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우리몸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균이예요.
살아있는 균이기에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고를 때는 몇가지 고려해야 될 선택법이 있죠.
오늘 포스팅에서는 제제학적인 부분, 생리학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해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고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유산균 정의
WHO 세계보건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에 대한 정의를 이렇게 내렸어요.
"인체에 유익한 생리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균"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 인체에 유익한 생리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가지 조건을 만족해야되요.
1.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있는 상태여야 한다.
2. 인체에 유익한 생리작용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인체에 대한 유익작용은 우리 모두가 아는 사실이지만, 이런 기준이 되는 정의가 있다는 사실은 잘모르실거예요.
유산균이라고 칭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 있어야 된다는 사실~
근데, 장에 도움이 되는 이 균체는 살아있는 것과 죽은 것 두가지가 제제화 된답니다.
생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익작용, 사균(죽은균체)은 단기적인 유익작용을 합니다.
장에 정착하는 것은 생균만 가능하구요.
보통, 틴들화 동결건조물이라는 원료명으로 된게 사균체예요.
요약하면, 사균체는 빨리 작용하고 사라지는 거죠. 이건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념정의하고는 다른거죠.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인체 유익 작용
그럼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인체에 어떤 유익한 작용을 할까요?
SBS 스페셜, 99% 살균의 함정에서도 일부 소개가 되었지만, 예전에는 장이 좋아지는 정도로만 인식되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지금은 알러지, 아토피 등 여러 분야로 유용성이 확대되고 있어요.
WHO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이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인체에 대한 유익작용에 대해서 발표를 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었거든요.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WHO probiotics Guideline
항목 |
내용 |
주요 균주 |
감염성 설사 |
로타바이러스 원인 감염성 설사 개선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
항생제 투여 원인 설사 |
항생제 투여시 Clostridium difficile의 기회감염으로 장염 유발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
염증성 장질환 |
장내 균총이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균주 적시 안됨 |
면역 |
면역세포의 정상화(안정적 비율) reg T Cell 활성화로 Th1:Th2 비율 조절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
알러지 |
아토피와 알러지 같은 Th2 활성화(Ig E유리) 증상 개선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
심혈관질환 |
프로바이오틱스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락토바실러스 균주(단, 임상연구는 미약하여 더 발전 시켜야 함) |
비뇨 생식기 질환 |
여성 질내 우세균인 락토바실러스 균이 부족할 경우 유해균의 증식으로 인한 증상 생성, 이의 개선에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적용 |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urease enzyme을 줄인다는 보고가 있음 |
단, 임상연구는 미약하여 더 |
출처: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on Evaluation of Health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robiotics in
Food including Powder Milk with Live Lactic Acid Bacteria. 2001. WHO/FA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선택
포인트 1. 유익한 균주 함유
WHO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되는 주요 균주는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움이예요.
이외에 많이 쓰는 균주가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가 있는데, 이 균주는 균수(함량 표기)를 늘이기 위해서
첨가되는 경향이 있구요.
아래 표는 식품의약품안전청(KFDA)에서 고시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종류예요.
|
종류 |
락토바실러스 |
L. acidophilus, L. casei, L. gasseri,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L. helveticus, L. fermentum, L. paracasei, L. plantarum, L. reuteri, L. rhamnosus, L. salivarius |
락토코쿠스 |
Lc. lactis |
엔테로코쿠스 |
E. faecium, E. faecalis |
스트렙토코쿠스 |
S. thermophilus |
비피도박테리움 |
B. bifidum, B. breve, B. longum, B. lactis |
임상 논문을 검색하면 가장 많이 검색되는 것이 L. rhamnosus > Biffidobacterium lactis > L. acidophilus 순이예요.
이거 말구 요즘은 L. reuteri(락토바실러스 루테리)도 논문이 나오는 편이구요.
위에 3가지 균주 중에서 L. acidophilus(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는 대부분 유산균에 다 들어가 있구요.
L. rhamnosus(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Biffidobacterium lactis(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균주가 들어간
것이 임상적으로는 많은 연구가 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예요.
이 3 균주가 들어있는 제제가 그래도 임상적으로는 가장 추천할 만한 제제예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선택
포인트 2. 충분한 균수
우리몸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충분한 양을 함유해야 되는 기준이 있어요.
식품의약품안전청(KFDA)에서 고시한 기준은 1일 1억~ 100억 마리 이상이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인정 기준이예요.
논문에 따라 다른데, 1일 100억에서 400억 단위 정도 섭취하는 것이 가장 유익한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는데요.
균주 비율이랑 이런 부분은 너무 어려우니 패스. ^^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선택
포인트 3. 냉장보관
요즘은 소비자분들이 냉장보관 한거 맞냐고 물으시는 시대지만,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냉장보관 되는
제품은 거의 없었답니다.
아직도 냉장보관 하지 않는 제품들이 많거든요.
그래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선택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냉장보관이예요.
WHO의 정의에서도 나와있지만,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섭취하는게 중요한데요.
유산균은 14도를 넘어가게 되면 점점 죽게되요.
몇달이 지나면 1/100 정도만 살아남게 된답니다.
냉장보관하고 유통하는 제품은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안다는 거죠.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선택
포인트 4. 1회분 개별 포장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 살아있는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온도, 공기, 습기예요.
온도는 냉장보관으로 해결하지만, 공기와 습기는 또다른 문제거든요.
병에 들어있는 제품의 경우에는 사균체는 상관없지만, 생균제제는 추천되지 않아요.
병안에 존재하는 공기랑 습기, 병을 여닫으면서 유입되는 공기와 습기가 유산균을 죽이게 되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살아있는 균을 동결건조시킨 건데요.
동결은 얼린다, 건조는 습기를 제거한다는 거예요.
습기를 제거하는 이유가 이 습기가 균체의 세포막을 파괴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장에 살잖아요?
장은 공기가 없답니다. 혐기성 환경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환경에서 살아가는 균체가 공기에 노출되면?
그렇죠. 우리 인간이 바닷물에 빠진거랑 똑같아요.
죽게되요.
병포장보다 한알씩 포장된 제품, 1포씩 포장된 제품으로 섭취하세요.
또, 포장이 여러기지인데요. 캡슐 포장은 투명 혹은 반투명한 포장재질보다 알루미늄으로 된 포장이
공기랑 습기 투과를 막아줘요. 포장 재질도 꼼꼼히 따져야 되요.
포장은 1회분 알루미늄 포장> 1회분 플라스틱 포장> 병포장 순이구요.
병포장은 나중에 습기 먹어서 눅눅해져서 누렇게 변한 경우 많으니 가능하면 피하시는게~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선택 포인트 정리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살아있는 생균을 섭취
100억 이상 제품
냉장보관
알루미늄 포장으로 1회분씩 포장된 것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균주가 들어간 제품
이제 선택에 도움이 되셨나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추천 제품
위 기준을 고려했을 때는 저희 약국에서 취급하는 제품으로 두가지 제품이 있어요.
브이에스엘3(VSL#3), 엘쓰리비 골드(L3B Gold), 엘쓰리비 키즈(L3BKids)
어제 오늘 약국에서 두 제품에 대해 물어보시는 분들이 너무 많더군요.
첫째, 브이에스엘3(VSL#3)
락토바실러스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균주, 냉장배송, 1회분 개별 포장 충족되는 제품이예요.
그리고 균수가 무려 4500억.
대신 좀~~ 비싸요. 몸값이 쎄지만 유명한 제품이고, 제제 관리가 되는 제품이랍니다.
여기는 선택 포인트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랑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가 빠져있어요.
하지만, 균수 자체가 타의 추종을 불허하기 때문에 나머지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 유익작용을 해서요.
빠진 부분을 상쇄한답니다.
관련 포스팅: 거물급 유산균 VSL#3
둘째, 엘쓰리비 골드, 엘쓰리비 키즈(L3B Gold, L3B Kid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균주 함유, 냉장배송, 1회분 개별 포장 충족되는 제품이예요.
제가 가장 사랑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구요.
균수는 엘쓰리비 키즈가 100억, 엘쓰리비 골드가 200억이예요.
근데, VSL#3에 비해서 균수가 작죠?
균수가 작은 대신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이 두가지 균주가 커버를 해주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추천을 드릴 수 있어요.
물론, 가격은 엘쓰리비 골드와 엘쓰리비 키즈가 VSL#3에 비해서는 저렴하죠. ^^
관련포스팅: 엘쓰리비 키즈(L3B Kids), 어린이 유산균 끝판왕
엘쓰리비 골드(L3B Gold)는 아직 포스팅이 없네요. ^^ 이미지만 올려요.
PS.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섭취 주의사항
(1) 나눠서 먹는것 보다 한번에 먹는게 효과적: 나쁜균과 싸우기 위해서는 한번에 먹는게
아침저녁 나눠먹는 것보다 효과적이예요. 병력이 많아야 나쁜 균하고 싸우죠.
(2) 식전 30분 공복 섭취: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장까지 살아서 가야되는데요. 식후에 먹으면
위장, 소장 지나면서 소화가 되버려요. 그럼 장까지 살아가는게 힘들어요. 단, 잊어먹었을 때는
식후에 드셔도 되구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지럼 (이석증, 전정신경염, 실신, 심리적어지럼, 편두통성어지럼, 피로어지럼) (0) | 2014.01.08 |
---|---|
세계 각국 몸에 좋은 다양한 음식 (0) | 2013.09.24 |
손바닥과 오장육부 (0) | 2013.04.23 |
오장육부와 5가지 색 음식 (0) | 2013.04.23 |
캐리어 오일의 특성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