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부수 3획60번 조금걸을 척
사거리의 모양을 본뜬 行(갈 행)은 彳(조금걸을 척)과 亍(자축거릴 촉,땅이름 마)이 합쳐진 글자이다. 두 글자 모두 사람이 왕래하는 네거리[行]의 한쪽 부분이 없어져버려 조심조심 걸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표현하였다. 장마철 산길이 큰물에 쓸려내려 가고 흔적만 남아있다면 아마도 이러한 모습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彳을 부수로 거느리고 있는 글자들은 대부분 천천히 걷는 상황과는 관계없이 대부분 ‘진행’의 의미를 가졌는데, 徃(갈 왕), 徏(오를 척), 徫(걸어갈 위), 復(돌아올 복) 등이 그 예이다.
가. 彳(조금 걸을 척) : 丿亻彳(별인척)[삐칠 별, 사람 인, 자축거릴 척]→彳(조금 걸을 척)/ ‘彳’은 사람[亻]이 또 다른 한 사람[丿]을 업고 걷는 모양이니, 자축거릴 척(彳)/ 조금 걸을 척(彳) - (활용) 彳亍(척촉)
나. 待 : 彳土寸(척토촌)[작은 걸음 척, 땅 토, 마디 촌] → 彳寺(척시)[작은 걸음 척, 관청 시]/ 관청[寺]에 가서 작은 걸음[彳]으로 서성이며 일을 기다리니, 기다릴 대(待)/ 손님이 일어날 때까지 기다리며 대접하니, 대접할 대(待) - (활용) 待機(대기)/ 待令(대령)/ 待接(대접)/ 接待(접대)/ 厚待(후대)/ 薄待(박대)
다. 彳(조금 걸을 척) 마을 주민 한자들
彳(자축거릴 척)/ 待(기다릴 대)/ 德(큰 덕)/ 徒(무리 도)/ 得(얻을 득)/ 律(법칙 률)/ 復(회복할 복/ 다시 부)/ 往(갈 왕)/ 從(좇을 종)/ 彼(저 피)/ 後(뒤 후)/ 徑(지름길( 낄 경)/ 微(작을 미)/ 徐(천천할 서)/ 循(돌( 좇을 순)/ 御(거느릴 어)/ 役(부릴 역)/ 征(칠 정)/ 徵(부를 징)/ 徹(통할 철)/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부수 4획62번 - 창 과 (0) | 2017.03.31 |
---|---|
한자부수 4획61번 - 마음 심 (0) | 2017.03.31 |
한자부수 3획59번 - 터럭(머리털) 삼, 삐친 석 삼 (0) | 2017.03.31 |
한자부수 3획58번 - 돼지머리 계 (0) | 2017.03.31 |
한자부수 3획57번 - 활 궁 (0) | 2017.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