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피로(眼睛疲勞)
요즘은 눈이 혹사를 당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어려서부터 컴퓨터나 오락에 빠져서 안경을 쓰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시력이 떨어져 있다.
특히 학생에게 근시가 많이 나타나는데, 경도 및 중등도의 근시는 정상적이라 생각되나, 고도근시는 유전경향이 있어 열성 유전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후천적인 근시는 자신이 관리를 잘 못해서 생긴 경도(-2D이하) 및 중등도(-2D~-6D)의 근시를 가리키고, 선천적인 근시는 -6D이상의 고도근시를 의미한다.
경도근시는 단순근시라 하는데, 학교근시라고도 하며 10세 가량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진행되며, 신체의 발육이 활발한 시기에 급속하게 도수가 올라가다가 신체의 성장이 멈추는 25세 정도이면 진행이 정지된다. 그 도수는 대개 중등도 이하이고 고도근시로 진행되는 예는 드물다.
고도의 악성근시는 5~10세쯤이나, 선천적으로 발생하여 점차 고도근시로 빨리 진행한다. 선천성 근시는 대개 유전성에 의해서 발생되며, 이것을 진성근시라 하고, 후천성 근시는 자기의 섭생 잘못으로 발생된다.
즉 신체발육시기에 독서로 과도한 시력을 소모하였거나, 과도하게 가까운 작업으로 시력이 감퇴되는 것으로 이것을 가성근시라 한다.
원시(遠視)의 원인 중 선천적인 것으로는 유전에 의한 것이 있고, 후천적인 것으로는 오랫동안 작은 글씨를 보거나 조명이 약한 데서 작업을 한다거나, 광선에 의해 시력을 손상받거나, 체위가 바르지 못해서 생길 수 있다.
또 과도한 성생활, 무절제한 음식물 섭취, 심신피로, 슬픔, 근심, 울음 등이 음정(陰精)을 소모시킨 것도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양기(陽氣)가 왕성하고 음정(陰精)이 부족해서 빛이 산란되는 것을 거두어들이지 못하기 때문에 멀리 있는 것을 잘 보지 못한다고 이해하고 있다.
치료는 볼록렌즈로 교정하지만 안정피로나 시력불량의 증상이 없을 경우 교정할 필요는 없다. 한방약물로는 지지환(地芝丸)이나 육미지황환에 모려(牡蠣)를 가하여 사용하거나 지황원(地黃元)을 선택한다.
침치료가 효과가 좋은 편인데, 승읍, 사백, 견중수, 두유, 정명, 광명(光明) 등에 매일 침자한다.
근시(近視)의 원인은 음기가 왕성하고 양기가 부족하여 멀리까지 기가 이르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치료는 정지환(定志丸), 보신자석환(補腎磁石丸) 등을 사용한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근시 등에 사용되는 수술법으로 라식이나 엑시머레이저가 있다. 매우 좋은 효과를 주고 있지만 간혹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하며,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확실한 검증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너무 남용되는 경향이 있다.
한의학에서 눈은 간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간은 인체의 피로를 관장하는 장기이며, 눈에 피로가 쌓이는 것은 간이 피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치료약도 간의 기능을 보강해주는 약물들이 많이 사용된다.
치료는 전신증상을 고려하여 기국지황탕(杞菊地黃湯)과 사물탕(四物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귀비탕(歸脾湯), 쌍화탕(雙和湯),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등을 가감하여 사용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극보양뜸 (0) | 2008.09.15 |
---|---|
눈관리 10훈 (0) | 2008.09.05 |
누에똥 - 아토피 특효약 (0) | 2008.08.19 |
7가지 바람직한 건강 습관 (0) | 2008.07.28 |
작은 민간 요법 상식 (0) | 2008.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