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공부

한자부수 3획41번 마디 촌

은오 2017. 3. 24. 16:09

한자부수 341번 마디 촌

맥박이 뛴다는 것은 살아 있는 사람의 증거이다. 소전(小篆)에서는 사람의 손과 맥박이 뛰는 부위를 표시한[] 모양을 갖추고 있다. 는 맥박이 뛰는 부분을 가리키며, 손목과 손바닥의 가로경계선에서 맥박이 뛰는 곳까지는 그 길이가 한 마디 정도 된다는 의미에서 지금의 뜻이 결정되었다.

 

부수에서 손을 본뜬 글자로 (손 수), (또 우)가 있고 손에 갈래진 나무 막대기를 쥐고 있는 모양의 (가지 지) 등이 있다.

 

. (마디/법도/치 촌) : 一亅丶寸(일궐주촌)[한 일, 갈고리 궐, 점 주, 마디 촌] (마디 촌, 법도 촌, 한 치 촌)/ ‘은 손바닥, ‘는 팔 뚝[손 목], ‘는 맥 박. 곧 손바닥() 아래 손목()의 맥박()이 뛰는 곳을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어 손가락의 마디를 뜻하니, 마디 촌(). 맥박이 뛰는 위치가 손목으로부터 한 치쯤 되는 곳에 있으니, 치 촌(). 혈족간의 멀고 가까운 거리를 재는 단위로 사용하니, 촌수 촌(). 맥박이 규칙적으로 뛰는 것으로 규칙이나 법도를 뜻하니, 법도 촌(). - (활용) 寸數(촌수)/ 寸志(촌지)/ 四寸(사촌)/ 尺寸(척촌)

 

 

. (이끌 도) : 首辶寸導(수착촌도)[머리 수, 쉬엄쉬엄 갈 착, 법도 촌, 이끌 도)(이끌 도)/ 辶首(착수)를 합하면 길 도()/ 머리(()로 쉬엄쉬엄(=) 법도()에 맞는 생각을 이끌어내니, 이끌 도().// 道寸導(도촌도)[길 도, 법도 촌, 이끌 도] (이끌 도)/ 좋은 길()로 법도()에 따라 이끌어 주니, 이끌 도() - (활용) 引導(인도)/ 善導(선도)/ 敎導(교도)/ 指導者(지도자)

 

 

. (마디 촌) 마을 주민 한자들

(마디 촌)/ (대할 대)/ (절 사)/ (쏠 사)/ (장수 장)/ (높을 존)/ (인도할 도)/ (봉할 봉)/ (찾을 심)/ (오로지 전)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부수 3획 43번 - 절름발이 왕  (0) 2017.03.28
한자부수 3획 42번 - 작을 소  (0) 2017.03.28
한자부수 3획40번 집 면  (0) 2017.03.24
한자부수 3획39번 아들 자   (0) 2017.03.24
한자부수 3획38번 계집 녀   (0) 2017.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