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 프롬프트와 드라이브 변경
C:\> _ C:\> _
좌측은 한글 도스로 부팅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도스 프롬프트이고 우측은 영문 도스로 부팅했을 때 나타나는 도스 프롬프트이다. 도스 프롬프트는 현재의 커서가 위치한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위의 예시는 현재 커서의 위치가 C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에 있다는 것이다. \ 또는 \ 는 키보드의 \키를 사용해서 입력한다.
원하는 드라이브로 이동하고 싶을 때는 드라이브 명:를 입력해서 엔터키로 명령하면 된다. A드라이브로 이동하고 싶을 땐 a: , D드라이브로 이동하고 싶을 때는 d: 라고 입력하면 된다.
디렉토리 이동
D:\강좌\dos> D:\tech\dos>
디렉토리는 도스에서 사용하는 명칭으로 윈도의 폴더와 같은 개념이다. 윈도 상에서는 한글 폴더명을 사용해도 별 지장이 없지만 도스 상에서는 한글이 지원되는 한글도스라 할지라도 한글 입력은 타수 입력이 많아질 뿐 아니라 영문 도스 상에서는 한글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아 알아볼 수도 없고 한글 입력을 할 수도 없으므로 불편하게 된다.
도스 상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은 dir 이다. dir 명령은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와 파일의 용량, 하위 디렉토리 그리고 해당 드라이브의 남은 용량 등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해준다.
따라서 도스 상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윈도 상에서 미리 폴더 명을 우측의 예시처럼 영문으로 하고 파일명도 영문으로 해준다. 도스 상에서는 파일은 파일명 8자, 확장자 3자만을 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서 파일명을 정해야 한다. 도스 상에서 아래의 우측 예시와 같이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d: D:\>
cd tech D:\tech>
cd dos D:\tech\dos>
위의 예시 좌측은 커서로 입력한 명령어이고 우측 예시는 명령어에 따른 프롬프트의 변화이다. cd 디렉토리명은 명령은 하부 디렉토리로 이동한다는 명령이다. D드라이브의 최상위 위치인 루트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해들어가는 것이다. 명령은 명령어 끝에서 엔터키를 쳐야 실행이 된다.
이번에는 서브 디렉토리에서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방법이다.
d: D:\tech\dos>
cd.. D:\tech>
cd.. D:\>
cd.. 명령은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는 명령이다. 이와 같은 단계식으로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불편하게 느껴질 것이다. 이럴 때는 cd\ 명령을 입력하면 하위 디렉토리에서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로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드라이브로 이동하면서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하고자 할 때 한번에 명령하는 방법은 드라이브 명:\ 라고 하면 된다. 만약에 C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c:\ 라고 명령한다.
디렉토리와 복사
C:\image> D:\tech\dos>
좌측은 C드라이브에서의 커서의 위치이고 우측은 D드라이브에서의 커서의 위치이다. 각 드라이브는 커서가 최종적으로 위치했던 디렉토리를 기억하게 되어 있다. 한번도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하지 않은 드라이브로 이동할 경우에는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에 커서가 위치하게 된다.
커서를 C드라이브의 image 디렉토리에 현재 위치시킨 상태에서 복사 명령으로 D드라이브의 dos 디렉토리로 image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복사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위와 같이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의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imgate>copy cpu1.jpg d:
이 방법은 현재 위치한 C드라이브의 image 디렉토리에서 D드라이브에서 최종적으로 위치했던 디렉토리로 cpu1.jpg 파일을 복사하게 된다.
C:\imgate>copy cpu1.jpg d:cpu3.jpg
파일을 복사할 때 복사된 파일의 이름이 변경되어 복사하게 하는 방법이다. C드라이브의 image 디렉토리의 cpu1.jpg 파일이 D드라이브의 디렉토리에 cpu3.jpg라는 이름으로 복사된다.
C:\imgate>copy cpu2.jpg d:\tech\dos
이 방법은 위의 방법과는 약간 다른 방법이다. 복사할 파일의 목적경로를 직접 입력해서 D드라이브에 최종적으로 커서가 위치해 있었던 디렉토리와 상관없이 원하는 디렉토리로 복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
C:\imgate>copy cpu2.jpg d:\tech\dos\cpu4.jpg
C드라이브의 image 디렉토리의 cpu2.jpg 파일이 D드라이브의 driver 디렉토리에 cpu4.jpg라는 이름으로 복사된다.
이 번에는 커서의 주체를 목적지로 두고 복사하는 명령을 알아보자.
D:\tech\dos>copy c:vga1.jpg d:
이 방법은 커서의 현재 위치를 D드라이브의 dos 디렉토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C드라이브에서 커서가 최종적으로 위치했던 디렉토리의 vga1.jpg 파일을 D드라이브의 커서가 위치한 디렉토리에 복사하라는 명령이다.
D:\util\driver>copy c:vga1.jpg d:tech.txt
C드라이브의 커서가 최종적으로 위치했던 디렉토리의 vga1.jpg 파일을 D드라이브의 현재 커서가 위치한 디렉토리로 tech.txt라는 이름으로 저장하는 명령이다.
D:\util\driver>copy c:\util\driver\vga2.jpg d:
이 방법은 현재 커서가 위치한 디렉토리로 특정 경로에 있는 파일의 경로를 직접 입력해서 복사하는 방법이다. C드라이브에 위치했던 커서의 디렉토리 위치에 관계없이 복사할 파일의 직접 경로를 입력해서 D드라이브의 현재 커서의 디렉토리에 복사하라는 명령이다.
파일 삭제 명령
파일 삭제는 del 명령을 이용한다. del 명령은 커서가 위치한 디렉토리 내의 파일만 삭제할 수 있으며 디렉토리는 삭제하지 못한다.
C:\imgate>del cpu2.jpg
C드라이브에 있는 image 디렉토리의 cpu2.jpg 파일을 삭제하라는 명령이다.
C:\imgate>del cpu*.jpg
C드라이브에 있는 image 디렉토리의 파일들 중에서 파일명이 cpu으로 시작하고 확장자가 jpg인 파일만을 삭제하라는 명령이다.
C:\imgate>del vga1.*
파일명이 vga1인 파일만을 전부 삭제하라는 명령이다.
C:\imgate>del *.*
C드라이브의 image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하라는 명령이다.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이 삭제되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제 3 장 와일드카드 옵션 활용과 디렉토리 삭제 및 생성
*와일드카드 옵션을 이용한 명령어
앞서 디렉토리 및 복사 관련 설명에서 나왔던 명령어 중에서 * 옵션을 사용한 명령어를 다뤄보기로 하자. *은 all(전부)라는 개념으로 도스 명령에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D:\tech\dos>copy *.* c:
D드라이브에 있는 dos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C드라이브에 커서가 최종적으로 위치했던 디렉토리로 복사하라는 명령이다.
C:\imgate>copy *.jpg d:\tech
C드라이브에 있는 image 디렉토리의 파일들 중에서 확장자가 jpg인 모든 파일을 D드라이브의 tech 디렉토리에 복사하라는 명령이다.
C:\imgate>copy tech*.tx* d:tech
C드라이브에 있는 image 디렉토리의 파일들 중에서 파일명이 tech로 시작하고 확장자가 tx로 시작하는 파일만을 D드라이브의 tech 디렉토리에 복사하라는 명령이다.
C:\imgate>dir *.txt
C드라이브 image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 중에서 확장자가 txt인 파일만을 전부 목록으로 표시하는 명령이다.
dir 명령의 응용
앞서 언급되었던 dir 명령의 옵션 응용에 대해 알아본다.
C:\imgate>dir *.txt
C드라이브 image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 중에서 확장자가 txt인 파일만을 전부 목록으로 표시하는 명령이다.
C:\imgate>dir tech*.*
파일명이 tech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목록으로 표시하는 명령이다.
C:\imgate>dir/w
파일 목록을 가로로 나열해서 표시해서 좀더 보기 편하도록 표시하는 명령이다.
C:\imgate>dir/p
dir 명령으로 파일 목록을 표시하다 보면 그 내용이 화면 넘어가서 다 볼 수가 없는 상황이 생기는데 그 때 dir/p 명령을 이용하면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화면에 표시해준다.
C:\imgate>dir/w/p
dir/w 명령으로도 한 화면에 내용을 전부 표시못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디렉토리 삭제 명령
디렉토리를 삭제하고자 할 때에는 삭제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을 삭제한 후에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삭제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있다. 삭제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에 하위 디렉토리가 존재할 경우 그 하위 디렉토리부터 앞서 설명한 삭제과정으로 삭제한 후에야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의 D:\tech\dos\에서 tech 디렉토리를 삭제하려면 그 하위 디렉토리인 dos 디렉토리부터 삭제를 해야 한다. 그 후에 tech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을 제거하고 상위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tech 디렉토리를 제거할 수 있다. 예시를 통해서 확인해보도록 하자.
d: D:\tech\dos>
del *.* dos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 삭제
cd.. D:\tech>
rd dos 하위 디렉토리인 dos 디렉토리 삭제
del *.* tech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 삭제
cd.. D:\>
rd tech 하위 디렉토리인 tech 디렉토리 삭제
파일 삭제 명령인 del 명령은 해당 디렉토리 내의 하위 디렉토리는 삭제하지 못한다. *.* 은 모든 파일명.모든 확장자 의 의미로 모든 파일을 지칭하는 옵션이다. 오직 파일들만 삭제가 가능하다.rd 명령은 하위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이다. 삭제하려는 디렉토리 내에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가 존재할 때에는 삭제를 하지 못한다. 따라서 디렉토리를 제거하려면 직계 최하위 디렉토리부터 삭제를 해야 하며 삭제하려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먼저 전부 삭제한다.
'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타시아 (동영상 녹화 편집) (0) | 2009.06.18 |
---|---|
플래닛 블로그찾기 (0) | 2009.06.17 |
C: 드라이브나 D:드라이브가 열리지 않을 때 (0) | 2009.06.13 |
네로 프로그램 지우기 (0) | 2009.06.10 |
CD의 자동 실행 기능 죽이기 (0) | 200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