 가을철 서해안의 갯벌이 온통 빨강 물감을 쏟아 부은 듯 함초, 나문재, 칠면초 등이 무리 지어 있는 풍경은 가을 산에서도 볼 수 없는 장려하고도 이국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중국의 옛 의학서인<신농초본경>에는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鹹草),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또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이라 하여 신초(神草)라고도 불렀다. 일본에서는 100년쯤 전인 1891년에 북해도 아케시마 만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아름다움과 희소성으로 인하여 1921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함초는 그 이름대로 맛이 몹시 짜다. 짜도 여느 소금처럼 쓴맛이 나면서 짠 것이 아니라 단맛이 나면서 짜다. 짠 것을 먹으면 대개 목이 마르지만 함초에 들어있는 소금은 많이 먹어도 갈증이 나지 않는다.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생명체에서 해로운 물질들을 걸러내고 이로운 물질들만 농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은 다른 어떤 소금보다도 생명체에 유익한 소금이라 할 수 있다

 

[좋은 함초건초 고르는 방법]
함초는 채취 시기와 건조 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좋은 함초건초란 ?  함초의 영양분이 가장 높은 시기인 함초가 녹색일때 채취하며 또한 깨끗하게 세척후 건조 상태가 우수한여 처음의 함초색인 연한 녹색을 띠는 것입니다. 건조방법에 따라 색상이나 비용차이가 있지만 자연건조보단 영양소파괴를 줄이기 위해 단시간에  건조기계를 통하여 건조한 함초건초가 휠신 더 좋습니다.


 대체로 좋은 함초건초는 연한 녹색을 띠며  
자연건조는 태양빛의 영향으로 연한 녹갈색을 띄게 됩니다.    

함초 쭉정이란? : 함초의 씨앗이 빠져버린 갈색의 빈 껍데기 입니다.(죽은나무라고 생각

하시면 될듯)함초는 녹색에서 적색으로  다시 또 갈색으로 변하는데  이때 함초의 열매

라 할수있는 씨앗이 떨어지게 됩니다.  함초는 1년 동안에만 사는 풀이기 때문에  함초씨

앗이 빠져버린 함초 쭉정이는 영향소가 적습니다.

 함초씨앗용은 따로 남겨두어 11월에 씨앗을 얻은 뒤 그 쭉정이는 폐기 하거나 가축사료

용으로 따로 판매하며 식품제조업자에게는 쭉정이를 절대 판매하지 않습니다.
함초쭉정이는 절대 사용하면 안됩니다.

 

 

 



함초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에 불량함초로 제조한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어 간단하게 구별하는 법을 설명합니다.
함초를 씹어서 드시면 바로 확인 됩니다.
흙이 씹히는 느낌이면 바로 불량함초 쭉정이로 제조한 제품입니다. 

보통에 사람들은  함초환 제품이나 분말제품을 드실때  씹지않고 물과 함께 그냥 삼켜 버립니다. 

앞으로는  함초제품을  구입후 소량을 한번 씹어 보십시오.
함초환이나 분말을 씹었을때 입안에서 흙을(갯벌을)씹는 느낌이 온다면 거의다 채취 시기가 지나버린 쭉쟁이 불량함초로 제조한 제품 입니다.

쭉쟁이 불량함초에 갯벌이(흙이) 섞여있는 이유는  사진에서처럼 함초는 가을중순에 색상이 빨개지는면서 또 몸에서 씨앗이 빠져나가 줄기에 홈(구멍)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자연상태에서 비나 바람등이 불어오면 미세한 먼지나 흙등이 홈에 끼게 됩니다. 이 함초씨가 빠쳐나간 자리는 너무 작아서 아무리 잘 세척을 해도 흙은 남아있게 되는 것입니다.

불량함초란!

1.쭉정이 함초: 위의 사진에서처럼 채취시기가 지나버려  함초씨가 빠진 빈줄기만 가진 함초
2.소금함초: 함초를 짜게 만들기 위해 함초를 채취할때 소금물이나 바닷물로 세척 건조한 함초(이함초는 밑물을 끌어올수 없는 함초 생산지에서 그냥 바닷물로 세척하여 자연건조한것 = 이함초의 성상은 원초자체에 염분이 끼어있어 하얀 소금꽃이 피어 있습니다.그래서 맛도 유난히 짠맛이 강합니다.) 


요즘 식품제조 업자들이 함초가 뜨니까 무조건 함초면 되겠다며 이걸로 한몪봐야지! 그래서 그냥  함초 품질은 낮고 가격도 저렴한 함초원료를 찾는 식품제조 업자들의 전화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뭐%로에 뭐% 밀가루 섞어서 제조하는 건 좋지만 값싸다며 불량함초 사용하지 마십시오. 앞으로 불량함초를 찾으시는 업체들에 전화 받고싶지 않습니다.  


아무리 소량에 흙등이 남아있는 원료로 함초제품을 제조나 판매 한다고 해서  못먹는 제품을 만드는것은 아니므로 식품위생법에 위배되진 않는다지만 도덕적으로 불량 함초원료들을 쓰면 안되는 것입니다.

소비자들이 보다 질좋은 함초들을 찾아야 함초원료시장의 품질도 자연스럽게 올라갑니다. 이런불량 함초들이 유통되지 못하게 하려면 정보를 공유하고 불량함초를 안드시는 길밖에 없습니다.(안 팔리면 당연히 안 만들고 그러다 보면 없어질 겁니다.) 

 

 

놀라운 함초의 효능

 

함초는 숙변만 없애는 것이아니라 풍부한 미네랄과 효소.섬유질.그리고 알칼로이드 성분. 소금기 등이 갖가지 질병을 퇴치하는 작용을 한다 일본의 오하라산장 난치병연구소의 이토 소장은 함초가 갖가지 암.충농증.관절염.고혈압.요통 비만증.치질.당뇨병.갑상선염.천식.기관지염 등에 두루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했다.

 

함초의 효능을 간략하게정리하면

 

1.숙변을 분해하여 몸무게를 줄이고 변비를 치료한다.한 달에 8킬로그램까지 몸무게를 줄인 예가 있다

 

2.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피를 개끗하게 하며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과 저혈압을 동시에 치료한다.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속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제거한다 중혈 작용이 뛰어나 빈혈증에도 특효가 있다

 

3.축농증.신장염.관절염 등 온갖 염증에 효과가 있다.함초는 염증을 치료하고 갖가지 염증과 관절염으로인한 수종 등을 치료한다.함초는 병원성 미생죽이는 작용이 뛰어나 어떤 종류의 항생제로도효과가 없는 염증질환에 효험이 있다

 

4.먹는 화장품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피부를 곱게 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기미.주근깨.여드름 같은 것이 없어지며 생리불순이나.생리통 등이 낫는다

 

5.위장기능이 좋아진다. 함초는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소화를 잘 되게 함며 변비.탈장. 치질을 치료한다

 

6.기관지천식과 기관지염을 치료한다 기관지점막의 기능을 좋게하여 기관지천식을 완하하거나 치유한다

 

7.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춘다.함초 생즙을 복용하면 함초의 섬유질이 장에서 당질 섭취를 억제하고 췌장의 기능을 되살려 당뇨병을 치유한다

 

8.갖가지 암 근종 등에 효과가 있다.항암작용이 있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특히 자궁근종에 효과가 있다

 

9.근육통 출혈증.자반병에 효험이 있다.

 

10.갑상선기능을 좋게한다.갑상선은 성장과 신진대사에 중요한.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갑산성기능 저하증이나 항진증 모두에 효능이 있다.

 

11.성기능이 좋아져서 발기부전.조루.성욕감퇴.만성피로.등의 여러 증세가 없어진다

'약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치  (0) 2008.07.21
약초이름과 동영상  (0) 2008.06.25
앵두  (0) 2008.06.03
찔레꽃  (0) 2008.05.28
뱀딸기  (0) 2008.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