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승달은 초순 초 초저녁에 지고 그믐달은 그믐께 새벽에 뜹니다
▶태양처럼 매일 같지 않고 날마다 바뀌는 이유
달에 비치는 태양빛의 각도, 지구에서 달을 보는 각도, 달의 위치 등에 따라 지구 주위를 도는 달의 그림자가 달라지기 때문이며, 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위치를 옮겨가며 차고 이지러지는데, 그 모습에 따라 초승달(음력 3~4일경), 반달(상현), 보름달, 반달(하현), 그믐달(음력 27~28일) 등으로 달리 불립니다.
▼보름에서 보름까지
▶구분법
①초승달과 그믐달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달의 삭망(朔望) 주기를 한 달의 기준(29.5일)으로 삼고 있는 음력 날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달은 달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 삭(朔,음력 초하루, 태양과 지구사이에 달이 위치함)으로 시작해 상현달-보름달-하현달-그믐달 순으로 모습을 바꿉니다. 초승달은 음력 3~4일경 뜨는 눈썹 모양의 달이며 그믐달은 음력 27~28일 즈음에 볼 수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초승달을 새달이라고 해서 New Moon, 그믐달을 오래된 달이라 Old Moon이라고 부릅니다.
☞삭과 망: 삭(朔,초하루 삭, 달의 위치가 태양과 지구사이)은 음력 초하루이며 망(望, 지구 위치가 태양과 달사이)은 보름(음력 15일)을 말합니다.
②초승달과 그믐달은 달이 뜨는 시간으로도 알 수 있습니다. 아침에 떠서 저녁에 서쪽으로 지는 초승달은 초저녁 서쪽 하늘에 낮게 떠 있다 사라지며, 새벽녘에 뜨는 그믐달은 해가 뜨기 직전 동쪽 하늘에 잠깐 나타났다 날이 밝으면 금방 시야에서 사라집니다.
③초승달과 그믐달은 손톱 모양을 이용해 구분하기도 하는데 손을 손등이 눈앞으로 향하게 해서 볼 때 달의 모습이 왼손 엄지손톱같이 오른쪽으로 보이면 초승달, 오른손 엄지손톱같이 왼쪽으로 보이면 그믐달이라는 것으로 이 방법은 우리나라와 같이 지구 북반구에서만 적용합니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기호 (1) | 2023.03.27 |
---|---|
크롬캐스트 4K(일반TV--->스마트TV) (0) | 2022.11.24 |
트루먼 대통령의 퇴임 연설 (0) | 2021.08.23 |
당신에게 남은 시간은 (0) | 2021.07.29 |
후숙과일 (0) | 202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