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쏘기

줌통의 제원

은오 2016. 5. 19. 14:39

'조선의 궁술'에 줌길이는 二寸이며 줌몸피는 上이 二寸五分이오 下는 三寸으로 三寸二,三分이니 其外大小는

手와 力의 大小에 의하야 差가 有하며... 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줌길이=2치

     줌윗둘레=2치5푼

     줌 허리통= 4치

     줌아랫둘래=3치~3치3푼


 이며 손과 힘의 대소에 따라 차이가 있다.

 활에서 많이 쓰이는 영조척은 1자가 31.22cm라고 한다(요즘 1자는 30.303 임)

 경국대전과 국조오례의에 나오는 영조척은 세종 때의 길이를 써야하는 것이 맞다고 합니다


그렇게 가정하고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아래와 같은 값이 나옵니다.

 

줌길이=62.44mm

줌 허리통=124.88mm 

줌윗둘레=78.05mm

줌아랫둘레=93.66mm~103.026mm


상기 치수로 보아 줌통의 형태가 대략적으로 모양이 그려집니다 

요즘 줌통에 비해 상당히 작다는 걸 알수있고  허리부분이 더 굵다는 걸 알수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치수가 나왔는지는 몰라도 요즘 활로서는 이 치수를 만들어 내기가 쉽지가 않지요

왜냐면 개량궁 기준 활 자체의 둘레가 줌통을 안 만들었을 때 줌통부위 둘레가 이미 75mm 정도

이상이 나옵니다.

궁사 스스로가 한번 그 연유를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현대의 활쏘기는 하삼지로 흘려쥐기가 잘 지켜지지 않아 줌통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말은 막줌으로 쏘는 사람이 많다는 얘기이지요 .

막줌으로 쏘면

오지(五指)로 쥐니까 줌통이 길어질 수 밖에요. 전통이 점점 변하고 있다는 얘기겠지요.



현대의 활쏘기는 하삼지로 흘려쥐기가 잘 지켜지지 않아 줌통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말은 막줌으로 쏘는 사람이 많다는 얘기이지요 .

막줌으로 쏘면 오지(五指)로 쥐니까 줌통이 길어질 수 밖에요


암튼 최근에 테스트 해 본 결과 줌통의 크기는  어떤 크기일 때 힘을 쓰기가 편하고 모멘트에 의한

영향력이 적은가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모멘트는 시소와 같이 힘을 주는 방향이 받침점에서 멀어질수록 커지게 되고 이로써 줌에 의한

영향력(좌우가 나는)이 커진다고 생각됩니다 .

어떻게 보면 줌통이 커질수록 유격이 적어진다고 볼수 있을 것입니다








 

'활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궁제작 1  (0) 2016.06.02
활쏘기 문답  (0) 2016.05.19
비정비팔의 발디딤  (0) 2016.05.19
줌손과 깍지손의 힘의 배분  (0) 2016.05.19
활의 세기와 선택법  (0) 2016.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