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보배추 한겨울에도 푸른 잎을 지니고 있는 산. 들 야초 중에서 유독 섬진강 하천변에 흔히 보이는 곰보 배추는 몇 안 되는 겨울철 산야초입니다. 해수, 천식, 기침에 최고의 선약이라고는 하지만 쓰는 용도와 사람에 따라 다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성이 없고 겨울철에 눈에 .. 약초방 2012.01.03
아프면 이곳을 눌러라 아프면 이곳을 눌러라ㅡ인체의 신비 ♧ 숫자로 본 人體의 神秘 ♧ 1.피가 몸을 완전히 한바퀴 도는 데에는 46초가 걸린다. 2.눈을 한번 깜빡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1/40 초이다. 3.혀에 침이 묻어 있지 안으면 절대로 맛을 알수없고 코에 물기가 없으면 냄새를 맡을 수 없다. 4.갓난.. 약초방 2011.12.21
독초, 약초 감별 상식 독초, 약초 감별 상식 생약재를 채집할 때 대개 독초는 걸죽한 액즙이 나오는데, 그 액즙을 연한 피부(겨드랑이, 목, 허벅지, 사타구니, 팔꿈치 안쪽 등)에 발라 보면 독초일 경우 살갗에 반응이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 - 심하게 가렵거나 따갑고 통증이 있으며, 피부 밖으로 포진, .. 약초방 2011.12.21
산마늘 산마늘의 개요 1. 산마늘은 어떤 나물인가? ○ 첫째 : 춘궁기 목숨을 이어준 나물(명이) ⇒ 이른 봄 가장 빨리 돋아남 ○ 둘째 : 자양 강장효과가 높은 나물(행자 마늘) ⇒ Allisin 성분, 기력 증진 ○ 셋째 : 마늘 특유의 향긋함 풍미 ⇒ 고급 산나물로 각광 2. 산마늘 분류 ○ 식물학적 분류 - 백합과 마늘속 .. 약초방 2011.08.03
으름 으름은 머루, 다래와 함께 산에서 얻는 세 가지 중요한 과일이다. 가을 산의 바나나라고 한다. 길쭉한 열매가 2~4개씩 붙어서 아래로 매달리기 때문이다. 산지의 다른 나무를 타고 오르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이 땅을 대표하는 자생수종이다. 산의 계곡 큰 바윗돌이 많은 곳에서 다래덩굴, 노박덩굴, 할.. 약초방 2010.03.23
복령 복령(茯苓)은 오래된 한약이다. 신농본초경에는 복토(伏兎)라고 기록되어 있고 사기(史記)에는 복령(茯靈), 광아(廣雅)에는 복령(茯蕶)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외에토사(兎絲), 불사곡(不死曲), 금옹(金翁), 갱생(更生), 봉신복태(綘晨伏胎) 등 여러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다. 노약농(.. 약초방 2009.12.06
구기자 구기자는 가시가 헛개나무(구: 枸)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기: 杞)와 비슷하여 두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노나라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로 높은 관리가 민정을 살피던 중 나이 어린 소녀가 회초리를 들고서 이빨이 다 빠지고 흰 수염이 난 노인을 쫓아다니는 이상한 광경.. 약초방 2009.12.03
인삼씨 개갑 < 개갑 > 채종직후의 인삼종자는 배(胚)가 미숙상태이기 때문에 바로 파종하면 배의 후숙이 서서히 진행되어 약21개월이 지나야 발아하게 됩니다. 따라서 파종 후 발아까지의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배의 생장을 촉진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배의 생장을 촉진시켜 .. 약초방 2009.11.12
하수오와 이엽우피소 구분 1. 이엽우피소 잎 *이엽우피와 하수오 잎새는 다르다. *뿌리도 색상이 다르고 잔뿌리가 많다. *줄기와 잎새도 굵고 투박하다. *잎새는 거칠다. *하얀 진액이 약하게 있다. 2. 이엽우피소 뿌리 잎새는 하얀진액이 약하고 뿌리에는 진액이 더덕처럼 나온답니다. 여름,겨울에도 진액은 나오며 오래된 뿌리에.. 약초방 2009.11.10
산초나무와 제피나무 초피나무(학명 - zanthoxylum piperitum) 초피는 제피(경상도), 젠피(전라도), 조피(이북), 지피, 남추, 진초등으로 불린다. 초피나무는 해발 1000m 아래 남쪽지방에 주로 많이 분포하고 중부내륙지방에서는 볼 수 없으나 해안을 따라서는 중부지방까지 올라온다. 향신료로 쓰이는 것이 초피나무이고 초피는 봄.. 약초방 2009.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