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각,청각 장애인을 위해 각 질환 아래에 동영상을 업로드 해두었습니다. 




◈ 어지럼

 

어지럼증을 치료하는 장면.JPG


<두신경과 어지럼 진찰 모습>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어지럼 요약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iN-st4Jl9Kw



@어지럼 진찰과 치료 원칙  주소:http://youtu.be/5jR4zj8l25c







●경부성 어지럼


목을 움직일 때 어지럼이 유발되는 질환을 경부성 어지럼이라고 합니다.

피로수면부족목의 통증이 원인입니다

과거에 어지럼을 겪은 후에 어지러운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지 않고 오래 지낸 경우에도 나타납니다

경부성 어지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경부 근육을 이완시키는 치료 전정 재활 운동을 합니다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경부성 어지럼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0nxTZ_yvgvA







●어지럼-편두통성 어지럼


▶ 증상

편두통성 어지럼은, 

특별한 원인 없이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한 어지럼이 반복하여 발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 년에 한 두 번씩심하게 어지러워서 응급실에 갔다가

그 다음날에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두통성 어지럼이 처음 발병하는 시기는, 10 대 초반에서 40대 까지 다양한데

주로 20대 전후의 젊은 연령에서 시작되며, 40대 이후에는 점차 줄어듭니다.   

편두통성 어지럼이 있는 분들은 차멀미를 많이 하는 편이며편두통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움직임에 예민하여놀이기구나 승강기를 탈 때 어지럼을 느낍니다.  

가족이나 친척 중에도 어지럼차멀미편두통이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여자인 경우에는월경 전후에 잘 나타나고임신을 하거나 폐경 후에는 줄어듭니다

어린 아이가 자주 어지럽다고 한다면거의 편두통성 어지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원인

편두통성 어지럼의 원인

어떤 유발인자에 의해 뇌혈관이 수축되는 것인데

편두통과 원인이 같아서 "편두통성 어지럼"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편두통성 어지럼은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에 의해서 나타나지만

오히려 주말에 잠을 너무 많이 자거나낮잠을 자다가 깬 후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 진찰

편두통성 어지럼이 발병할 때 진찰을 하면아무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럼이나 전정 신경염과 비슷하게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진찰하는 시점에 따라 진단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 치료

편두통성 어지럼의 치료는 편두통의 치료와 비슷합니다

편두통성 어지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편두통의 예방약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카페인 음료를 피하시고평소에 몸을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여서평형 기능을 강하게 하십시오

계단을 내려가거나버스를 타고 서 있는 동작이 평형 기능을 강하게 합니다

 

                                     vertigo-어지럼-버스.JPGvertigo-어지럼-계단.JPG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편두통성 어지럼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r25-9gje2J8






●어지럼-피로어지럼

 

머리가 띵하면서 어지러운 느낌이 2-3분 정도 지속되다가 없어지기를 한 시간에 수 차례 반복합니다

심할 때에는 메스껍기도 합니다오전 보다는 오후로 갈수록 심해지고해가 진 후에는 증상이 약해집니다

직장이 있는 사람들은 출근 한지 2-3시간 후부터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운전하는 동작과 같이 긴장하고 있을 때에는 어지럼을 느끼지 않습니다

이런 분들은수면 시간이 부족하거나과로와 스트레스로 몸이 피곤한 경우가 많습니다

직장인이나 수험생에게 많지만손자를 돌보는 할머니에게도 많습니다

이런 분들은눈을 감고 두 발을 붙여서 서 있을 때많이 흔들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목이나 어깨의 근육을 만지면 아프거나고개가 앞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거나,

 양 어깨의 높이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피로 어지럼은 충분한 휴식과 수면이 치료입니다.

자세가 나쁜 사람은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피로어지럼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CkuYhS6e7dk


 





● 어지럼-실신

 

일어날때.JPG



▶ 실신이란?

앉아 있다가갑자기 일어서면시야가 흐려지면서어지러울 수 있습니다 .

주로 새벽에 잠에서 깨어화장실로 가는 도중에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에잘 나타납니다

어지럼만 나타날 때를 "전실신이라 하고더 진행하여 정신을 잃는 것을 "실신"이라고 합니다.


 원인

"실신"이나 "전실신"이 나타나는 이유는갑자기 일어설 때

머리가 너무 빨리 높아져 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침 조례 시간에운동장에 서 있던학생이 쓰러지거나,  

등산을 하다가서서 잠깐 쉬는 도중에쓰러지는 경우

이런 현상은,몸의 혈액이 다리에 몰려서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다리에 있던 혈액은다리 근육이 움직일 때

근육의 펌프 작용에 의해심장과 머리로 올라갑니다

그런데다리 근육을 움직이지 않고오래 서 있거나한참 걷다가 갑자기 정지하면,

 혈액이 다리에만 몰리고뇌로 가지 않기 때문에실신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진단

"실신"이나  "전실신"이 한 번만 나타났을 경우에는, 

심장과 뇌혈관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혈압과 맥박누워 있을 때와 서 있을 때에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측정합니다

누워있을 때보다서 있을 때에수축기 혈압이, 10 mmHg 정도 높아지고,

 맥박도 10회 정도 높아지면 정상입니다

 

건강한 사람도, 30% 정도는평생에 한번실신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직립보행을 하지 않고네 발로 기어다닌다면, "실신"이나  "전실신"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실신은직립보행의 부작용이라할 수 있습니다

"실신"이나  "전실신" 두 번 이상 나타났다면

심장이나 뇌혈관 질환간질성 경련에 대한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혈압약이나 전립선약의 문제인지를  확인하고여기에 문제가 없다면,  

심장이나 뇌혈관 질환간질성 경련에 대한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예방

실신을 예방하기 위해서는갑자기 일어서지 마시고엉덩이 부터천천히 높인 다음

허리를 펴고 머리를 드십시오또한서 있을 때 어지럼이 나타난다면

빨리 허리를 숙여머리를 낮추시고그래도 계속 어지러우면바닥에 엎드리십시오

사람이 많은 복잡한 곳에서허리를 숙일 형편이 안 되면

양 다리와 엉덩이를쥐어짜듯이 꼬고두 주먹을 꽉 쥐십시오

이 때배에 힘을 주면혈액의 흐름이 방해되므로배에는 힘을 주지 마십시오.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실신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RUAbOFlI2O8



 



● 심리적 어지럼 (psychogenic vertigo)

 

일상 생활 중에 0.1초 정도 잠깐씩 어지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편안하게 쉴 때에는 어지럽지 않은데정신을 집중해서 일을 하거나

운전을 하거나직장에서 고객과 마주 앉아 상담하다가 핑 도는 것처럼 느끼기도 합니다

또한자동차 운전 중에 아찔하게 어지러워서 급히 차를 세운다거나

정지 신호에서 대기 중일 때

자신의 자동차가 뒤로 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는 경우도 있습니다.

높은 빌딩 위에서 창 밖을 내려다 볼 때승강기 안과 같이 좁은 곳에 있을 때

사람이 많이 다니는 거리에 있을 때어지럽거나 가슴이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 심한 어지럼을 경험했던 사람이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과거에 어지러웠던 기억이 다시 떠오르면서 어지럼을 느끼는데

이것을 "심리적 어지럼"이라고 합니다

한편과거에 어지럼을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사람도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하면 심리적 어지럼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어지럼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육 이완 운동 전정 재활 운동을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심리적 어지럼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WhB9nv2QFJ0






●어지럼-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럼 (良性 突發性 體位性 眩暈

 < BPPB >

 BPPV-anatomy-PC-dispersed and lodged .jpg

▶ 원인

BPPV는 귀 안의 전정기관에 있던 이석(耳石)이 떨어져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석이 왜 떨어지느냐고요머리에 강한 충격으로 이석이 떨어질 수 있지만저절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BPPV는 누구에게나 발병할 수 있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10살 이하의 어린이에게는 발병한 적이 없다고 합니다

▶ 기전

이석은 입자의 크기가 6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미세한 먼지입니다

이석은 한꺼번에 수 만 개가 떨어져 나와서마치 밀가루가 물 속에 떠 다니는모양으로 보입니다.  

떨어져 나온 이석은 1주 정도 지나면 저절로 녹아 없어집니다.  

그런데이석이 반고리관으로 들어가면 BPPV가 발병합니다반고리관은 3개가 있는데그 중에 뒤에 있는 것과 옆에 있는 것으로 잘 들어갑니다.  

뒤로 누워서 잠을 자면 뒤에 있는 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가고옆으로 누워서 잠을 자면 옆에 있는 반고리관으로 이석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BPPV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잘 생깁니다그리고뒤로 눕거나 고개를 숙일 때에 어지럼이 나타납니다그런데걸어 다니면서 머리를 움직이게 되면이석이 흩어져서 둥둥 떠 다니게 되어 어지럼이 없어집니다.  

 

 

 IMG_1058-tx-frenzel.JPG


 


▶ 진찰

진찰을 할 때에는 프렌쩰 안경을 사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이 과정에서이석이 어느쪽으로 빠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간혹진찰을 할 때에 어지럼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는데이석이 둥둥 떠다니거나어디에 붙어 있는 경우입니다이럴 때에는 머리를 침대에 부딪히거나여러가지 동작을 하여야 합니다

▶ 치료

BPPV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석을 제자리에 넣어야 하는데이런 치료를 이석 정복술이라고 합니다이석 정복술은 어떤 수술이 아니라이석이 빠져 나갈 수 있게 머리를 적절하게 움직이는 동작입니다

약물치료는 메스꺼움이 너무 심할 때에 사용하고주사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석의 위치와 상태에 따라치료가 한 번만에 잘 되기도 하고몇 일이 걸리기도 합니다

치료가 잘 되지 않을 때에는의원에서 알려 드리는 전정 재활 운동을 매일 합니다.   

▶ 재발

BPPV 일년에 한 번 정도 재발할 확률이 있습니다이 때에는 머리를 꼼짝하지 말고 덜 어지러운 방향으로 누워 하루 정도 지내시면 좋아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머리를 움직이지 않아도 어지럼이 계속된다면, BPPV가 아닌 다른 위험한 질환일 수 있습니다.   

▶ 예방

BPPV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카페인 음료는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카페인이 없는 음료수담배 는BPPV와 관계가 없습니다그리고평소에 몸을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여서 평형 기능을 강하게 하십시오계단을 내려가거나버스를 타고 서 있는 동작이 평형 기능을 강하게 합니다


       vertigo-어지럼-버스.JPGvertigo-어지럼-계단.JPG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양성 돌발성 체위성 어지럼 (BPPV)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7yLG-fFNGRk





● 어지럼-전정신경염(煎庭紳經炎)

 

 전정신경염이란

전정 신경염은 전정 기관의 기능이 나빠져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신경염"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이 원인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그렇지만항생제나 소염제로 치료하지는 않습니다.  

전정 신경염의 특징은, 서 있을 때에 어지럼이 심하고누워 있을 때에는 어지럼이 덜하다는 것입니다가만히 서 있으면 한 쪽으로 넘어지려 하고걸을 때에는걸음걸이가 한 쪽으로 치우칩니다또한마치 구름 위를 걷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술에 취한 것처럼 비틀 거리기도 합니다.

전정 신경염을 진찰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뇌의 질환과 구별하는 것입니다

전정 신경염을 진찰하기 위해서는 신경학적 진찰과 프렌쩰 안경 검사를 합니다

진찰에서 안구가 진동 하듯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vertigo-posturogram-machine02 복사.jpg


 치료

전정 신경염의 치료에는 "전정 재활 치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전정 재활 치료"는 머리와 눈을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서전정 기관의 기능이 회복되도록 도와주는 운동치료입니다.  

약물치료는 메스꺼움이 너무 심할 때에만 사용하고주사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습니다

"전정 재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본원에서 만든 여러가지 동작들로 구성된 동영상을 보면서 따라 하시면 됩니다그리고 이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동작 두 세 가지를 집에서 자주 반복하시면 됩니다

빨리 회복하기 위해서는누워 계시지 말고자주 움직이셔야 합니다적어도 하루에 2 시간 이상은 걸으십시오연속해서 2시간 을 걷지는 마시고적당히 나누어서 걸으시면 됩니다.  


 


 회복

회복하는 기간은 2주에서 수 개월 정도로 아주 다양합니다어지럼이 없어지고 생활에 불편이 없어졌더라도전정 기관의 기능이 모두 회복된 것은 아닙니다한 번 나빠진 전정 기능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나중에 어지럼이 다시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주로 몸의 상태가 나쁠 때에 어지럼이 재발합니다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평소에 몸을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여서평형 기능을 강하게 하십시오계단을 내려가거나버스를 타고 서 있는 동작을 자주 하시면전정 신경염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전정 신경염 주소:http://www.youtube.com/watch?v=uQK21Qhc0ic



 * 어지럼 동영상 (나오지않을 시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투브"로 연결됩니다.)

@노인성 어지럼  주소:http://youtu.be/zodMjn3Jm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