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이버섯 쇠고기볶음요리
능이버섯 쇠고기볶음은 능이버섯은 깨끗이 씻은 후 옅은 소금물에 담가 쌉쌀한 맛을 뺀 다음
끓는 소금물에 데치고, 건져 길이로 찢은 다음 간장, 설탕, 설탕,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양념하고, 쇠고기는 채 썬 다음 간장, 설탕, 다진 마늘, 다진 파, 깨소금, 참기름으로 양념한다.
양파는 깨끗이 다듬어 채 썰고, 피망은 반을 잘라 를 털어낸 후 채 다음 팬에 식용유를 살짝 두르고 양념한 쇠고기를 볶다가 능이버섯을 넣고 볶다가 채 썬 양파를 넣고 함께 볶고, 마지막에 피망을 넣고 소금, 후춧가루로 간한 후 살짝 볶아 만든다
▣ 능이버섯 회 [재료 및 분량] 능이버섯 200g, 양념 초 고추장 간장 2큰술, 고추장 1큰술, 고춧가루 1큰술, 다진파 1/2큰술, 다진 마늘 1큰술, 엿 1큰술, 참기름 2큰술, 깨소금 1큰술, 식초 1큰술, 실고추 1큰술, 실파 약간 [만드는법] 능이 버섯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낸다. 데쳐 낸 능이버섯을 사기 그릇에 담고 양념 초고추장을 곁들여 낸다. 미리 해 놓지 말고 먹기 직전에 무쳐야 항도 좋고 , 간이 속까지 배어들어 않아 질기지도 않다.
▣ 능이버섯 국 말린 능이버섯 30g, 콩나물 100g,무 200g, 다시마(10cm)1장, 마른 고추 2개, 물 3컵, 소금 집간장 약간씩
1. 무는 먹기 좋은 크기로 납작납작하게 썬다. 콩나물과 말린 능이버섯은 물에 씻어 건진다. 2. 냄비에 무, 다시마, 마른고추, 물을 넣고 끓인 후 무가 익어 투명해지면 마른 고추와 다시마는 건져내고 소금, 집간장으로 간을 맞춘다. 3. 콩나물은 능이버섯을 넣어 한소끔 끓인다. *능이(能?)버섯은 향이 많이 풍겨 향버섯이라고도 한다. 능이는 버섯중에서 가장 으뜸이다. 첫째 능이,둘째 포고,셋째 송이 라 하였다. 능이는 약용버섯으로 고기를 먹고 滯한데 먹으면 急滯가 해결된다고 하며,지방과 단백질을 쉽게 분해할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되어 비만을 예방효과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암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생으로 먹으면 독성 약간 있어 생식은 금하고 ,더운 물에 데쳐 찢어서 말려 먹는다. (데친 검은 물도 좋다고 합니다) 먹지 말아야 할 사람은 위나 장에 염증이 있는 사람은 능이버섯을 먹지 말아야 함 !!! (지방과 단백질을 쉽게 분해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위염,장염이 있는 환자는 더 악화됨!) 능이는 주로 활엽수(참나무등)의 뿌리위 낙엽부토(마사 포함)에서 자라며,습하지 않고 배수가 잘 되는 6~9부능선 직사광선이 아닌 은은한 햇빛이 들어오는 (남쪽을 제외한) 동,서,북향에 주로 자란다. 특히, 토질은 마사가 비교적 많이 포합된 곳에서 자생하기 쉽다. 수도권 대표적인 능이버섯의 자생지는 경기도 일동,이동 주위 운악산,백운산,청계산,명지산,... (포천군 일동,이동면 부근) 충청권의 백악산, 민주지산등등 능이버섯은 백로(올해는 9/8일)이 후 비가 오고난 후 약 5 ~ 7 여일 이내 발견할 수 있으며,10월중순경 까지 채취가능(그해 기온과 雨時에 따라 달라짐) 자란지 오래된 능이살 속에는 벌레가 발생한다. 벌레를 제거하고 먹어도 된다. *더운물에 데쳐서 말리기가 힘들면,그냥 생으로 그늘에서 말려 나중에 먹을 때 끓는 물에 익혀 먹어도 됨. *능이버섯 채취는 채취 시기를 잘 맞추지 못하면 능이 자생지라 할 지라도 구경하기 힘듦.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지상에 그대 있으니 (0) | 2007.10.02 |
---|---|
네잎 클로버 (0) | 2007.09.28 |
중주절 음식 차리는 법 (0) | 2007.09.21 |
내 인생에서 후회되는 일 (0) | 2007.09.13 |
가을은 무엇인가 (0) | 2007.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