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귀촌 텃밭 구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농사는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닙니다
식물하나하나 채소하나하나 다 살아 있는 생물입니다
마음으로 가꾸어야 잘 자라지요
언젠가는 귀농해야 합니다
농가주택 구해서 살려고 하는 분들이 많이 있지요
요즘은 농가주택이나 귀농 주택 구하기 정말 어렵습니다
충청도지역은 가격이 장난이 아닙니다
앞으로 10년후에는 귀농 귀촌도 못할 것 같아요
스틸하우스 주택도 좋은주택 입니다
조립식주택도 좋은주택 입니다
편안하고 행복하면 그게 좋은 주택 입니다
작은주택도 마음만 편안하면 좋은 주택 입니다
좋은주택 좋은 토지 구하나요?
전원주택 화려하고 좋은 곳에서 살기를 바라나요?
노후에 큰 주택은 마음에 부담만 줄 뿐입니다
노후에 화려한 주택은 아닙니다
작은주택 구해서 편안하게 사는게 노후룰 보내는 가장좋은 방법 입니다
요즘은 좋은 사진이나 좋은 정보로 손님을 유혹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좋은사진만 보고 토지를 보러가면 실망이 큽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전문가하고 상의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 입니다
귀농주택은 아주 좋은 주택보다는 실속있는 주택을 고르세요
너무크고 화려한 주택은 나중에 짐이 됩니다
너무좋은 주택도 짐이 되지요
작으면서도 실속있는 주택을 고르세요
그래야 편안하게 살 수가 있습니다
노후는 편안하게 사세여
행복한 귀농은 마음에 있지요
행복한 귀촌은 마음에 있습니다
지방에 가서 토지매수 하실때 지방 부동산에서 토지사용 승낙서를 써준다고
하는 토지가 있습니다. 이런토지는 맹지입니다
토지사용 승낙서를 이용하여 주택건축은 가능하나 토지사용 승낙서를 써준 주인이 소유하고
있는 동안만 도로로 사용할 수 있지요
만일 다른사람에게 소유권이 넘어가면 넘어간 사람에게 또 다시 토지사용 승낙서를 받아야 합니다
만일 소유권을 가진분이 사용승낙서를 안 써주면 맹지입니다
길을 막아도 할 수가 없지요
토지사용 승낙서를 써준다는 토지는 매수안하는 게 현명한 방법입니다
농지는 농림지역과 관리지역으로 되어있습니다
농림지역은 농업진흥지역 농업보호지역으로 되어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림지역은 주택을 건축을 못하는 토지인 줄 알고 계시는데
농림지역에도 요건만 맞으면 농어가 주택을 건축할 수 있습니다
농어가 주택은 30평 미만의 주택을 말하는 겁니다
농림지역의 농업보호지역은 매입해서 농지원부 만들고 1년정도 지나면 주택을 건축할 수 있고
5년이상 무주택자는 주택을 건축할 수 있습니다
3년이상 농지원부를 만들어서 농사 지은 분은 도로만 있으면
건축을 할 수 있습니다
농림지역도 투자의 수단이 됩니다
경기도에 있는 농림지역토지 가격은 평당 100만원이 넘는 곳도 많이 있지요
농림지역도 농업에 필요한 창고, 농산물 판매시설, 요양원, 종교시설 할 수있는 게 많이 있습니다
귀농이나 귀촌을 원하는 분들이 토지매입시 계획관리 지역이 좋은토지 라고 생각합니다
농지 구분은 관리지역과 농림지역 으로 구분 되어 있습니다
관리지역은
1. 계획관리지역
2. 보존관리지역
3. 생산관리지역
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계획 관리지역은 예전에 한계농지라 하여 영농여건 불합리 농지(이말은 농사를 하기 나쁜토지란 말입니다)
라 하였습니다.
그래서 계획관리 지역에는 식당이나 근생시설을 허가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100평을 허가냈을때 40평을 건축할 수 있습니다
생산관리나 보존관리지역은 20평 입니다
그러나 농사를 지러 가시는 분들에겐 굳이 계획관리지역이 필요가 없으며 계획관리지역
토지는 좋은토지가 별로 없지요
농사하러 가시는 분들은 주택 지을 수 있는 토지 정도면 되지요
좋은토지 좋은주택 구하시길 바랍니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 질병(배꼽 썩음병) (0) | 2013.06.27 |
---|---|
백두대간과 강 (0) | 2013.06.18 |
다듬 방망이 소리 (0) | 2013.06.11 |
어느 의사의 유언 (0) | 2013.04.23 |
개정된 이름 영문 표기표 (0) | 201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