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버섯
항알레르기 효과가 입증된 수백종의 한약재 중 가장 효과가 뛰어납니다. 엄지손가락 1-2개 크기의 영지에 물 1리터를 넣고 30분간 끓여서 수시로 마시게 합니다. 보리차 대용으로 온 가족이 마셔도 좋습니다.
신이
신이는 목련의 꽃봉오리로, 점막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므로 비염으로 인해 코막힘 증상이 심할 때 좋습니다. 가루내어 한번에 4그램 정도씩 파 흰 부분을 달인 물로 먹는데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신이를 솜에 싸서 콧구멍에 넣어 두는 것도 좋고, 신이 12~15그램과 쌀 100그램을 넣어 죽을 만들어 먹어도 좋습니다.
마사지
양 눈썹의 중간점부터 앞머리 돋아난 곳까지 잇는 일직선을 양쪽 엄지손가락을 교대로 30~50차례 밀어 올립니다. 양쪽 눈썹 바깥쪽과 옆머리 돋아난 곳 사이의 우묵한 부위를 양손의 엄지나 가운데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듯 약 30~50번 부드럽게 문지릅니다. 양쪽 콧구멍 아래를 둘째, 세째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문질러 줍니다. 코 양옆을 부드럽게 문질러 따뜻하게 열이 날 정도로 마사지합니다.
생강
재체기가 그치지 않을 때에는 생강즙을 몇방울 떨군 미지근한 물에 코를 씻으면 좋다.
백목련
갈근탕에는 백목련 꽃봉우리 건조시킨 것을 하루 5~10g씩 넣어 달여 마신다.
식염수
식염수나 맹물 또는 맹물에 소금을 조금 탄(사람의 수분과 비슷한 농도의 염분) 물로 매일 저녁 코로 흡입하여 도로 코로 뱉어내는 걸 꾸준히 하시면 좋은 효과가 있답니다.
매일매일 코 속이 소독되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들이 사라지죠.
처음에는 적응이 안되어 힘들겠지만 두어번 해보시면 나름대로 요령도 터득하시고 괜찮을 겁니다.
한방차, 천일염수
오미자, 백도라지 (말린것 ) ,생강 ,대추 ,배도 한쪽 넣고 이것을 적당이 넣고 끓여서 물처럼 먹고 중요한 것은 천일염 (반드시) 소금물 아침 저녁 양치후 소금물로 가글을 하고 또 코에다 (양쪽)넣었다가 입으로 뱉어 내고
물로 다시 헹구었습니다. 이렇게 약 3-4일 했더니 거짓말 처럼 치유되었습니다. 오미자등 물은 오랫동안 먹었습니다. 약 3개월동안 나도 모르게 언제 나았는지 모르게 나았습니다.
코 지압법.
1. 부비강을 가볍게 3초 누르고 2초 쉽니다. 코가 막힌 부분을 위로 하고 3-5분하면 막힌 부분이 뚫리면서, 아래로 코가 내려가서 아래 코가 막히게 되고,
그러면 다시 반대로 합니다.
4-5일이 되면 피딱지가 떨어져 나오는 데, 축농증, 비염, 코감기는 완전히 낫습니다.
2. 손을 비비어 따뜻하게 한 다음 가운데 손가락으로 얼굴과 코 사이를 18번 상하로 이마 밑에서 코끝까지 문질러 줍니다.(영향혈)
코 구멍 세척법
물이나 소금물로 코를 씻어 준다.
한 쪽을 막고 빨대로 빨아드려 입으로 내 뱉는다.
체질 개선이 될 때가지 계속하셔야 합니다.
***********************************************************
비염 치료의 민간요법 소개
여름철 냉방병으로 고생하시는 님들께 이비인후과 순환기계통의 질환으로 맑은 콧물이 흐르는 증상 흔히들 비염이라고들합니다.
그리고 엎드려 공부하는 학생을 둔 가정이나, 선천적으로 비염으로 고생하는 분, 아니면 4,5월에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 기침 또는 재채기로 고생하시는 분은 지금부터 기록 하셨다가 꼭 실천해보세요.
처음에는 상당히 어렵고 눈물과 콧물이 핑핑 나오긴하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완쾌하세요.
첫째: 참숯가루를 준비한다
둘째: 천연죽염 가루를 준비한다
셋째: 미지근한 물을 커피잔 또는 종이컵에 3/4 붓는다,
넷째: 죽염가루를 탄 후 세끼손가락을 찍어서 맛을 본다 너무 짠 느낌이
들지 않을 만큼 넣은 다음 골고루 희석시킨다.
다섯째: 참숫가루를 차숫갈에 1/3의 량(量)을 커피잔 또는 종이컵의 따뜻한
물에 넣은 후 골고루 희석시킨다.
여섯째: 입술을 꼭 닫고 미지근한 참숫가루의 물을 코로 흡입한 다음 입으로
뱃어내는 방법을 반복하여 계속 실시하며 아침 저녁으로 10일정도만
하면 호전 될 것입니다.
상태가 심각한 환자는 계속해서 호전 될 때까지 반복하면 완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비염, 축농증에 좋은 [신이유근피차]
-효능
비염이 학업에 장애를 주는 것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신이화와 유근피는
폐와 기관지등 호흡기에 도움을 주어 비염이나 축농증, 코막힘 등 호흡기 질환에 도움이 된다.
- 마시는 방법
신이와 유근피를 물에 넣고 끊여서 마신다.
유근피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다른 이름으로‘유근피’라고 합니다.
일명 코나무라고도 불리는 느릅나무는 끓이면 나무에서 코처럼 끈적끈적한 액이 나와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도 합니다.
이른 봄에 뿌리 껍질을 벗겨내어 그늘에서 말립니다.
습기가 차면 쉽게 곰팡이가 생기므로 주의해야 하며, 잘 건조된 유근피는 껍질 안에 색이 황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좋은 유근피 선택하는 방법
- 건조상태가 양호한 것
- 껍질 안이 황갈색 인 것
유근피 차 만들기
재료; 유근피, 물
1. 유근피를 기호에 맞게 물에 넣고 끓입니다.
2. 물이 끓으면 약한 불로 15분정도 끓입니다.
3. 건더기는 걸러내고 마십니다.
한번 사용하신 유근피는 그냥 버리시지 마시고 유근피는 2번 ~ 3번 정도 더 끓여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이자
창이자는 열매가 귀고리처럼 생겼기 때문에 이당초(耳璫草)로 불렸으며 옛 중국의 낙수(洛水) 지방에서 양을 몰고 촉나라(蜀)로 들어가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 씨앗이 양털에 달라붙어서 옮겨갔기 때문에 양부래(羊負來)라고 부르기도 했다.
잎 모양이 모시풀(시마:枲麻) 또는 연줄기(가:茄)와 비슷하기 때문에 시이(枲耳)나 야가(野茄)라고 하였다. 또한 미끌미끌한 맛이 접시꽃과 비슷하기 때문에 지규(地葵)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한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고 독성이 있다.[辛苦溫有毒]
창이자는 풍한을 없애는 약재로 축농증, 비염, 두통, 발열, 기침, 사지동통마비, 굴신이 자유스럽지 못할 때, 피부가려움증, 중이염에 쓴다.
약리작용은 정유와 알칼로이드에 독성반응, 혈당강하, 백혈구감소방지, 진해, 심장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긴 난원형으로 양 끝이 뾰족한데 한쪽에는 2개의 부리가 있고 전체에 가시가 돋아 있으며 바깥 면은 황갈색이고 속은 2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으며 안에 흑색의 납작한 검은 씨가 1개씩 들어 있다.
다른 이름으로 권이(卷耳), 시이실(葈耳實), 창이실(蒼耳實), 호침자(胡寢子) 시이(枲耳), 호시(胡枲), 상사(常思), 상사채(常思菜), 작이(爵耳), 저이(猪耳), 이당(耳璫), 지규(地葵), 시(葹), 양부래(羊負來), 도인두(道人頭), 진현채(進賢菜), 갈기초(喝起草), 야가(野茄), 겸사초(縑絲草), 백호채(白胡菜) 등이 있다.
창이자는 도꼬마리의 열매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며, 축농증으로 코가 막히고 머리가 아플 때
콧물과 피부 가려움증 등에 쓰입니다
창이자를 끓여서 그 물로 콧속을 매일 세척해주시면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창이자물로 콧속을 세척
이 방법이 축농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축농증이나 비염에는 이렇게 매일 콧속을 세척해 주시는 것을
꾸준히 해주시면 되고요
세척을 하실 때 면봉등을 이용해서 콧속을 살짝 살짝 닦아주는
느낌으로 하시면 됩니다. 창이자는 끓여 드시는 방법이 아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용 비데 깨끗하게 사용하는 방법 (0)
2008.10.16
우울증 조울증의 차이와 자가진단 (0)
2008.10.15
다리에 나는 쥐 (0)
2008.10.03
잠자는 方法과 일어나는 方法 (0)
2008.10.03
대변 건강법 (0)
2008.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