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공부

한자부수 2획20번~힘 력

은오 2017. 3. 14. 10:52

(힘 력)

 

불끈이두박근이 돋보이게 ~~를 외치며 팔뚝을 구부린 모양을 본떴다는 엉터리 설명이 난무하는 글자다. 하지만 갑골문에서는 팔뚝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쟁기의 모양을 본떴다. 그래서 , []에서 쟁기질하며 힘쓰는[] 사람이 바로 남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조선시대 무사의 달리기[]와 힘[]을 테스트하는 시험이 있었다. 달리기[]는 여덟 되의 물을 채운 구리병에 작은 구멍을 뚫어 물이 새나가게 한 다음 몇 걸음을 걷느냐, []은 두 손에 각각 50근의 무게를 들고 몇 걸음을 걷느냐에 따라 각각 등급이 나뉘어 졌다.

(힘 력)마을 (힘 력, 힘줄 력)

 

. (힘 력) : 물건을 들어 올릴 때 팔뚝에 생기는 근육의 모양을 본떠 힘을 나타내니, 힘 력() - (활용) 强力(강력)/ 國力(국력)/ 金力(금력)/ 自力(자력)/ 人力車(인력거)/ 無氣力(무기력)/ 全心全力(전심전력)/ 不可抗力(불가항력)

 

 

. (힘쓸 노) : 女又力努(여우력노)[여자 녀, 또 우, 힘 력, 힘쓸 노] (힘쓸 노)/ 여자()가 오른손(;오른손 우)으로 힘들여 일을 하니 힘쓸 노()// 奴力努(종 노, 힘 력, 힘쓸 노) (힘쓸 노)/ 를 합하면 (종 노). 종처럼 힘을 들여 일을 하니, 힘쓸 노() - (활용) 努力(노력)

 

 

. (힘 력) 마을 주민 한자들

(힘 력)/ (더할 가)/ (공 공)/ (권할 권)/ (부지런할 근)/ (움직일 동)/ (일할 로)/ (힘쓸 면)/ (힘쓸 무)/ (형세 세)/ (이길 승)/ (날랠 용)/ (도울 조)/ (힘쓸 노)/ (힘쓸 려)/ (못할 렬)/ (모을/ 뽑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