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전관리 vs 생산관리 vs 계획관리
관리지역이란?
: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준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도시와
관련된 땅은 도시지역,
농사와 관련된 땅은 농림지역,
자연환경보호와 관련된 땅은 자연환경보전지역,
그리고 앞의 세 가지 지역으로
나누기 애매한 땅은 관리지역으로 구분합니다.
관리지역은 다시 생산, 보전, 계획 관리 지역으로
세분화되는데요,
관리지역의 경우
자연환경 보전 지역이나 농림지역과 같이
개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지역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개발의 가능성이 있는 투자가치가 있는
지역입니다.
단, 보전관리지역과 생산관리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투자가치가 떨어지는 지역이므로 신중히 접근하셔야 합니다.
1. 보전관리지역
: 자연환경보호, 수질오염 방지, 녹지공간 확보 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의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을
말합니다.
보전관리지역은 말
그대로 개발보다는 규제를 통한 보전에
무게가 실려 있는
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근린 생활 시설 종교시설,
의료시설, 요양원 등의 용도로 주로 이용됩니다.
보전관리지역은
대부분이 임야로 되어 있어 산지관리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임야로 된 토지의 특성상 땅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공시지가가 낮아
개발 이후 개발 부담금의 부담이 많습니다.
2. 생산관리지역
: 농업, 임업, 어업 생산
등을 위해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농림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을 말합니다.
생산관리 지역에서는
단독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창고시설(농업,임업,축산업,수산업용에 한함),
교육 시설, 분뇨 및 쓰레기처리 시설 등의 용도로 주로 이용됩니다.
계획 관리지역 보다 건축물을 건축하는데 제한이
많지만 그나마 보전관리지역에 비해
건축물 건축이 좀 더 허용된 지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계획관리지역
: 도시지역으로의 편입이 예상되는 지역이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제한적인 이용, 개발을
하려는 지역으로서 계획적,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말합니다.
여기서 가장 주목해야 할 지역이 바로 계획 관리지역인데요,
같은 관리지역이지만 보전관리지역과 생산관리지역은 토지 이용에 대한 제한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계획 관리지역의 경우에는 개발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령
도시지역의 확장 지정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계획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곳이거나
계획관리지역 지정·관리 후 도시지역으로 편입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관리지역은 경우에 따라서 도시처럼 개발이 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다면 자연환경 보전 지역처럼 후세대의 자연과 환경을
위해
영원히 개발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계획 관리지역의 경우 보전관리, 생산관리 지역에 비해
가장 인기가 많고 땅값이
높습니다.
투자가치 : 계획관리지역 > 생산관리지역 >
보전관리지역
개발 규제가 풀리면 계획 관리지역에 있는
산지(임야)를 개발하기가 쉽기 때문에
땅의 가치가 2배 이상 상승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산지(임야)를 살 때는 용도 지역이 무엇인지
용도가 관리지역이라면, 계획
관리지역인지 보전 관리지역 인지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이용계획확인서 (0) | 2018.09.05 |
---|---|
건폐율과 용적률 (0) | 2018.09.05 |
용도지역-도시지역-녹지지역 (0) | 2018.09.05 |
토지 지목의 종류 (0) | 2018.09.05 |
용도지역-도시지역-공업지역 (0) | 2018.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