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내림(슬로프)낚시, Semi단차낚시, 단차낚시라는 용어가 생소했는데 그림을 보니 이런 용어는
채비 안착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네요.
[찌맞춤]
1) 내림낚시의 찌맞춤은 낚시하는 날의 낚시터 상황(수심,개체수,활성도,바닥상태)과 사용미끼, 사용하는
원줄과 목줄의 굵기 등 여러가지 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바, 통상 붕어의 활성도가 떨어진 경우
에는 작은바늘, 가는 목줄에 4목 이하의 약한 맞춤을 하여 미약한 입질을 감지해 내고 붕어의 개체수가 많아
중층에서도 받어먹고 바닥에서도 강한 입질을 보일경우에느 9목 이상의 센 맞춤으로 찌를 빨리 세워 넓은
범위를 탐색하는 기법을 구하합니다.
그러나 짧은 시간에 붕어의 활성도를 파악하여 찌맞춤 목수를 조정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맞춤 목수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7목으로 고정하고 목줄의 기울기(슬로프)를 조정하여 현장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그러므로 찌맞춤은 현장에서 빈바늘 상태로 투척하여 통상 11목 찌의 경우 7목이 수면에 노출될 때까지
편납을 가감하면 완성됩니다. (7목 찌맞춤의 경우)
2)수심 측정하기
찌톱의 부력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침력을 가진 수심측정고무(지우개)를 미리 만든 후 수심측정고무에
양바늘을 끼우고(윗바늘 기준)포인트에 투척 수직 입수시켜 찌톱상단 한 마디가 수면에 일치하도록
찌높이를 조정합니다. 찌톱 한마디에 맞춘 상태에서도 전후 좌우 30cm범위로 여러차례 반복 투척하고
낚시대를 밀거나 당겨보아 채비의 수직입수 상태 및 수심을 재차 확인하고 이 과정을 통하여 바닥상태
및 경사도를 확인합니다.
3)수심 측정이 정확히 완료되면 이를 표시하여야 하는데 수심을 표시하는 방법은 찌를 원줄과 일자로
세운 상태에서 찌고무 위쪽에 있는 맨 위의 스토퍼(또는 면사 매듭)를 낚시대 쪽으로 움직여 수심측정한
1목과 일치시킨 지점에 고정하면 측정한 수심을 원줄에 기억(표시)한 것입니다.
4)슬로프 주기 : 목줄의 기울기 조정하기
수심눈표를 만들었으면 찌를 낚시대쪽으로 움직여 수심눈표에 맞춤목(7목)을 일치시킨 후 윗바늘에
집어제, 아랫바늘에 입질용 미끼를 달아 투척하면 두바늘이 모두 바닥에 닿되, 긴 목줄의 아랫바늘
(입질용 미끼)은 약간 경사를 이루고, 짧은 목줄의 윗바늘(집어제)은 바닥과 거의 수직을 이루며 살짝
닪는 전형적인 내림낚시 상태가 됩니다.
필자의 경우, 집어제에 의한 약간의 사선을 감안하고 목줄을 약간 눕혀주어 붕어가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해주기 위하여 맞춤목(7목)+2목으로, 죽 9목을 수심눈표에 일치시킨 후 낚시를 시작하고 입질상태에
따라 7목~11목 사이를 오르내리면서 낚시를 합니다.
5)떡밥달고 실제 낚시하기
7목 맞춤의 경우 9목을 수심기억 눈표에 일치시킨 후, 윗바늘에 집어제, 어랫바늘에 입질용 미끼를 달아
추척하면 이론적으로는 9목이 노출되어야 하나 실제 낚시터에서는 5~7목 사이가 노출되고 집어제가
풀리면 7~8목, 고패질을 몇 번하여 입질용미끼까지 풀리면 9목까지 노출됩니다.
참고로, 슬로프 조정의 기본공식은 헛챔질이 많이 나오는 경우에는 찌를 올려서 붕어가 흡입하기 편하도록
목줄을 더 눕혀주고(슬로프를 많이 주고) 몸통걸림이 많은 경우에는 찌를 내려서 목줄을 팽팽하게
(슬로프를 적게)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맞춤목+2목을 기준으로 낚시를 시작하여 그날 그날의
낚시 양태에 따라 찌높이, 즉 슬로프를 조정하면서 붕어가 흡입하기 용이하면서도 목줄이 휘어지니 않아
입질 사각지대가 가장 적은 목줄의 기울기 상태를 찾아가는 노력과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 낚시포인트 방파제 정리 2탄 (0) | 2015.06.08 |
---|---|
거제 낚시포인트 방파제 정리 1탄 (0) | 2015.06.08 |
거제도 외포방파제 (0) | 2015.06.08 |
붕어낚시 채비 상식 (0) | 2013.07.12 |
붕어낚시 채비(유동채비,고정채비) (0) | 201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