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쏘기

활쏘기를 잘 하려면

은오 2006. 8. 24. 16:17

잘할 수 있을 것 같으면서도 맘대로 안되는 것이 바로 국궁이다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각각 변화무쌍하게 변화해 가는 것이 국궁이다

따라서 누구도 자신할 수 없는 것이 또한 국궁이다

 

그 이유는 다른 스포츠보다 마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아주 미세한 동작의 변화에도 결과가 크게 나타나니 모두들 어렵다고 한다

물론 과녁까지의 거리가 멀으니(145m) 조금의 편차도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차근차근히 문제를 풀어나가다 보면 길은 있는 것이다

여기에 그 방법을 논해본다(정답은 아니지만 서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자)

 

1.평상시 궁력을 기르기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자신의 활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힘과 요령을 터득해야한다

그래야만 자신감이 생긴다.  시간이 부족하여 궁력을 기를 시간이 없다면

자신의 사무실 근처 적당한 공간에 줄화살을 만들어 놓고 시간 날때 당겨서

궁력을 기르고 심신을 일치시키도록 해야한다

줄화살을 할때도 천천히 당기면서 모든 기운을 집중해야한다

 

2. 마음의 평정심을 강하게 길러야 한다

어느장소 어디에 가더라도 마음과 눈을 통해 들어오는 사물, 자연현상에 현혹됨

이 없어야한다. 그럴려면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일단은 직접 경험해 보는 것이

급선무다.(대회에 나가거나 단체로 활을 내면서 마음을 강하게 길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회 나갈때마다 들죽날죽한 성적을 가져오게 된다

 

3.직접적인 방법

  1) 줌손을 강하게 잡아야 한다

      자세를 취하는 처음엔 가볍고 편안하게 잡았다가 당기기 시작하면서 점점 강하게

      손바닥의 반바닥 전체면에 밀착시켜 잡고 발시순간엔 100%의 힘으로 태산을 받치듯이

      강하게 잡아라. 그러면 화살이 강하고 고르게  나갈 것이다.

      아랫부분에만 밀착시켜 당기면 화살이 힘이 없게 된다

      밑받침을 하더라도 손바닥의 힘이 골고루 전달되도록 해야한다

 2) 깍지손은 계란을 쥐듯이 쥐고 새끼 손가락 부분은 힘을 주어 손바닥에 밀

    착 시켜.

     깍지손 잡는 방법만큼이나 다양한 것도 없다

     표준은 없겠지만 일단은 깍지손도 강하게 잡아야한다. 왜냐면 대부분 퇴촉현상

     (화살이 딸려가면서 발시를 하는 현상)으로 인해 명중을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이다. 혹자는 가볍게 쥐고 딸려가지말고 발시하라고 하지만 그건 고수가 되

     기전까지는 어렵다. 강하게 쥐면서(깍지손으로 잡은 힘을 중구미로 이동시켜 당김을 멈추지 말라)

     요령을 터득하기를 권고하고 싶다

     그러면 화살이 멀리 직선으로 갈 것이다. 화살이 짧거나 흔들리며 나아가는 경우

     의 대부분은 줌손과 깍지손을   강하게 잡지 않는 경우라고  판단한다

 

 3)화살을 당김과 동시에 아랫배와 다리는 무쇠처럼 단단하게 힘을 주어야

   한다

   바늘로 찔러도 들어가지 않을 만큼 단단하게 힘을 주면 화살이 앞뒤나는 경우가

   드물다.  하체에 힘을 주는 것은 활이 스포츠로서의 강점을 주는 항목이다. 이로서

   하체가 튼튼해지고 활도 잘 맞고 운동도 되니 꼭 이를 지켜야 한다

 

 4) 호흡은 거궁자세를 취함과 동시에 숨을 다 내밷고 활을 당김과 동시에

   조금씩 들여마시면서 만작을 한다

    호흡은 부드러우면서도 강하게 끊김이 없이 발시전까지 지속적으로 하고

    얼굴과 어께쪽으로 힘이 올라오게 해서는 안된다

 

 5)만작을 꼭 해야한다.

  어떤 분은 만작이 안된 상태로 발시하여 명중하는 분도 있으나 이는 미관상도

  안좋거니와 좋은 자세라 할 수 없다. 만작후에도 발시전까지는 계속 아주 조금씩

  당김이 지속되어야 한다

 

 6)깍지손은 만작후에도 계속적으로 당김을 지속하여 조금도 딸려감(퇴촉)이 있어서

   는 안된다.

   발시때까지 지속적으로 당김을 하다 표적을 정확히 조준 후 축방향 뒤로 펼쳐야

   한다

 7) 발시후에 활은 발시전의 자세로 그대로 유지하도록 노력한다

     발시후에도 활은 반동에 의해 조금 움직이는 정도로 강하게 쥐고 있기를

      권고한다. 그러면 화살도 빠르고 강하게 나아간다

 

 8) 자신의 힘에 알맞는 활을 선택해야한다

    대부분의 궁사들이  과시용으로 강궁을 사용함으로 문제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활은 남에게 보이기 위함보다 자신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자신의 힘의 2/3정도의 활이 알맞다고 생각한다

 

 9) 활을 잡은 손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고 당겨야 하고 깍지손의 당기는 높이는

    입술선 아래로 내리지 말고 일정하게 하라.

     깍지손의 끄는 높이가 낮을 수록 밑받침이  약해진다.

 

4. 활은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

  마음을 여유있고 자신감 있게 하되 경거망동 하지말고 겸손하게 하면서 서서히

  당김을 하고 발시하여야 한다

  또한 주위에 아랑곳 하지말고 활과 나 그리고 과녁만이 존재한다는 무념무상의

  마음으로 임하면 틀림없이 명중할 것이다

 

 

'활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병의 유형과 치료법  (0) 2006.09.06
사대에 서면(동영상)  (0) 2006.09.06
국궁동영상 3  (0) 2006.08.23
국궁을 하면 무엇이 좋은 가?  (0) 2006.08.17
국궁의 등급(입단 및 승단)  (0) 2006.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