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는 가시가 헛개나무(구: 枸)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기: 杞)와 비슷하여 두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노나라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로 높은 관리가 민정을 살피던 중 나이 어린 소녀가 회초리를 들고서 이빨이 다 빠지고 흰 수염이 난 노인을 쫓아다니는 이상한 광경을 보고 소녀에게 호통을 치니 소녀는 자기가 300살이요, 그 노인은 나의 증손자라 하였다.
소녀는 구기자를 먹어서 그렇다 대답하고 구기자 먹는 법을 관리에게 일러주니 "구기자는 1월에 뿌리를 캐서 2월에 달여 먹고 3월에는 줄기를 잘라서 4월에 달여 먹고 5월에 잎을 따서 6월에 차로 끓여 마시고 7월에는 꽃을 따서 8월에 달여 먹으며 9월에 과실을 따서 10월에 먹는데, 이와같이 구기자는 1년 내내 먹을 수 있습니다."하였다. 관리가 집으로 돌아와 구기자를 먹어보니 정말로 들은 대로 효험이 있었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수렴성이며 약성은 약간 달고 차다.[甘寒]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며 남자가 유정(遺精)하고, 임신을 못 시킬 때 사용한다. 음혈이 허약해 져 얼굴이 누렇고 머리털이 희어지며 잠을 못 이룰 때나 소갈증에 효과가 있다. 폐기 허약으로 인한 오랜 해수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비특이성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구기자는 한 쪽이 뾰족한 방추상이며 열매껍질은 적색 또는 어두운 적색이다. 바깥면은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황색을 띤 흰색의 씨가 들어 있다. 씨는 납작한 타원형이다.
구기자의 이명으로 첨채자(甛菜子), 서구기(西枸杞), 구기자(苟杞子), 구기(枸杞), 구계(枸檵), 구극(枸棘), 고기(苦杞), 천정(天精), 지골(地骨), 지보(地輔), 지선(地仙), 각서(却暑), 양유(羊乳), 선인장(仙人杖), 서왕모장(西王母杖)이 있다
구기자는 옛날 부터 영물(靈物)로 취급되어 왔다.
신농본초경에 상품(上品)으로기록되어 있고 ”구복견근골(久服堅筋骨), 경신불로(輕身不老), 내한서(耐寒暑)”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구기자를 오래 복용하면 근골이 튼튼해 지고 몸이 가벼워 지며 늙지 않고 추위와 더위를 잘 견디어 낸다.” 는 뜻이다.
송나라 때에도 ”복용구기장생불로(服用枸杞長生不老)” 라는 말이 유행되었었다. 다시 말하면 ”구기자를 복용하면 불로장생한다.” 는 뜻이다.
본초경에
”구기자구유자신익정(枸杞子具有滋腎益精), 양간명목(養肝明目), 강장근골지효(强壯筋骨之效), 구복가이연완쇠노(久服可以延緩衰老), 연년증수(延年增壽), 우기시아동흘일사경유익(尤其是兒童吃一些更有益), 대어장아(大於長牙), 환아화골격발육균유촉진작용(換牙和骨骼發育均有促進作用).”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구기자는 신장을 보해 주고 정을 더해 주며 간을 보해 줌으로 눈을 밝혀준다. 그리고 근과 골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오래 복용하면 더디 늙으며 수를 누린다. 더욱이 아동들도 구기자를 조금씩 복용하면 건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이빨이 잘자라고 이빨을 갈때 이롭고 뼈의 발육을 촉진시켜 준다.” 는 뜻이다.
당송(唐宋) 시대에 구기자는 가장 인기있는 보약으로 대접 받았었다. 당나라 때 손사막(孫思邈 : 서기 581 년 – 서기 682 년)과 맹선(孟詵 : 서기 621 년 – 서기 713 년)은 구기주(枸杞酒)를 상복하여 수를 누렸으며 손사막은 102 세, 맹선은 93 세에 각각 세상을 떠났다.
당나라 태종 때 재상(宰相) 방현령(房玄齡)과 두여회(杜如晦) 등이 당태종에게 협조를 잘 해주어 정치를 잘 했었지만 이세민은 돌궐(突厥)과 설연타(薛延陀)와 회흘(回紇)과 힐알사(黠戛斯 : 신강(新疆) 일대)와 고구려(高句麗) 등 여러 나라와 전쟁에 시달렸다. 그래서 당태종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피곤한데다가 정치에 신경을 많이 써서 허로리수(虛勞羸瘦 : 심신이 허약해 지고 피로하며 여위고 쇠약해진 증상)하고 두훈과 목현(目眩 : 눈 앞이 캄캄해 지고 어지러운 증상)증상이 나타났다.
그리하여 당태종은 "구기은이갱(枸杞銀耳羹)" 을 복용하고 나서 힘을 얻었고 정력이 충만해 졌다.
소림사(小林寺)에서
일어난 고사는 다음과 같다. 소림사 화상(和尙)들은 힘든 연무(練武) 직후에 대보(大補) 작용을 해주는 구기자외구육(枸杞子煨狗肉)을 반드시 복용했다. 구기자외구육(枸杞子煨 狗肉)은 개고기와 구기자를 함께 혼합하여 푹 고아 삶은 것을 일컫는다.
송나라 때는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구기자죽을 상용하였다. 구기자죽은 ”보정혈(補精血), 익신기(益腎氣)” 해 줌으로 혈허신휴(血虛腎虧)되기 쉬운 중년인들과 노년인들에게 가장 적합하다.
구기자의 잎사귀 역시 죽으로 끓여 먹은 기록이 있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에 보면 ”구기죽치오로칠상(枸杞粥治五勞七傷), 방사쇠약(房事衰弱) : 구기엽반근(枸杞葉半斤), 절(切), 경미이홉(粳米二合), 상건이시즙상화(上件以시,汁相和), 자작죽(自作粥), 이오미말총백등(以五味末蔥白等), 조화식지(調和食之). 여과가입양신(與果加入羊腎), 효과경호(效果更好).” 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구기죽은 오로칠상과 방사과도로 인한 허약증을 치료해 준다. 처방은 다음과 같다. : 구기잎 반근을 잘게 썰어 쌀 두홉과 약간의 된장국물을 섞어 끓여서 죽을 만든다. 이 죽 속에 오미자 가루와 총백을 잘 섞어 복용한다. 이 죽 속에 수놈 양(羊)의 음경(陰莖)을 섞어 복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는 뜻이다.
송나라 때의 저서 성제총록(聖帝總錄)에 보면 ”구기양신죽(枸杞羊腎粥)” 에 대한 처방이 수록되어 있다. ”치양기쇠(治陽氣衰), 요각동통(腰脚疼痛), 오로칠상(五勞七傷) : 구기엽일근(枸杞葉一斤), 양신일대(羊腎一對), 세절(細切), 미삼홉(米三合), 총백십사경(蔥白十四莖). 상사미세절(上四味細切), 가오미자죽(加五味煮粥), 여상법(如常法), 공복식(空腹食).”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양기가 쇠하고 허리와 다리가 아픈 증상과 오로칠상의 치료 처방 : 구기잎 한 근과 양신(羊腎) 한 개를 잘게 썰어 쌀 3 홉(合)과 총백 14 줄기를 잘게 썰어 오미자를 섞어 죽을 끓여 공복에 복용한다.” 는 뜻이다.
일반 백성들은 구기자를 명목초자(明目草子) 혹은 명목자(明目子)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구기자는 눈을 밝혀 주는 공효가 있기 때문이다.
구기자가 눈을 밝혀 준다는 원리는 본초회언(本草匯言)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구기선능치목(枸杞善能治目), 비치목야(非治目也). 능장정익신(能壯精益腎), 신만정족(神滿精足), 고치목유효(故治目有效).”
다시 말하면 ”구기는 눈을 직접 치료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치료 가능하다. 왜냐하면 구기는 장정익신(壯精益神) 작용이 있으므로 신(神)과 정(精)을 채워 준다. 그러므로 눈의 치료에 유효하다.” 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간신휴손(肝腎虧損)으로 인하여 시물혼화(視物昏花) 증상과 목암목삽(目暗目澁) 증상이 있을 때 구기자를 복용하면 치료된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들에게 구기자와 돼지의 간을 함께 섞어 복용시키면 눈병의 회복이 빨라지고 보익(補益) 작용도 해준다.
구기자 250g 내지 500g 을 살짝 볶아 말린 후 가루내어 매일 아침 공복에 12g 내지 20g 을 따듯한 물과 함께 복용하면 안화(眼花)와 수정체(水晶體) 혼탁(混濁) 등 증상이 사라진다.
또 구기자 30g 과 양뇌(羊腦) 일부를 삶아서 함께 복용하거나 구기자 10g 과 산약 30g 과 돼지의 뇌(腦) 일부를 삶아서 함께 복용하면 혈허로 인한 두통과 현훈(眩暈)과 신경쇠약 등이 치유된다.
민간 처방에 보면 구기자 20g 과 대추 6 개와 달걀 두 개를 함께 쪄서 복용하면 신체가 허약한 사람들의 두훈과 안화와 심황심도(心慌心跳)와 건망증과 불면증 등이 치유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매년 여름철에 어린 아이들이 더위를 먹었을 때 구기자 15g 과 오미자 5g 을 함께 끓여 차대신 마시게 하면 중서(中暑)가 치유된다.
긴 생머리로 자란 나뭇가지를 모두 쳐줘야 합니다.
구기자는 새 가지에서 열매를 맺기 때문에, 가지치기와 순지르기가 아주 중요합니다.
오늘은 아침부터 안개가 짖더니, 점심이 넘도록 개일 줄을 모르더군요.
아래쪽에 보면, 나뭇가지 전지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단발머리로 이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본 가지에서 순이 새로날 가지를 몇개 남겨두고 전지를 해줍니다.
길이는 5cm정도로 해주면 됩니다.
순날 가지를 너무 길게 남겨두면 나중에 순을 따줄 때 고생을 많이 합니다.
또, 순이 너무 여러개가 나면 세력이 분산되어 순지르기 후 분지가 늦어지기도 합니다.
'약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으름 (0) | 2010.03.23 |
---|---|
복령 (0) | 2009.12.06 |
인삼씨 개갑 (0) | 2009.11.12 |
하수오와 이엽우피소 구분 (0) | 2009.11.10 |
산초나무와 제피나무 (0) | 2009.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