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살이
○ 겨우살이는 옛 선조들이 초자연적인 힘이 있는 것으로 믿어 온 식물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옛 사람들은 겨우살이가 귀신을 쫒고, 온갖 병을 고치며, 아이를 낳게 하고, 벼락과 화재를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생불사의 능력이 있는 신성한 식물로 여겨왔다.
○ 옛 사람들이 겨우살이가 신통한 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믿는 것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겨우살이는 모든 나무가 잎을 떨군 겨울에도 홀로 공중에서 푸름을 자랑할 뿐만 아니라 일생 흙과 접촉하지 않아도 꽃을 피우고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다.
○ 특히 유럽 사람들은 참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를 불사신의 상징으로 믿었고 하늘이 내린 영초라고 신성시하여 절대적인 경외의 대상으로 여겼다.
○ 겨우살이는 나무 줄기위에 사는 착생식물로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떡갈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오동나무, 오리나무, 밤나무 등의 나무줄기에 뿌리를 박아 물을 흡수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겨우살이는 엽록소를 갖고 있어 자체에서 탄소 동화작용을 하여 영양분을 만들 수 있으므로 숙주식물한테서는 물만을 빼앗을 뿐이다.
○ 그러므로 대개 겨우살이는 숙주식물에 전혀 피해를 주지 않는다. 겨우살이는 새들을 통해서 번식한다.
○ 여름철에는 다른 식물의 그늘에 가려서 햇볕을 받지 못하므로 자라지 않고 있다
가 가을이 되어 나뭇잎이 떨어지면 꽃을 피우고 겨울동안에 구슬처럼 생긴 연한
노란빛의 열매를 주렁주렁 맺는다.
○ 이 열매는 겨울철새들이 먹이를 구하기 어려울 때, 새의 먹이가 된다. 이 열매에는 끈적끈적한 점액이 많이 들어 있는데 새들은 이 점액과 씨앗을 먹고 나서 부리에 붙은 점액을 다른 나무의 껍질에 비벼서 닦는다.
○ 이때 끈끈한 점액에 묻어 있던 씨앗이 나무껍질에 달라붙어 있다가 싹을 틔우게 되는 것이다. 겨우살이는 옛 선조들이 믿었던 대로 놀랄 만큼 약효가 뛰어난 식물이다.
겨우살이의 약효
▷ 항암작용
- 겨우살이는 가장 강력한 항암식물의 하나이다. 유럽에서는 암 치료에 가장 탁
월한 효과가 있는 식물로 겨우살이와 털머위 를 꼽고 있을 정도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민간에서 겨우살이를 달여서 먹고 위암, 신장암, 폐암 등을 치
유한 사례가 있다.
▷ 혈압강하
- 겨우살이는 견줄만한 데가 없을 만큼 훌륭한 고혈압 치료제이다.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 현기증 등에도 효과가 있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도 탁월하다.
- 하루 30~40그램을 물로 달여 차 대신 마신다.
▷ 신경통, 관절염
- 겨우살이 전체를 독한 술에 담가 두었다가 1년 뒤에 조금씩 마시면 관절염, 신경통에 큰 효과를 본다.
▷ 지혈작용
- 여성의 월경과다증이나 갖가지 출혈이 있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 이뇨작용 및 안신작용
- 몸이 붓고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세에 치료 효과가 크다. 간경화나 암으로 인
한 복수에 효과가 있으며 결핵성 당뇨병에도 좋다.
▷ 임산부가 겨우살이를 먹으면 태아가 건강해지고 편안해진다.
▷ 겨우살이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 독성이 없으므로 누구든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만능약이 바로 겨우살이다
민간요법에서는 참나무류나 떡갈나무에서 자란 것만을 쓰며, 버드나무나 밤나무에서 자란 것을 달여 두통 먹으면 두통 증상을 보이는 등의 부작용이 생긴다고 한다.
관절염 근육통 안태 면역력증진 허약체질 당뇨병 고혈압
겨우살이는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나뭇가지에 뿌리를 박아 양분을 흡수하며 살아가는 기생목(寄生木)이다. 주로 활엽수의 나뭇가지 끝에 매달려 멀리서 보면 까치둥지 모양으로 매달려 있다.
마주보는 육질의 잎도 Y 자 형태로 늘 붙어 있다. 하지만 "꼬리겨우살이"는 잎이 얇고 넓으며 겨울이 되면 잎이 지는데 둥글게 생긴 노란열매만 가득 붙어 있는 모습이 대단히 아름답다. 우리나라 남해안 및 제주도에는 동백나무에 붙어 기생하는 "동백나무겨우살이"가 있다. 내륙 지역의 겨우살이와는 생김새나 모습 및 맛이 완전히 다르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간을 맑게하고 가래를 삭이며 지혈하고 해독한다. 각막염 후유증, 폐결핵, 만성기관지염, 두통, 목적, 기침에 가래가 많은데, 학질, 나력, 백대하, 자궁출혈, 외상출혈, 종기,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하루 8~12그램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외용시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겨우살이는 나무 줄기 위에 사는 착생식물로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떡갈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밤나무 등의 여러 나무 줄기에 뿌리를 박아 물을 흡수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겨우살이는 엽록소를 갖고 있어 자체에서 탄소 동화작용을 하여 영양분을 만들 수 있으므로 숙주식물한테서는 물만을 빼앗을 뿐이다. 그러므로 대개 겨우살이는 숙주식물에 거의 혹은 전혀 피해를 주지 않는다. 겨우살이는 새들을 통해서 번식한다. 여름철에는 다른 식물의 그늘에 가려서 햇볕을 받지 못하므로 자라지 않고 있다가 가을이 되어 나뭇잎이 떨어지면 꽃을 피우고 겨울 동안에 구슬처럼 생긴 연한 노란빛의 열매를 주렁주렁 맺는다. 이 열매는 겨울철새들이 먹이를 구하기 어려울 때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이 열매에는 끈적끈적한 점액이 많이 들어 있는데 새들은 이 점액과 씨앗을 먹고 나서 부리에 붙은 점액을 다른 나무의 껍질에 비벼서 닦는다. 이때 끈끈한 점액에 묻어 있던 씨앗이 나무껍질에 달라붙어 있다가 싹을 틔우게 되는 것이다. 겨우살이는 옛 선조들이 믿었던대로 놀랄 만큼 약효가 뛰어난 식물이다. |
'약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효과가 높은 민간약초 (0) | 2008.08.19 |
---|---|
버섯 민간요법 (0) | 2008.08.19 |
신이 내린 보약나무 뽕나무 (0) | 2008.07.25 |
참당귀와 개당귀 (0) | 2008.07.25 |
구찌 뽕나무 (0) | 2008.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