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공부

한자부수 4획62번 - 창 과

은오 2017. 3. 31. 14:00

한자부수 462번 창 과

이란 뜻을 가진 가장 대표적인 한자로 矛(창 모)가 있다. 둘 다 창의 뜻을 가지기는 했지만 그 모양새와 쓰임이 조금 다르다. 는 오늘날 낫처럼 생긴 자루가 긴 T자형의 무기로 주로 갈고리로 적을 걸어서 살상하는 것으로 전차를 탄 채 사용하는 무기이다. 그러나 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끝이 뾰족하고 곧은 자루가 긴 1자형 무기로 주로 찌르는데 사용하는 무기이다.

그래서 (칠 벌)에도 이 글자가 들어가 []으로 사람[]을 찍어서 물리치다는 의미를 가졌다. 또한 (싸울 전), (이룰 성) 등은 모두 의 부수에 속하며 전쟁과 관련된 글자이다.

 

. (): 弋丿戈(익별과)[주살 익, 삐칠 별, 창 과] (창 과)/ 주살[]과 같이 뾰족한 끝에 丿자처럼 날카로운 칼날이 달린 것으로 창을 뜻하니, 창 과() - (활용) 戈甲(과갑)/ 戈劍(과검)/ 戈矛(과모)/ 戈鋒(과봉)

 

 

. (): ()戈我(수과아)[손 수, 창 과, 나 아](나 아)/ (手扌)에 창()을 들고 자신을 지키는 것을 나타내어 나를 뜻하니, 나 아()/ ()를 포함한 우리를 뜻하니, 우리 아() - (활용) 我執(아집)/ 小我(소아)/ 我國(아국)/ 我軍(아군)

 

 

. (창 과) 마을 주민 한자들

( 창 과)/ (5천간/ 무성할 무))/ (이룰 성)/ (/11지지 술)/ (나 아)/ (싸움 전)/ (혹 혹)/ (경계할 계)/ (친척 척)/ (놀이 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