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년 02월. 모판에 씨앗을 파종.
하수오의 씨앗은 1~2mm정도의 크기로 메밀 씨처럼 삼각형 모양입니다.
40공 연결포트에 이식하였습니다.
6월 4일 촬영.많이 자랐습니다.
씨앗파종묘와 삽목묘의 차이점
씨앗파종하여 기른 묘목은 여러 갈래의 덩이뿌리가 생기면서 굵어지는 반면,
비교실험을 위해 몇개의 줄기를 잘라 꺽꽂이를 해보았던 묘목은 덩이뿌리가
거의 생기지 않고 잎은 무성하며 세근만 왕성합니다.
그러므로 묘목을 구입하실때 삽목묘가 아닌 씨앗파종 묘목을 반드시 확인후
구입하심이 좋습니다.
차이점이 확연히 나타남
하수오의 번식은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씨앗 파종과 줄기 삽목의 두가지 방법중 씨앗 파종하여 재배하였을때
구근 생산이 훨씬 유리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노지재배방법]
1)파종시기:4월초
2)파종방법:비가오면 물이 쉽게 빠지도록 배수로를 만들고 20센치정도 높게
이랑을 만든다
3)흙은 물이잘빠지는 밭흙 모래성분이 많아야 된다
(물빠짐이 나쁘면 뿌리가 썩는다 )
4)흙은 5-10밀미터 정도 덮어주면 되고 비닐은 덮어도되고 안덮어도 되는
데 덮으면 내부온도가 높아 발아가 빨리되고 빨리 자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온이 높아져 비닐을 벗길 때는 3-4일정도 적응훈련을 시켜야 된다
온실에 자란식물을 외부에 직접 노출시키면 부작용이 생긴다 즉 주간에는
비닐을 벗기고 야간에는 비닐을 씨운다(3-4일정도)
2. 지역에따라 다르겠지만 충청지역이면 5월5일-10일경 옮겨 심으면 되고
일년 키우려면 10월중순에서 12월까지 낙엽이 지고나서 뿌리만 심으면 되겠
습니다. 상기방법이 번거로우면 지금도 괜찮읍니다 산에 직접 파종해도 됩
니다
주의점은 낙엽위에 뿌려서는 생존이 희박하고 마땅한 땅의 흙을 파고 2-3센
치정도 흙을 덮어줘야함
파종시기는 조금 빨라도/늦어도 크게 상관이 없고 육묘 옮겨심기는 노지에
적응시키고 5월초가 적당
2. 사진으로 보는 하수오 씨앗의 자연 번식과정
'약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수오(=적하수오)이야기2 (0) | 2009.11.05 |
---|---|
하수오(=적하수오)이야기 (0) | 2009.11.05 |
적하수오와 백하수오 비교 (0) | 2009.10.27 |
박주가리 (0) | 2009.10.08 |
하수오와 박주가리 구별법 (0) | 2009.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