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쏘기

오니절피 매는 방법

은오 2017. 7. 15. 20:15



활에는 활줄이 있습니다.

이 활줄에 화살을 걸고 쏘다보면 활줄(시위)이 망가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활줄(시위)를 보호하기 위해 가로 매듭을 해놓습니다. 이 매듭을 "절피"(center string) 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이 매듭인 절피에 화살을 걸고 쏘았습니다. 현재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추측으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활시위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줄이 점점 얇아지는데, 화살에서 시위를 거는 오늬 크기는 그전 그대로 계속 되지 않았나 합니다.


이 차이가 너무 커지면서 기존의 한줄짜리 절피로는 화살을 걸수가 없게 되고, 그래서 추가적으로 화살 걸곳에

한번더 절피를 하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분들은 양궁에서 노크(오늬) 거는 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Nock point를 보고

이를 국궁에 응용하면서 만들어졌다라고 합니다. 


화살을 걸기 위해 절피 위에 덧대어 만든 매듭부분을 "오늬절피"라고 합니다. 


활시위는 절피까지는 해서 나오므로, 활을 구입한 사람은 오늬절피를 추가적으로 해야 합니다.

오늬절피 매는 법은 기본적으로 절피매는 법과 같습니다. 절피를 한번 더 대는 것이 오늬절피이니 당연한 겁니다. 

방법을 검색할때는 "절피 감는 법" "how to make center string in archery" "a bowstring serving"이런 식으로 검색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오늬절피 매는 법 


https://youtu.be/0hwQiKAWl2k   How To Start & Finish a Bowstring Serving ( backserving knot technique )

가장 잘 되어 있는 동영상은 이겁니다. 유튜브로 가서 꼭 보세요. 현사감는 기구를 추천하는데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괜찮습니다. 오늬절피는 그냥 하셔도 아무 상관 없습니다. 줄을 팽팽히 감으려면 연필 막대기 나뭇가지 아무거나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두가지 매듭을 이용합니다. 처음매듭과 끝매듭. (반대로 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



















처음매듭






끝매듭




진행.. 

처음매듭





끝매듭






줄을 적당한 길이로 평행하게 배치한 다음 처음매듭으로 만들어서 진행합니다. 
















처음매듭

줄의 처음에서 줄은 진행방향과 반대로 시위와 평행하게 거슬러간다음(한 3-5번 감을 정도의 거리), 진행방향으로 

한 3-5번정도 감아주고. 줄의 처음 부분은 밖으로 나오게 한뒤, 줄은 계속 감아갑니다.

적당하게 감고 난뒤에는 이제 끝매듭을 하면 됩니다.

끝매듭은 

     한참 감다가 손가락 두마디 간격 정도를  띄어주고 나서, 지금까지의 진행방향과 거꾸로 감아갑니다. (5-10줄 권장)

     거꾸로 감아 가므로 다시 간격을 시작한 지점으로 갈겁니다. 이제 그 줄을 간격을 시작한부분에서 고정시킵니다.

     간격을 시작한 부분을 다시 잡고 진행방향으로 감아 갑니다. (거꾸로 감았던 부분이 풀려나갑니다.) 

     줄끝을 당겨서 마무리합니다. 

남는 줄은 잘라주고, 남아 있는 부분은 라이타로 지져주고, 가볍게 천으로 눌러줘서 마무리 합니다. 


p.s. 다른방법으로, 추가적으로 처음매듭에서 첫 한두줄에서는 확실히 아예 묶어서 고정해놓고 진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참고



끝점 매듭을 매는 방법





오늬절피의 위치

줌의 상단 끝에 화살대를 올려놓고 시위 쪽으로 수평을 유지하면 오늬와 시위가 만나는 지점이 있는데, 

이 지점에서 화살넓이 만큼 위쪽으로 자리를 옮겨 절피실을 감아 오늬먹일 자리로 고정시킨다. 


오늬절피의 두께

오늬를 절피에 대고 먹일 때 힘의 부담을 약간 느낄 정도면 적절한 절피 두께로 보며, 

오늬를 꽂아 화살을 손으로 잡지 않고 놓아도 시위에 매달려 있을 정도 두께가 되도록 절피실을 감는다.


오늬절피의 두께로 발생하는 일들

   절피의 두께가 두꺼우면 

        오늬를 먹일 때 쪼개질 수도 있으며 

        오늬가 절피에 꽉 낀 상태로 발시하면 화살은 과녁의 중심에서 뒷 쪽으로 흐른다. 

   절피실이 얇게 감겼거나 오래 사용해서 헐렁한 절피에 오늬를 먹여 시위를 당기면 

        검지손가락에 밀려 오늬가 절피에서 빠져나와 낙전할 수도 있으며 

        헐렁한 대로 끼워 발시하면 과녁의 중앙에서 앞 쪽으로 화살은 흐른다. 










참고 자료 

01. How to start & Finish a bow string serving (backserving knot technique) https://youtu.be/0hwQiKAWl2k

02오늬절피 매는 법| 신사(新射)를 위한 이론 강좌 id: 생각  http://cafe.daum.net/hwalssogi/WCDT/10

03. 오늬 먹이기 학술논문 저자: 조영석 http://korea-bow.co.kr/board/board_view.php?brd=b33&mode=&page=1&no=1583&no2=1583&thread=A

04. 절피 감는 법 카폐: 활과 화살 http://blog.daum.net/365yun/6872900 http://blog.daum.net/365yun/6872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