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복분자 술

은오 2008. 6. 20. 22:25

    복분자주 담그는 법

 

 

 

 

 

 

 

  [술 담그는법]

 

*준비물 : 항아리, 복분자열매, 소주, 설탕

*비 율 : 복분자 1 kg 당 설탕 200g 소주1.8리터 1.5병(소주는 23~25도 가 좋음)

 

▶복분자 10 kg 담을때 기준하여

1)항아리에 복분자 10 kg를 넣는다.

2) 항아리에 설탕 2kg 을 넣고 잘 저어준다. (흑설탕 또는 백설탕.. 백설탕 권장)

3) 항아리를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비닐로 밀봉시켜 2~3일간 서늘한 곳에 보관한

    다.

  -발효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복분자가 부폐되는것처럼 부글거리거나 흰

   색 곰팡이가 발생할 수도 있으나 유효 미생물입니다.괜찮습니다.

4) 2~3일 후 항아리를 열고 소주25도 1.8 리터 15병을 붓는다.

- 취양에 따라 21도 짜리 소주를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순한 소주를 쓰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순한소주를 이용하면 나중에 복분자 알콜도수가 낮아지고

   먹기에도 순하답니다. 저는 23도를 쓸 계획입니다.

- 1kg당 소주 2병을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1.5병이 가장 좋은 술맛을 낸다고

   합니다.

5) 소주를 넣은후에 항아리 입구를 비닐로 밀봉시켜서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6) 3개월간 밀봉시켜 숙성된 복분자를 개봉합니다.

7) 가느다란 채나 망사로 찌꺼기를 걸러냅니다.

8) 3개월후 숙성된 복분자를 바로 먹을수는 있지만 걸러낸 복분자를 다시 그늘에서

   6개월정도 숙성시킨후 먹으면 가장 좋은 맛을 낸답니다. 이때 복분자주의 알콜

   도수는 사용한 소주의 도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18~19도 정도가 됩니

  다.

◈항아리가 없으면 일반용기에 넣으셔도 되지만 항아리가 제일 좋습니다.

  - 일반 항아리 보단 재래식 항아리가 좋습니다.

   단, 재래식 항아리를 사용할경우 양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복분자 10kg에 소주23~25도 15병(1.8리터)이 가장 적당 합니다.

 

 

                                                                  
 
 

 

 

복분자 효능

1.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남성의 발기부전및 여성의 불잉치료에 효과있다.

2. 탈모를 방지하며 머리카락을 검게하고 노화방지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3. 학생들의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여성의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다.

4. 야뇨증, 당뇨, 체했을때 효능이 있다.

5. 복분자물이나, 복분자조청을 만들어 먹으면 야뇨증에 좋고, 술담궜던 복분자를 약한불에 말려 분말로 만들어 먹으면 남성정력증강에 도움이 있다

6. 남자의 정액부족에 좋고, 자궁병으로 인한 불임증 등에 좋으며, 콩팥으로 오는 음위증, 유정몽설,강장제, 혈액을 맑게해주며 간을 보하고 눈을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 시며 독이 없다. 남자의 신기(腎氣)가 허하고 정(精)이 고갈된 것과 여자가 임신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간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기운을 도와 몸을 가쁜 하게 하며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과로나 몸이 허약해 지면서 생기는 빈뇨증에 효과가 있다.

◇ 피를 맑게 하여 기운을 돕고 몸을 가볍게 만들며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 피부를 곱게 하고 흰머리가 생기지 않게 하며 눈을 밝게 한다.

◇ 신장에 좋으며 간을 보호하고 폐질환에도 좋다.

◇ 양기를 일으키며 정혈작용이 뛰어나다.

 

복분자 차는 신장의 기능을 보해 정을 치밀게 하는 작용을 하며 빈뇨증과 야뇨증에 효과가 있다. 또한 양위, 소변빈삭, 성선쇠약으로 인한 불임증에 효과가 있다.

 

신장기능 개선, 피부미용에 좋은 복분자(覆盆子)

 

우리가 먹을 수 있는 딸기로는 산과 들에 자생하는 복분자와 같은 산딸기, 멍석딸기 등의 나무딸기와 논밭에서 재배하는 양딸기 등이 있다. 요즘은 비닐하우스 재배 덕분에 4계절 내내 딸기를 먹을 수 있지만 대량 재배되기 전에는 '딸기' 하면 나무딸기를 먼저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다. 산딸기의 대표주자 복분자는 최근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은 복분자주 제품으로 판매되면서 애주가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명칭에 대한 유래

 

복분자를 먹고 나서 소변을 보았는데 화분이 엎어졌다는 유래에서 엎어질 복(覆)과 화분 분(盆) 자가 합해져 복분자(覆盆子)가 되었다고 한다.

 

고전문헌 동의보감에는 복분자의 효능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 시며 독이 없다. 남자의 신기(腎氣)가 허하고 정(精)이 고갈된 것과 여자가 임신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간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기운을 도와 몸을 가뿐하게 하며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한의학에 따르면 복분자는 신장 기능을 강화하고 강정 효능이 뛰어나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신맛이 강하고 덜 익은 복분자는 약효가 뛰어나다고 해서 말려서 약재로 쓴다. 새콤달콤한 맛이 나는 복분자는 갈증을 풀어주고 식욕을 돋우는 데 좋고 그늘에 말려두었다가 차로 끓여 마시기도 한다.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성기능이 떨어진 사람과

야뇨증, 체한 것을 내리는 데...또한 당뇨에도 뛰어난 효능이 있다.

 

 

▶약재에 대하여

복분자는 대개 우리나라 산야에 흔히 자라는 나무딸기를 가리킨다. 5월에 흰 꽃이 피

7~8월에 검붉은 빛깔로 익는데 익은 것은 새콤 달콤하여 맛이 좋다. 그러나

 약으로 쓸 때는 덜 익은 것을 따서 말려서 쓴다.

 

▶약성

 

산딸기는 맛이 시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기운을 돋우고 몸을 가볍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머리털을 희어지지 않게 한다. 신장과 간장에 들어가는데, 남자의 신장을 튼튼하게 하여 음위를 치료하고 여자가 먹으면 아들을 낳게 한다.

 

산딸기는 신장의 기능을 강하게 하여 유정과 몽정을 치료하고 소변의 양과 배설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그러므로 자다가 오줌을 싸는 어린이, 소변을 참지 못해 화장실에 자주 가야 하는 어른한테도 효과가 좋다. 산딸기는 초여름 덜 익었을 때에 따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

 

옛날 책에는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씻어서 술을 품어 쪄서 말려야 약효가 제대

로 난다고 적혀있다

 

 

복분자는 아이들한테도 효능이 있습니다.. 복분자가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포함된 한방성분에 의해서 성장에 관련된 신체 각부의 기능을 활성화

(백복령;소화기능, 심장기능향상 / 복분자:뇌하수체작용-성장호르몬분비촉진, 오장육부의 기능개선 / 술:신장기능향상 / 속단:간과 신장기능 향상) 시켜서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뼈와 인대도 튼튼 히 해서 성장을 도와주는 겁니다 .

 

그리고 복분자는 요구르트에 타 먹어도 됩니다.

 

[생복분자 보관 할때,]

지퍼백에 넣어 냉동실에 시루떡처럼 보관

(실온에서는 꿀이나 설탕에 1:1정도로 보관)

1개씩 꺼내어 칼로 잘라 요구르트나 우유넣어 갈아 먹음 

 

[주의사항] 

한번에 많이 먹으면 소화장애가 올수도있으며 얼굴이 화끈거리고 손발이 따끈한 사람은 주의를 요합니다 

문헌에 수록된 복분자의 효능

 

 

남성의경우 : 낭습이 유난히 많고 신경안정에 보강의 약효가있고 유정(조루)에

                   효과가 잇으며 소변의 절제를 원할하게 함

 

여성의경우 : 정신쇠약으로 인한 불임증에 크게 활용하며 피부를 윤택하게하는 식물

                  로 알려져있다

 

***발한해열약으로 감기 폐렴 기침에쓴다

 

과로나 몸이 허약해 지면서 생기는 빈뇨증에 좋으며

피를맑게 기운을 돕고 몸을 가볍게 만들며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있다

 

*복분자의 유효성분은 색소가 가지고 있으므로 끊이거나 삶아도 성분은 변함이 없다

 

*복분자는 술로 만드는 것이 그중에 최고로 꼽는다

   

이 과실을 먹으면 요강을 뒤엎는다고하여 복분자라 한다.

복분자는 산야에서 자생하는 나무달기의 열매로 한방에서는 약으로 쓰이며

맛도 좋다. 복분자 딸기는 칼슘과 철분을 다량 함유한 알칼리성 식품이며

구연산, 사과산 등을 함유하여 신맛을 가지고 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 부위와 8방위의 관련도  (0) 2008.06.27
안방은 중심에 있고 어두워야 한다  (0) 2008.06.27
오디술  (0) 2008.06.20
지방  (0) 2008.06.16
소금  (0) 2008.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