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궁 형태별 얹어보기 |
강 의 : 호림정 박극환
일 시 : 1999. 5. 2
장 소 : 영천 영무정
정 리 : 칠보정 이건호
[주] 강의를 해주신 박극환님은 경주궁(경주각궁)을 제작하시며, 현재 대한궁도협회 1급 심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각궁과 관련하여 상세한 문의는 경주 궁방(경주시 동천동 054-772-7122)으로 연락바랍니다.
또한 이 자료는 인터넷 국궁사이트인 http://www.start1234.com/ 에 전문이 게재되어 있음을 알려드리며, 연락처는 이메일 kukkung@hanmail.net 또는 전화 018-528-0715(이건호)입니다.
이 교재에서 사용된 사진은 연속성이 없으며 활의 특정 현상에 대한 자세를 위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사진은 필자가 임의로 편집하였습니다.
000. 강궁 불보이기
000. 강궁이거나 사용하지 않고 점화통에 오래 보관되어 활의 모양이 많이 동그래졌을 경우는 도지개를 이용하거나 또는 위의 사진처럼 활의 모든 부분을 골고루 약하게 불을 보인후에 활 올리기를 시작한다.
100. / 101
100. / 101. 줌통을 밀어내는 자세이며 이러한 자세는 줌통을 많이 밀어야 하는 경우에 취하는 자세이다. 이때 가장 유의해야 하는 점은 줌통부위(밭은오금)를 충분하게 불을 많이 보여야 하며, 불 보인 것이 약할 경우 활이 비틀어지면서 쉽게 부러질 수가 있다. 또한 위의 자세에서 중요한 부분은 화살표가 표시된 세 부위이며 줌을 미는 발의 동작은 서서히 진행되어야 한다. 발을 사용함에서 갑작스럽게 힘을 주어 밀게 되면 줌통 접착부위가 벌어지게 되어 활이 상하는 원인이 된다. 양손의 위치에서 엄지 손가락은 반드시 현을 누르듯 잡아야 하며 힘을 가하지는 말아야 한다. 이때의 양손의 역활은 발로 줌을 밀고 있을때 고자 부위가 돌아가면서 현이 벗겨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1020. / 1021. 줌통 밟아 내리기
1020. / 1021. 이 작업은 줌통에 불을 충분히 보인 다음 줌통을 밟아 내리는 장면이다. 줌통이 높으면 활은 강하나 각궁이 전반적으로 불안정하여 반복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줌통은 대개가 평면 바닥위에 놓은 상태에서 가운데 세 손가락을 밀어 넣어 중간 마듸까지만 들어가게 한다. 또한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하던 활이 항상 동일한 줌통의 높이를 갖도록 한다. 이 작업에서 현이 이탈하지 않도록 양손으로 고자를 잡는 방식이 제일 중요하며, 무릎은 꾸부리지 말고 두발은 줌통을 누른다. 또한 양손으로 활을 당길 때는 비틀지 않고 똑바로 올려야 한다. 양손으로 당기는 양은 활이 만작으로 되었을 정도로 완전한 'U'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은 대개가 두 세번 정도 반복해야 줌통이 내려간다. 오른쪽 사진은 줌통 내리기 작업을 하고 난 뒤 윗장의 목소 부분에 불을 보인 뒤 밟기를 하는 모습이나 초심자가 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동작이며 현이 이탈할 염려가 있다. 활의 밟는 부위에 따라 방법이 약간씩 틀리므로 많은 경험과 남이 하는 것을 볼 필요가 있다.
1040(1050) 고자 바로잡기
1040 원으로 표시된 고자가 한쪽 방향으로 틀어져 이를 바로 잡아야 할 때는 고자 부분에 만 불을 작게 보이지 말고 오른쪽의 사진에서와 같이 상목 목소 전체(삼삼이 부위까지)까지 넓게 불을 보여야 한다. 이 작업은 고자 부위만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활의 면을 바로 잡는 것이다. 즉 손으로 비유하자면 손목만 돌리는 것이 아니고 팔을 돌리는 것과 같다. 줌통을 밀때처럼 불을 충분히 보여야 하며 이 작업은 현이 고자가 틀어진 방향으로 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1041 / 1042
1041 / 1042. 밟고자 하는 부위에 충분한 불을 보인뒤에 현을 거는 고자부위를 약간의 높이가 있는 물체(지어진 활을 사용해도 됨)위에 올려 놓고 왼손은 현과 활을 같이 부여잡아 활이 돌거나 현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른손 또한 오른쪽 사진에서와 같이 고자부위를 잡아준다 이때도 현과 활을 같이 잡아준다. 양손의 자세가 완료되면 오른발로 약간 앞으로 밀 듯이 누르는데 발에 힘이 들어가면 순식간에 활이 돌아가므로 서서히 약하게 활의 움직임을 감지하면서 진행한다. 이때의 발의 모양새도 현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활과 현을 같이 밟아주어야 한다.
1043 / 1044
1043 / 1044 왼쪽 사진은 밟기전의 오른손의 모습과 발의 모양새다. 오른쪽의 사진은 활의 모양을 다잡은 뒤에 목소 아랫부분을 다시 밟는 모습이다. 이러한 작업은 일련의 연속성이 있는 것은 아니며 선행 작업후 활의 모양을 보아가면서 필요시에만 작업을 한다.
1045
1
045. 반대편의 고자를 바로 잡을때도 동일한 자세와 방법을 취한다. 이러한 작업 즉, 고자를 바로 잡는 자세에서 활은 순식간에 돌아갈 수 있으므로 특별히 신경을 집중해야 하며 특히 불을 충분히 보인 경우는 아주 쉽게 잡혀진다.
1050. 많이 구부러진 고자 바로 펴기
1
050. 오래된 활 일수록 활의 양끝이 'C'자를 거꾸로 놓은것과 같이 동그래진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활의 양면 모두 불을 충분히 보인 뒤 바로 잡는다.
1051 / 1052
1051 / 1052. 활의 윗면에 충분한 불을 보여야 하나 현을 불에 가깝게 하여타거나 늘어나지 않도록 유의한다. 또한 활의 뒷 부분도 사진에서와 같이 불을 보인다.
1053 / 1054
1053 / 1054. 불을 보인 뒤 고자를 펴는(바로 잡는) 자세는 2가지의 형태가 있다. 사진에서는 활의 끝부분을 오른발로 힘있게 밟고 양손으로 활을 내리면서 펴는 자세이며, 이 자세는 고자를 강하게 구부러진 활을 펴기에는 힘이 벅차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강한 힘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왼쪽 사진에 표시된 화살표 부위를 궁창에(문이나 또는 장롱 바닥의 틈새에 밀어) 넣은 뒤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활의 양쪽 목소 부위를 잡고 활을 아래로 내리면 손쉽게 고자를 바로 펼 수 있다.
'활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궁은 주인을 닮는다 (0) | 2016.09.26 |
---|---|
각궁 얹어보기 (0) | 2016.09.26 |
[스크랩] 명궁님 각궁 강의 (0) | 2016.09.22 |
각궁 올리기(박극환 궁장) (0) | 2016.09.22 |
가죽끈을 이용한 보궁만들기 (0) | 201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