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관련

광고성 홈페이지, 어떻게 삭제하나

은오 2011. 11. 16. 13:43

Q 1: 제가 지금 겪고 있는 것들은 악성코드와 애드웨어 중 어떤 것인가요?


애드웨어입니다. 애드웨어는  말 그대로 광고성 프로그램이며 사용자의 동의 하에 설치되기 때

문에 법적인 문제 혹은 사용자의 선호도 문제 등으로 모든 백신이 애드웨어를 전부 진단하기에

는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Q 2: 포털 사이트에 검색을 하면 나타나는 이상한 사이트와 광고성 홈페이지,

안 뜨게 하는 방법은 없나요?


이것은 포털 사이트의 검색 때문이 아니라 리워드 프로그램 때문에 특정 홈페이지가 뜨는 것

으로 보입니다.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리워드 관련 프로그램을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리워드 관련 프로그램을 삭제하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인터넷 창에서 “도구”를 클릭한다.

 

 

 

2. 인터넷 옵션을 클릭한다.

 

 


3. 프로그램을 클릭한다.

 

 

 

 

4. 추가 기능 관리를 클릭한다.

 

 

 

5.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사용 안 함” 또는 “ActiveX 삭제”를 클릭한다.

 

 


리워드 프로그램이란 어떤 쇼핑몰에서 포인트를 쌓든 사용자가 현금처럼 인출해서 사용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리워드서비스와 이에 관한 부작용은 “리워드 서비스,

 혜택 뒤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Q 3. 악성코드와 애드웨어 치료법 좀 가르쳐주세요.


악성코드는 최신 백신을 유지하고 보안 패치 역시 최신으로 유지해서 감염을 방지합니다.

애드웨어를 예방하려면 백신 사용은 물론 ActiveX를 무조건 허락 및 허용하시면 안됩니다.

 
Q 4. 제가 악성코드, 애드웨어 감염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악성코드는 백신 정밀 검사를 통해 감염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웨어는 백신 정밀

검사와 함께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불필요프로그램이 있는지 혹은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의

시작 프로그램 리스트에서 불필요한 프로그램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확인 가능합니다.

 

[프로그램추가 제거]찾기: 시작-제어판-프로그램 -프로그램추가 삭제

[시스템구성유틸리티] 찾기: 시작-실행-msconfig라고 삽입후 엔터-시작프로그램-불필요

프로그램 삭제

 

 

[시스템구성유틸리티 열기] 

일단 을 클릭합니다.

실행을 클릭합니다.

 

열기에 msconfig 라고 써 넣고  클릭합니다.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가 열립니다.

 

을 클릭합니다.

PC에 설치되어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되어 있는 모든 프로그램이 나타납니다.

 

어떤 것을 지워야 할지 구분하기 힘들다. 윈도우즈를 깔끔하게 청소하려면 오른쪽

경로가 'c:program files'로 시작하는 모든 항목의 체크를 없애면 된다.

(주의 : TaskMonitor, System tray, Load Power Profile(2), 레지스트리 검사 등은

지우면 안됩니다.)

시작항목에서 ctfmon, imjpmig, imkrmig 과

바이러스 백신과 악성코드 백신을 제외한 모든 시작항목의 체크를 없애고


을 클릭한후 을 클릭합니다.

 

이제 시스템 구성으로 바꿔면서 다시 시작할 것인지 묻습니다.

을 클릭합니다.

 

재부팅 되면서 아래와 같이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가 열리면

체크 한후 을 클릭하여 주면 됩니다.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시작프로그램을 지우고 싶을 때는

시작 - 실행 - regeidt 입력하시구

경로를 찾아가 보면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n\ Uninstall

 Run을  Uninstall 로 바꾸면 됩니다

 

즉, 악성코드와 애드웨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1. 사이트가드와 같은 웹 브라우저 보안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2. V3 Lite 혹은 V3 365를 최신 엔진 버전으로 유지하며 실시간 감시 기능을 반드시

   켜 놓고

3. ActiveX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