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건물을 지을때 많이 나오는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 토지에는 몇 평정도의 건물을 지을수
있는지,
몇 층 건물을 지을수 있는지 많이들
궁금하시죠?
토지의 가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만큼
중요한 부분으로 꼭 알아두시면 좋겠죠
건폐율이란?
: 토지 대비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면적 비율을
말합니다.
건축 면적이란 보통 1층 바닥 면적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100㎡ 대지에 60㎡ 건물을 지었을때
건폐율은 60%가 됩니다.
건폐율이 높을 수록 건물을 넓게 지을수 있다는
뜻이겠죠?
다음은 용적률에 대해 알아 볼게요~
용적률이란?
: 토지 대비 지상으로 건물을 올릴수 있는 비율을 말합니다.
여기서 연면적이란 각 층의 바닥 면적을 합친것을
말하는데요,
지하를 포함하여 각각의 층의 바닥 면적을 더하시면 연면적이
됩니다.
이 때 주의 할 점은 용적률 산정시
연면적은
지하층의 바닥 면적과 지상층의 주차 용도의 바닥
면적은
제외 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600㎡ 대지에 300㎡ 건출물을 지하
1층 부터 3층 까지 지었을 경우
연면적은 1200㎡ 이지만, 용적률 산정시 연면적은 900㎡가
됩니다.
그러므로 용적률은 150%가 됩니다.
용적률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건물을 높게 지었다
즉.
건물의 층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적률이 크면 그만큼 건물을 여러 층으로 높게 지을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건폐율이 높으면 건물을
넓게 지을수 있고,
용적률이 높으면 건물의 층수를
비율 만큼 높게 올릴수 있습니다.
그만큼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은
지역의 토지 가격은 상대적으로 비싼편이며,
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어 건축주나 토지 소유주면에서는 유리 할 수
있습니다.
단, 건폐율과 용적률이
너무 높을 경우 건물 사이의 공간이 너무
좁아
일조, 채광, 통풍 등에 불리하여 거주하는 면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건폐율이 건물을 세울 수 있는 면적을 제한한 것이라면
용적률은 소유 토지 대비 지을 수 있는 건물의 연면적을 제한하는 규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용도지역에 따른 건폐율과 용적률 최대 한도
기준>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지적도상 도로와 현황도로) (0) | 2018.09.05 |
---|---|
토지이용계획확인서 (0) | 2018.09.05 |
용도지역-관리지역(보전관리 생산관리 계획관리) (0) | 2018.09.05 |
용도지역-도시지역-녹지지역 (0) | 2018.09.05 |
토지 지목의 종류 (0) | 201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