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논 100D 단점 / CANON 100D AF를 이용하여 초점 맞추기 ( AF 방식 ) | ||||
| ||||
지난번 삼성 겔럭시 카메라와 줌 기능 및 터치로 초점 잡고 찍은 결과물에 관해서 비교해 드렸는데,이번에는 100D의 4가지 AF방식과 5일동안 800장 남짓 찍으면서 느낀 불편함(단점)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해당 연재 포스팅은 필링링이 100D를 공부해 가는 과정의 하나로 실제 사용자 위주임을 말씀해 드립니다. 오류나 정정이 필요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 덧글 부탁드립니다. |
CANON 100D의 단점 ( 필링링이 느끼는 불편한 점) |
SD 메모리 슬롯/촬영시간 |
USB 연결 케이블 |
퀵 모드 사진저장 오류. | ||
|
|
| ||
오래전 사용하던 캐논 400D의경우 CF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종이 였음에도 메모리 슬롯이 옆에 위치하고 있어 꺼내기가 편했으나, 100D의 경우는 아래쪽 배터리 교환부와 같이 있어 저는 많이 불편하네요. 옆의 케이블 단점과 겹쳐지니 더욱그러합니다. 또한 라이브 뷰로 촬영시 밧데리 소모가 많아서 예비 밧데리 까지 가져갔음에도 2개의 밧데리로 500장 정도 찍으니 소진 되네요. 저처럼 사진을 많이 찍는 분들은 참고하세요. |
예전 방식 케이블로 요즘 흔히 사용하는 핸드폰용 케이블과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최근에 삼성 겔럭시 카메라를 사용해서 그런지, 핸드폰 케이블로 쉽게 연결이 되고 충전 또한 가능하며 별도의 차량용 충전기 없이 시가잭 어댑터로 충전이 가능했는데.. 그것과 비교하니 불편하네요. 익숙해지기 나름인가요..?!! 분명 제품 마나 장단점은 존재하지만 스마트해지는 세상인데 다음 버전에서는 개선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많이 사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아래 설명드릴 AF 방식 중 퀵모드를 사용하면 C-10 U-1 속도48M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사진이 저장되지 않았습니다. 어제 너무 예쁜 5개월 된 멍멍이 똘이를 만나서 찍은 사진이 귀신처럼 사라졌네요. 내일 캐논 고객센터에 문의는 하겠지만, 사용 미숙이 원일 일수 있으니 참고만 해주세요. 사실 이모 드는 사용할 일이 없을 것 같습니다. 포스팅 목적도 기능을 익히는데 있으니 오류는 덧글로 부탁드립니다. |
CANON 100D AF를 이용하여 초점 맞추기 ( AF 방식 선택하기 ) | ||
|
완전 자동모드에서 라이뷰 뷰 촬영 조건에서의 테스트입니다.
캐논 100D에는 4가지 AF 방식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선택은 라이브 뷰 화면에서 첫 번째 사진에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 "menu" 버튼을 클릭 하신 후
2번째 사진의 빨간색 화살 표시 처럼
두번째 탭의 AF방식 에서 터치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첫 사진 하늘색 화살표의 방향 버튼과 set 버튼으로도 선택이 가능합니다.
정밀한 초점을 얻으려면 렌즈 포커스 모드를 MF로 설정한 다음
이미지를 확대하고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면 됩니다.
해당 내용도 다음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 ^.^(얼굴)+트래킹 ] [ FlexZone - Multi ] [ FlexiZone - Single ] [ 퀵 모드 ]
이렇게 4가지 방식을 제공합니다.
[ ^.^(얼굴)+트래킹 ]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어 초점이 맞춰집니다.
얼굴이 움직이면 AF 포인트 도 같이 움직여 얼굴을 추적합니다..
▶여러 개의 얼굴이 이식되면 방향 버튼을 이용해 초점을 원하는 대상의 얼굴로
이동시켜 맞출 수 있습니다.
▶LCD 모니터 화면을 탭하여 얼굴이나 피사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얼굴이 인식되지 않거나 LCD 모니터를 탭 했지만 어떤 얼굴이나 피사체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카메라가 자동 선택인 [ FlexiZone-Multi]로 변경됩니다.
역시 얼큰이가 대세인가 봅니다.
사람이었다면 다른 결과였겠죠.
인형 얼굴까지 인식하는 기특한 녀석이네요.
여러 명의 경우도 모든 사람의 얼굴을 인식해 초점을 잡습니다.
예시 일 뿐이나 참고해 주세요.
[ FlexZone - Multi : AF[] ]
넓은 영역을 커버하는 최대 21개의 AF 포인트가 초점을 맞추는 데 사용됩니다.
이 넓은 영역은 초점을 위한 9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휴지통 버튼을 누를 때마다 자동 선택과 영역 선택이 전환됩니다.
▶십자 키를(아래 사진 빨강 화살표) 이용해 영역을 선택합니다. 중앙 영역으로 돌아가려면
다시 휴지통 버튼을 누리면 됩니다.
▶LCD 모니터 화면을 탭하여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아주 공평하게 포스가 잡히네요.
이번에는 얼큰이보다는 신부 쪽에 큰 점수를 주는군요.. ㅋㅋ
[ FlexZone - Single AF ㅁ ]
초점을 맞추는 데는 1개의 AF 포린트가 사용되므로 원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때 효과적입니다.
지금까지 필링링 가장 많이 사용한 방법이랍니다.
십자 키를 움직여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곳으로 AF를 이동할 수 있지만
터지 LCD의 장점을 이용해 직접 초점을 맞추고 싶은 곳을
가볍게 터치하시면 됩니다.
가장 작은 DSLR의 교과로 LCD가 작지만
다음에 설명드릴 확대 기능을 이용하면 보다 정밀한 초점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에 두 가지의 경우도 직접 터치해 원하는 피사체를 선택할 수 있지만
이 방식의 경우는 한 개의 초점을 이용해 이렇게 터치로 피사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역시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짧은 다리에 얼큰이 캐릭터를 선택하게 되네요.
절대 가운데 있어서가 아니랍니다. ㅋㅋ
[ 퀵 모드 : AF QuICK ]
뷰파인더 촬영에서 동일한 AF 방식으로 one-Shot AF 동작에서 전용 AF 센서를
상용하여 초점을 조정합니다.
목표한 피사체에 빠른 초점을 맞출 수 있지만
AF 동장 중에는 라이브 뷰 이미지가 일시적으로 중단됩니다.
9개의 AF 포인트를 선택해 그 AF 포인트( 수동으로 선택)가 커버하는
영역에만 초점을 맞출 수도 있습니다.
▶휴지통(ㅋ) 버튼을 누를 때마다 자동 선택과 수동 선택 사이에서 변환됩니다.
▶뱡향키를 사용해 AF 포인트를 선택 합니다. AF 포인트를 중앙으로
복귀시키려면 휴지통 버튼을 누릅니다.
▶LCD 모니터 화면을 택하여 AF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모 드는 쓸 일이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뷰파인더 촬영에 익숙한 분들한테는 괜찮은 방법 입니다.
결과물은 저장이 되지 않아 없네요.. ㅜㅡ
100D를 손에 익히고 배우는 차원의 포스팅 이니 좀 더 더 사용해 보겠습니다.
위에 세 가지 결과물 보시면 아시겠지만
어떤 방식의 AF 방식을 선택하건 결과물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정해진 공간에서 고정된 피사체로의 테스트 사진이지만,
AF 방식의 특성 잘 이해하고
촬영하는 상황이나 목적에 맞게 가장 좋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연습을 통해 익히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카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별 노출(+/-) 보정 방법 (0) | 2015.01.28 |
---|---|
카메라 F[조리개] 값의 의미 (0) | 2015.01.28 |
DLSR렌즈(1) (0) | 2014.05.30 |
DLSR 기본용어 설명(바디와 렌즈) (0) | 2014.03.21 |
야경촬영 기법 (0) | 201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