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획 30번 입 구
처음에는 동그스름한 입의 모양을 본떴다가 뒤에 방정(方正)하게 그 모양이 변했다. 신체부위로 쓰이는 口는 글자의 國의 경우처럼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쓰이지 않으며 글자의 어느 한쪽을 담당하여 뜻을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口자의 부수에 속하는 재미있는 글자들이 있다. 여러 개의 입으로 ‘시끄럽게 부르짖다’는 뜻을 가진 吅(부르짖을 훤), 여러 사람이 입으로 물건을 ‘평가하다’는 뜻을 가진 品(물건 품), 여러 사람이 ‘수다를 떨다’는 뜻을 가진 㗊(여러 사람 입 집)이 있다.
입은 사람의 신체부위 가운데 주름이 가장 많은 곳으로, 음식을 먹을 때는 평상시 보다 몇 배가 커져야 하니 당연한 결과다. 입술은 ‘입시울’의 줄인 말로, ‘시울’은 ‘약간 굽어 있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이르는 말이다. 눈의 가장자리를 이르는 ‘눈시울’ 역시 동일한 어원을 가진 말이다.
가. 口(입 구) : 사람의 입 모양을 본뜬 글자로 입을 뜻하니 입 구. 입의 기능이 주로 말하는 데 있으므로 말할 구. 글자의 모양이 출입구를 닮았으므로 어귀 구. 입이 사람마다 한 개뿐이므로 인구 구. - (활용) 口述(구술)/ 口傳(구전)/ 入口(입구)
나. 哲(밝을 철) : 扌斤口哲(수근구철)[손 수, 도끼 근, 입 구, 밝을 철] → 哲(밝을 철)/ 손에 도끼를 들고 사물을 끊듯이 사리의 옳고 그릇됨을 밝혀 결단하여 말하니, 밝을 철(哲) - (활용) 哲學(철학)/ 哲人(철인)/ 賢哲(현철)
다. 口(입 구) 마을 주민 한자들
口(입 구)/ 可(옳을 가)/ 各(각각 각)/ 古(예 고)/ 告(고할 고)/ 句(글귀 구)/ 君(임금 군)/ 吉(길할 길)/ 單(홑 단/ 흉노임금 선)/ 同(한가지 동)/ 名(이름 명)/ 命(목숨 명)/ 鳴(울 명)/ 問(물을 문)/ 味(맛 미)/ 否(아닐 부)/ 史(사기/ 역사 사)/ 商(장사 상)/ 喪(잃을 상(죽을 상))/ 善(착할 선)/ 哀(슬플 애)/ 嚴(엄할 엄)/ 吾(나 오)/ 右(오를/ 오른쪽 우)/ 唯(오직 유)/ 吟(읊을 음)/ 哉(어조사 재)/ 只(다만 지)/ 唱(부를 창)/ 吹(불 취)/ 品(물건/ 품평할 품)/ 合(합칠 합)/ 向(향할 향)/ 呼(부를 호)/ 和(화할 화)/ 喜(기쁠 희)/ 啓(열 계)/ 哭(울 곡)/ 叫(부르짖을 규)/ 器(그릇 기)/ 唐(당나라/ 당황할 당)/ 吏(관리/ 벼슬아치 리)/ 司(맡을 사)/ 嘗(맛볼 상)/ 召(부를 소)/ 嗚(슬플 오)/ 員(인원 원)/ 周(두루 주)/ 哲(밝을 철)/ 吐(토할 토)/ 含(머금을 함)/ 咸(다 함)/ 喉(목구멍 후)/ 吸(마실 흡)/ 噫(한숨쉴 희)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부수 3획32번 - 흙/ 땅 토 (0) | 2017.03.22 |
---|---|
한자부수 3획31번 - 에워쌀 위(나라 국) (0) | 2017.03.22 |
한자부수 2획29번-또 우(오른 손 우) (0) | 2017.03.21 |
한자부수 2획28번-사사 사(사사로울 사) (0) | 2017.03.21 |
한자부수 2획27번-언덕 한(기슭 엄) (0) | 201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