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령(茯苓)은 오래된 한약이다. 신농본초경에는 복토(伏兎)라고 기록되어 있고 사기(史記)에는 복령(茯靈), 광아(廣雅)에는 복령(茯蕶)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외에토사(兎絲), 불사곡(不死曲), 금옹(金翁), 갱생(更生), 봉신복태(綘晨伏胎) 등 여러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다.
노약농(老藥農)들의 경험에 의하면 천연야생 복령은 생장기간이 수 십년 내지 수 백년이라고 한다. 복령(茯苓)은 솔나무의 정기가 가득하며 껍질은 검고 줄음이 있으며 속살은 새하얗다.
과거에 운남성(雲南省)에서 생산되는 운령(雲苓)을 최상품으로 쳐주었다. 또 안휘성(安徽省) 안경(安慶 : 안휘성 성정부 소재지 합비(合肥)에서 남쪽으로 150km) 일대에서 생산되는 복령을 안령(安苓)이라고 부르는데 최상품은 배령(排苓) 또는 천생령(天生苓)이라고 부른다.
전해우형지(滇海虞衡志)에 보면 ”복령(茯苓), 천하무불추운남(天下無不推雲南), 왈운령(曰雲苓), 자안경복령행(自安慶茯苓行), 이운령유소(而雲苓愈少), 귀불가언(貴不可言).”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복령은 운령을 제일로 쳐준다. 안경복령은 흔하지만 운령은 매우 귀하다.” 는 뜻이다
운령과 안령은 누구에게나 잘 알려진 복령이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호북성(湖北省) 나전현(羅田縣 : 武漢에서 동쪽으로 110km)을 복령의 고향이라고 부른다. 특히 나전현 구자하(九資河)에서 생산되는 복령이 널리 잘 알려져 있다. 나전현 복령은 원(元) 나라 때 와 명(明) 나라 때 나전현 사람들이 야생 복령을 개량하여 인공재배 하기 시작했다.
이시진(李時珍)은 나전현 구자하 일대를 직접 방문하여 복령을 수집하고 ”복령유대여두자(茯苓有大如斗者), 유견여석자(有堅如石者), 절승(絶勝)” 이라고 본초강목에 기록해 놓았다. 다시 말하면 ”구하자 일대에서 생산되는 복령은 크기가 말(斗)만 하고 돌 처럼 단단한데 품질(品質) 또한 우수하다.” 는 뜻이다.
현재 구자하에 가보면 가가호호(家家戶戶)에서 복령을 재배하고 있으며 매년 이른 봄(1 월 – 2 월)에 소나무가 휴면기로 들어갔을 때 각 가정에서는 집 앞과 뒤에 있는노송을 도끼로 찍어 넘긴다. 초 여름(6 월 전후)이 오기를 기다렸다가 나무토막를 땅속에 묻고 복령을 접종(接種)하여 재배하기 시작한다. 구자하 칠리하촌(七里河村)에서 48kg 짜리와 54kg 짜리 복령을 생산했으며 54kg 짜리 복령은 ”복령왕((茯苓王)” 이라고 호칭을 붙였다. 현재 나전현 임업국(林業局) 전람관(展覽館)에 전시되어 있다.
또 절강성(浙江省) 수창(遂昌 : 杭州 남방 200km)에서 길이가 1 미터 폭이 50cm 두께가 30cm 이며 무게가 78kg 이나 되는 왕복령(王茯苓)을 생산해 냈다.
남북조(南北朝) 시대의 도홍경(陶弘景 : 서기 456 년 – 서기 536 년)의 저서 본초경집주(本草經集注 : 서기 494 년 - 서기 500 년)에 보면 복령을 인공재배한 기록이 있다. 지금부터 1500여 년 전에 복령을 인공재배한 것이다.
또 남송(南宋 : 서기 1127 년 – 서기 1279 년) 때 주밀(周密)의 저서 계신잡식(癸辛雜識)에 보면 소나무의 큰 뿌리를 쪼개어 흘러 나오는 송진 속에 복령균사를 접종한 다음 주로 식양토나 사양토와 같은 옥토(沃土) 속에 매장하여 복령을 재배한다고 복령 재배방법을 수록해 놓았다. 이와 비슷한 복령 재배 방법을 현재 까지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북도 봉화, 영양, 울진 등지에서 새로운 과학적인 방법으로 복령을 재배하여 다량 생산하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봉화고냉지 약초 시험장에서는 과학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복령 재배법을 개발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농가의 소득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어 기쁘다.
일반적으로 벽송(碧松) 밑에 복령이 많으나 현재 재배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괴(槐 : 홰나무), 상(桑 : 뽕나무), 력(櫟: 상수리 나무), 류(柳 : 버드나무), 양(楊 : 백양나무), 풍(楓 : 단풍나무) 등과 같은 활엽수(闊葉樹) 밑에서도 복령 재배가 가능하다.
현재 복령 재배 방법 중 한 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솔나무를 도끼로 찍어 넘긴 후 2 일 내지 15 일 후에 접종을 한다. 보통 음력 2 월에서 8 월 사이에 접종을 실시한다. 흙속에 묻혀있는 굵은 뿌리를 찾아서 넓이가 10cm, 길이가 15cm 정도되게 껍질을 벗기면 송진이 흘러 나온다. 그 위에 약 30g 내지 50g 쯤 되는 복령편(茯苓片)을 붙이고 옥토(沃土)로 덮어 놓는다. 3 년 내지 4 년 후에 복령을 채집할 수 있다
*********************************************************************************
벌목한지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자란 균핵입니다. 흔히 땅속 20~50cm에 있습니다. 직경 약 30~50cm 의 덩어리이고 속이 흰것을 백복령, 속이 분홍빛을 띠는 것을 적복령이라고 합니다.
백복령은 비를 보하고 담을 삭이는 효능이 뛰어나 [비허]로 오는 부증과 배에 물이 쿨렁거리는 데 좋고. 적복령은 습열을 없애고 이뇨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다.
소나무 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복신은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강해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와 불면증 ㆍ 건만증에 좋다.
♠ 신경성 심장질환에는 복령 ` 원지 참대 속껍질(죽여)을 같은 양으로 가루내어 한번에 12~15g씩 먹는다.
♠ 세가지 다 하루 6 ∼ 20g을 달임약 ㆍ 가루약 ㆍ 알약 형태로 먹는다.
♠ 입덧이 있을 때 구토를 멎게하며 입맛을 돋우고 소화가 잘 되게 하려면 복령 ㆍ 반하(법제한것) 각 10g, 생강 6g을 달여서 먹는다.
♠ 해산 후 [심허]증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두근거리며 정신이 맑지 못하고 말을 하지 못하는 증상 일 때는 복신 ㆍ 원지 ㆍ 게심 ㆍ 맥문동 각 3g, 인삼 ㆍ 당귀 ㆍ 마 ㆍ 감초 각 6g, 생강 3쪽, 대추 2알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을 깊이 자지 못하는 경우는 복령, 주사를 5 : 1 의 비율로 섞어 가루내어 1회 4 ∼ 6g씩 하루 3번 먹는다.
♠ 만성 신장염에는 복령 20 ~ 30g을 달여 하루 3번 정도 먹으면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몸이 부었을 때 좋다.
♠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복수를 빠지게 한다 : 가루낸 것을 한번에 4g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백복령은 콩팥의 핏줄을 넓히는 작용이 있으므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복수를 빠지게 한다.
♠ 건망증, 집중력 저하, 불안정, 초조함이 있는 사람에게, 노후의 건강관리와 치매 예방에 좋고, 특히 뇌기능을 좋게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 복신 ㆍ 원지 ㆍ 선창포를 차처럼 끓여 장기적으로 마신다
*********************************************************************************
[백복령(토종)]
[적복령]
[백복신]
(기원) 담자균류식물에 속하는 구멍장이버섯과의 소나무 뿌리에 기생한 균괴로서 약용한다. 복령(茯笭;Poria cocos )은 배양하기도 하며 균핵(菌核) 크기는 10∼30cm이며 둥근 모양 또는 길쭉하거나 덩어리 모양이다. 표면은 적갈색, 담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꺼칠꺼칠한 편이며, 때로는 근피(根皮)가 터져 있는 것도 있다. 살은 백색이고 점차 담홍색으로 변한다. 복령에는 복령, 복신, 남양복령으로 나눈다. (1),복령(茯笭;Pachyma Hoelen Rumphius) 살이 백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이라 하고,살이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하는데,강장,이뇨,진정의 효능이 있어 신장병,방광염,요도염을 다스린다.복령은 한국,중국,일본에 분포한다. (2),복신(茯神;Poria Cocos) 복령속에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을 복신(茯神)하는데, 이뇨,진정,안정의 효능이 있어 정신병, 우울증,신장병,방광염,요도염을 다스린다. 복신은 한국,중국,일본에 분포한다. (3), 남양복령(Lentinus tuberregium) 열대지방의 야자나무류 등을 주체로 산림지대의 부식토 및 개간지에서 발생하며, 땅 속에서는 사람 머리만큼 큰 덩어리 모양의 균핵(菌核)을 볼 수 있고, 매우 딱딱하고 표면은 혹 모양의 요철이 있다. 겉은 붉은빛을 띤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고 내부는 흰색이며 가는 균사조직으로 되어 있다.
균핵에서 지상으로 l개 또는 수개의 자실체가 돋아나는데,.
자실체는 높이 10∼40cm로 길고
튼튼한 자루와 깔때기 모양의 갓으로 되어 있다.
자실체 전체가 혁질(革質)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을 띠고 있다.
갓은 지름 10∼20cm이고
자루는 원기둥 모양이며
어릴 때에는 표면에 가는 털이 빽빽이 나고,
이상한 생태와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옛날부터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
균핵에서는 복령과 같은 유효성분은 아직 발견되지 않아 약용로 사용하지 못한다. 남양복령은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의 여러 섬에 분포한다. (약리). (1)이뇨작용, (2)소화기능에 영향, (3)항암작용, (4)면역증강작용. (약성), (1)달고 민민한맛(甘淡)이 나고 편범한(平)성질이 있다. (2)심경, 비경, 폐경, 신경에 작용하여 (3)이수삼습(利水渗濕), 건비화위(健脾和胃), 정심안신(靜心安神)의 효능이 있다. (주치), 부종창만, 실면건망, 반위, 유정백탁을 다스린다. (1),부종(현대임상연구). 솔풍령편(매편 생약3.5g)을 매일 3회 매회 성인8편,아동4편을 1주간 복용하는 것을 1개 치료요정으로 한다. 부종환자 30명중,현효23명,유효7명의 결과를 얻었다. (2),정신분열증(현대임상연구). 솔풍령 60g을 물로 다려 매일 1제 연속1-3개월 복용한다. 만성정신분열증 환자53명중, 치유3명, 현효11명, 호전16명, 무효23명, 유효율56.6%의 결과를 얻었다. (3),반위 및 구토 구갈음수자(부방). 복령반근, 택사,생강4냥, 백출3냥, 감초,계지 각2냥을
물1되로 달여 매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4),소변백탁(부방). 복령(去皮)4냥, 오배자6냥, 용골2냥을 가루로 하여 찹쌀풀로 환을 지어 매일2회 매회40환을 공복에 복용한다. (용량), 하루사용랸은 10-15g을 물약, 가루약, 알약을 만들어 복용하고 처방에는 복령탕(茯笭湯), 복령산(茯笭散), 복령주(茯笭酒),
복령택사탕(茯笭澤瀉湯), 방기복령탕(防己茯笭湯), 삼령백출탕(蔘笭白朮湯),
오령산(五笭散), 삼백탕(三白湯), 내소산(內消散), 삼소음(蔘蘇飮),
진무탕(眞武湯), 보화환(保和丸), 태화환(太和丸),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용뇌안신환(龍腦安神丸) 등이 있다. (주의), 음허(陰虛)에 습열(濕熱)이 없는 자, 허한활정(虛寒滑精),기허하함(氣虛下陷) 자에게는 신중히 사용한다.(참고),(1),칠기탕(七氣湯). 조기서간(調氣舒肝)하므로 칠정울결(七情鬱結)로 토하고, 설사하고 몸이 차가우면서 열이 있고, 머리가 어지럽고, 흉복부가 더부룩하며 막힌 감이 있는 증세에 쓴다. 처방내용은 반하(半夏), 후박(厚朴), 복령(茯주), 백작약(白芍藥) 각 8g, 자소(紫蘇), 계심(桂心), 귤피(橘皮), 인삼 각 4g을 달여 마신다. (2),행소산(杏蘇散) 1798년 오국통(吳鞠通)의 저서 《온병조변(瘟病條辨)》에 실려 있다. 호흡기 계통의 질환 만성기관지염, 폐질환 등에 효과가 있고, 감기 증세인 기침이나 두통, 코가 막혀 숨쉬기가 힘들고 냄새를 맡지 못하는 증상을 다스린다. 처방내용은 복령(茯주),전호(前胡),행인(杏仁) 각 7.5g, 반하(半夏),지각(枳殼),생강 등 각 5.5g, 소엽(蘇葉),길경(桔梗),귤피(橘皮) 각 3g, 감초 2g, 대추 2개를 물에 달여 마신다. (3),형방도적산(荊防導赤散) 소양인(少陽人)의 두통, 결흉(結胸), 흉격번조(胸膈煩燥)를 다스리는데 쓴다. 처방내용은 생지황(生地黃) 12g, 목통(木通) 8g, 현삼(玄蔘),과루인(瓜蔞仁) 각 6g, 전호(前胡),강활(羌活),독활(獨活),형개(荊芥),방풍(防風) 각 4g을 달여 마신다. (4),도적강기탕(導赤降氣湯) 소양인의 결흉증, 기담(氣痰), 경중통(莖中痛)을 다스리는데 쓴다. 결흉증이란 사기가 흉중에 결취된 병증을 말하고, 경중통은 음경내(陰莖內)의 동통을 말한다. 처방내용은 형방도적산에 복령(茯笭),택사(澤瀉)를 더하여 달여 마신다. (5),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만성적으로 비장(지라)과 위가 허약하여 오는 발작성 두통, 현기증에 쓰이고, 또 발작성 증세는 없더라도 만성위허약자의 식후의 졸음, 수족권태에도 응용된다. 처방내용은 반하(半夏),백출(白朮),창출(蒼朮),진피(陳皮),복령(茯주) 각 3.75g,맥아(麥芽),천마(天麻),생강,신교(神麴) 각 3g, 황기(黃기),인삼,택사(澤瀉) 각 2g, 황백(黃柏),건강(乾薑) 각 1.87g을
달여 마신다.
[복령캐기]
첫째로 복령 탐침봉을 만들어야 합니다.
탐침봉을 만들어 파는 곳이 몇군데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복령의 복자도 모르고 만드는 곳이기에 형편없고 또한 복령에 대하여
아시는 분들이 만들어 파는 수제품은 너무 비싸서 권해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주변에 용접을 하는 분들 계시면 피아노 강선 5.5mm 굵기로 길이가 1m정도로 파는것이 있는데 요놈을 사오시고 일반 수도 파이프를
손잡이로 적당한 굵기로 손의 크기를 감안하여 7cm~10cm정도로 잘라 드릴로 구멍을 뚫습니다.
이 파이프 환봉에 구멍을 뚫을때는 정 가운데를 뚫으시는것이 아니고 대충 3등분하여 두번째 자리에 구멍을 뚫어야 손에 잘 잡힙니다.
(아래 사진 참조)-저는 개인적으로 피아노 강선 5mm를 선호하지만 초보자는 쉽게 구부러져 불편함.
둟은 구멍에 피아노 강선을 집어넣어 움직이지 않게 용접을 하고 저같은 경우에는 손잡이에 낚시대 손잡이에 사용하는 수축고무를 입혀
감촉을 좋게 하였습니다.
길이는 키에 맞게 조정하여 끝을 뾰족하게 갈아냅니다.
(저같은 경우는 키 172cm에 탐침봉 길이가 약70cm)
이렇게 두 개를 만들어 양 손에 하나씩 잡고 탐침을 하는 것입니다.
만드는 실력이 좋으신 분들은 단단한 나무에 피아노 강선을 끼워 만드시면 가볍고 더할나위 없는 탐침봉이 되겠죠?
둘째로 복령 그루터기를 찾아야 합니다.
복령 그루터기를 찾지 못하고서는 절대 복령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일단 그루터기를 찾는 방법은 인터넷 조회하시면 상세히 알 수 있고 화석같이 깍뚜기처럼 나무가 검붉은 색으로 변해 있는 것이
복령이 자라는 그루터기입니다.
복령은 사람을 죽이는 암덩어리라 생각하시고 전염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겁니다. 하나의 그루터기가 있다면 주위에는 수십개, 수백개의 그루터기가 산재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단 이 그루터기를 찾는데 소나무를 베어서 죽어 생긴 그루터기보다는 전이되어 자연스레 죽어있는 그루터기에 더 많은 복령이 숨어 있습니다.
셋째로 그루터기 주변 공략법입니다.
이게 초보자에게는 가장 힘든 일입니다.
맨땅에 헤딩하는 것도 아니고 어디를 찔러야 복령이 나올까?
일단 제 경험으로는 그루터기 주변 1~3m 사이를 공략하세요.
사실 몇 백개의 복령을 캤지만 캐고나서 거리를 보면 대부분 1.5m 전후하여 묻혀 있습니다.
살아있는 소나무에 전이되어 자라는 복령은 1m 안쪽에도 자라는걸 보았지만 대부분은 1.5m~2m사이에서 발견됩니다.
대부분의 그루터기는 비탈이나 경사에 위치하고 있는데 아래에서 그루터기를 정면으로 바라보며 그루터기 좌우측으로 수평되게 일직선을 그었을때 좌우측 밑으로 45도 방향에 주로 포진하고 있습니다.
이 45도 각도에서 그루터기 좌우측(180도)까지 3~5cm간격으로 집중적으로 탐침하신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는 버섯이니만큼 뿌리가 어느쪽으로 튼실히 뻗어 있는지 파악하셔서 따라가며 탐침하는 방법도 훌륭한 방법입니다.
절대로 3m 이상 탐침할 생각은 하지 마세요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초보자가 그루터기 하나를 제가 알려 드리는 곳만 탐침하는데만도 1시간 이상은 족히 걸릴 겁니다.
넷째로 탐침 방법입니다.
복령은 땅이 좋은 곳에서는 1m 이상, 땅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맨땅에 얼굴을 들어내놓고 있는 놈도 있습니다.탐침봉을 적당한 힘으로 꽂아서 들어가는 깊이 보통은 20cm 전후에 대부분 숨어 있습니다.
초보자는 땅속에 있는 복령을 제대로 찔러도 감을 몰라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손으로 탐침봉을 적당한 힘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똑같은 각도로 탐침하는 요령을 터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로 땅의 밀도입니다.
진흙 성분이 많은 땅에서는 아직까지 저도 복령을 탐침할 엄두를 내지 않습니다.
땅이 부드러워서 초보자도 돌이나 나무뿌리에 찌르는 느낌을 알 수 있어야 복령을 찔렀을때의 느낌도 알 수 있는겁니다.
그루터기가 발견되지 않아서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땅이 물러서 탐침봉이 잘 들어가는 그런 곳을 탐침해야 합니다.
가끔 어떤 곳에서는 속이 비어있는 것처럼 탐침이 수월하게 되는 곳이 있습니다.
제가 대박을 맞은 곳이 바로 이런 곳입니다.
절대로 단단한 땅에서 고생하지 마시고 푸석하고 무른 땅에서 복령을 찔렀을때의 감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여섯째로 복령을 찔렀을때의 감각을 찾는 것입니다.
복령을 찌를때는 뭔가 끈적한 느낌(썩은 나무를 찌를때나 진흙을 찔렀을대의 느낌이 비슷함)이 있는데 처음 복령을 캤을때는 과감히 땅속에 다시 넣고 찔러서 감을 찾는게 중요합니다.
저도 사실 이 감각을 정확히 몰라서 조금이라도 비슷하다 싶으면 계속 탐침봉 끝을 확인합니다.복령을 찔렀을때는 탐침봉 끝에 희거나 때같은 끈적이는 가루가 많이도 묻어납니다.조금이라도 비슷한 감이 있을때는 탐침봉 끝을 확인하거나 만지는 습관을 가지세요.
고수분들처럼 연신 두손으로 빠르게 탐침하는 모습이 초보에게는 손운동밖에 되지 않는 것입니다.천천히 그루터기 하나를 몇시간 탐침한다는 마음으로 서두르지 마세요.
일곱째로 복령은 모여 있습니다.
하나의 복령을 캤다면 그 주위에는 적게는 하나에서 많게는 수십개의 복령이 더 모여 있습니다.
복령이 발견되면 그 주위 1m 이내는 탐침 간격을 2cm 이하로 줄이는 한이 있더라도 더 섬세히 정확히 탐침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겁니다.
마지막으로 복령의 생태입니다.
복령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서 만들어지고 뿌리의 영양분으로 커져가는 것입니다.
살아있는 뿌리에서 만들어진 복령은 이제 몇 년 되지 않은 복령이고 오래되면 뿌리는 사그라지고 둥그렇거나 제각각 모양인 복령이 만들어지는 겁니다.
더 오래되면 복령 속이 비어가며 생을 다하고 땅속에 영원히 묻혀 버리게 됩니다.
살아있는 소나무 뿌리에서 복령이 발견되면 주위 가까이 살아있는 소나무 주변을 집중적으로 탐침해보세요. 운만 따른다면 수십키로의 복령을 찾을 수 도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