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부수 4획61번 마음 심
사람의 심장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어떠한 글자와 합쳐지느냐에 따라 心의 모양이 忄, 㣺으로 변하기도 하는데, 이는 몇 가지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志(뜻 지), 思(생각 사)의 경우처럼 아래쪽에 합쳐질 때는 心으로,
恨(한할 한), 怯(겁낼 겁)의 경우처럼 왼쪽에 합쳐질 때는 忄으로 결합된다. 또한 그리 많은 경우는 아니지만 恭(공손할 공)의 경우처럼 양쪽으로 벌어진 글자의 아래에 붙을 경우 㣺으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원리는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로 본다면 특별한 법칙이나 원칙이 있어서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좀 더 보기 좋은 글자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고심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한자는 기본적으로 장방형(長方形)의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그래서 왼쪽에 붙을 경우 가능하면 오른쪽의 글자에 방해를 주지 않게 心의 마지막 획을 생략하여 忄으로, 아래쪽에 붙을 경우 위에 위치한 글자의 크기와 대등하게 心으로, 양쪽으로 갈라진 사이에 들어가는 글자는 비좁은 위치를 감안하여 아래로 길게 하면서도 마지막 획을 살린 㣺으로 표현한 것이다.
간혹 식물의 가운데 있는 단단한 고갱이를 ‘심(心)’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사람의 몸 속 가장 깊숙이 자리한 장기인 심장이 식물의 고갱이를 닮아서 그러한 것이다.
가. 心忄(마음 심, 심장 심) : 사람의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로 심장(염통)을 뜻하니, 심장 심(心)./ 심장에서 마음(心)이 우러난다고 여겨 마음을 뜻하니, 마음 심(心)./ 심장(心)이 우리 몸의 가운데 있다는데서 가운데를 뜻하니, 가운데 심(心). - (활용) 심장(心腸)/ 심실(心室)/ 심정(心情)/ 선심(善心)/ 중심(中心)
나. 忙(망)바쁠 : 忄亡(심망)[마음 심, 망할 망] → 忙(바쁠 망)/ 마음[忄心] 속에 새겨둔 일이지만 그것을 잊어버릴[亡] 정도로 바쁘니, 바쁠 망(忙) - (활용) 多忙(다망)/ 奔忙(분망)/ 忙中閑(망중한)/ 公私多忙(공사다망)
다. 恭(공)공손할 : ①廾一八(공일팔심)[두 손 받들 공, 하나 일, 나눌 팔, 마음 심] → ②共(공심)[함께 공, 마음 심] → 恭(공손할 공)/ ①두 손을 받들어[廾] 내가 가진 하나[一]마저도 나누어[八] 드리면서 마음[心]을 오로지 하여 공손하게 대하니, 공손할 공(恭)/ ②함께[共] 신을 받드는 마음[]이 공손하니, 공손할 공(恭) - 恭敬(공경)/ 恭待(공대)/ 恭遜(공손)/ 過恭非禮(과공비례)
라. 怒(노)성낼 : ①女又心怒(여우심노)[계집 녀, 손 우, 마음 심, 성낼 노]→ 怒(성낼 노)/ 여자(女)가 손(手)으로 열심히 일하다가 지친 마음(心)에 화가 치미니, 성낼 노(怒)/ → ②奴心怒(노심노)[종 노, 마음 심, 성낼 노] → 怒(성낼 노)/ 혹사를 당하는 종[奴]의 마음[心]에 화가 치미니, 성낼 노(怒) - (활용) 憤怒(분노)/ 震怒(진노)/ 激怒(격노)/ 怒濤(노도)/ 怒發大發(노발대발)/ 天人共怒(천인공노)
마. 心(마음 심) 마을 주민 한자들
心(마음 심)/ 感(느낄 감)/ 慶(경사 경)/ 急(급할 급)/ 念(생각 념)/ 怒(성낼 노)/ 忘(잊을 망)/ 忙(바쁠 망)/ 悲(슬플 비)/ 思(생각 사)/ 想(생각 상)/ 惜(아낄 석)/ 性(성품 성)/ 愁(근심 수)/ 惡(악할 악/ 미워할 오)/ 愛(사랑 애)/ 憶(생각할 억)/ 悅(기쁠 열)/ 悟(깨달을 오)/ 憂(근심 우)/ 怨(원망할 원)/ 恩(은혜 은)/ 應(응할 응)/ 意(뜻 의)/ 忍(참을 인)/ 慈(사랑 자)/ 情(뜻 정)/ 志(뜻 지)/ 忠(충성 충)/ 快(쾌할 쾌)/ 必(반드시 필)/ 恨(한 한)/ 恒(항상 항)/ 惠(은혜 혜)/ 患(근심 환)/ 懇(간절할 간)/ 慨(슬퍼할 개)/ 憩(쉴 게)/ 恐(두려울 공)/ 恭(공손할 공)/ 慣(익숙할 관)/ 愧(부끄러울 괴)/ 怪(괴이할 괴)/ 懼(두려워할 구)/ 忌(꺼릴 기)/ 惱(번뇌할 뇌)/ 慮(생각할 려)/ 戀(그리워할( 그릴 련)/ 憐(불쌍히여길 련)/ 慄(두려워할 률)/ 慢(거만할 만)/ 慕(그릴 모)/ 憫(민망할 민)/ 憤(분할 분)/ 恕(용서할 서)/ 息(쉴 식)/ 愼( 삼갈 신)/ 慾(욕심 욕)/ 愚(어리석을 우)/ 慰(위로할 위)/ 惟(생각할 유)/ 愈(나을 유)/ 悠(멀 유)/ 恣(방자할/마음대로 할 자)/ 憎(미울 증)/ 懲(징계할 징)/ 慙(부끄러울 참)/ 慘(참혹할 참)/ 悽(슬퍼할 처)/ 恥(부끄러울 치)/ 態(모습 태)/ 怠(게으를 태)/ 憲(법 헌)/ 懸(달 현)/ 慧(슬기로울 혜)/ 惑(미혹할 혹)/ 忽(갑자기 홀)/ 懷(품을 회)/ 悔(뉘우칠 회)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부수 4획63번 - 지게 호 (0) | 2017.03.31 |
---|---|
한자부수 4획62번 - 창 과 (0) | 2017.03.31 |
한자부수 3획60번 - 조금걸을 척 (0) | 2017.03.31 |
한자부수 3획59번 - 터럭(머리털) 삼, 삐친 석 삼 (0) | 2017.03.31 |
한자부수 3획58번 - 돼지머리 계 (0) | 2017.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