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팔전(射法八節) 사법팔전(射法八節) 활을 쏠때의 자세와 동작을 8단계로 구분해서 가르치는 사법(射法)을 사법팔절이라고 한다. 그 8단계는 발디딤, 몸가짐, 살먹이기, 들어올리기, 밀며당기기, 만작, 발사, 잔신(殘身) 이다. 이 8단계는 토막토막 끊어져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사유수(射流水)라는 말처럼 .. 활쏘기 2015.10.29
궁도 9계훈 활쏘기에 있어서 안으로 뜻이 바르고 밖으로 몸이 곧아야 활과 화살을 잡는 것이 살피고 견고하고서야 뒤에 적중할 수 있다. 마음을 바루고 자신을 단정하게 해야 공경하는 마음이 생겨나고, 공경하면 용모가 엄숙하며 마음이 평화로우면 기가 펴지고 마음이 전일하면 보는 것이 살펴진.. 활쏘기 2015.10.29
국궁자료 알아보기 1. 국궁의 역사는 얼마나 되었다고 생각하나요.(답:3.4번공통) 1) 1.000년2) 2.000년3) 3.0004) 4.000년(단군시대) 2. 국궁에 대한 관심과 가장 활을 많이 쏴본 대통령은 (답:3번) 1)노무현 2)전두환3)박정희 4)김대중5)김영삼 6)노태우7)이승만 3. 전통 국궁의 기본 사거리는 얼마 인가요(답:3번) 1)140미터2.. 활쏘기 2015.10.29
국궁 김연수 궁체 김연수 접장님 궁체입니다 김연수 접장님은 오래전부터 전국대회 입상의 반열에 올라 현재까지도 그 시수를 유지하는 유일한 분이다 그분의 궁체를 여기 올리는 것은 자세나 기교를 논하기보다 자기관리에 누구보다 철저하다는 판단을 하기 때문이다 모든 운동이 그렇지만 궁도만큼 자.. 활쏘기 2015.10.22
동방의 활 잘쏘는 민족 우리의 옛 전통 놀이 중에 단연 우리민족을 대표하는 놀이로 활쏘기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전통의 활쏘기는 이제 민속전통의 역사속으로 점차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우리 전통 활쏘기가 우리 역사 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뒤돌아 보고 왜 지켜나가야 하는지 생각해 볼 때다. 활쏘기는.. 활쏘기 2015.10.22
국궁(國弓), 활쏘기의 건강 "군자무소쟁(君子無所爭) 필야사호(必也射乎)", "군자(君子)는 경쟁하는 바가 없으나 활쏘기에서는 경쟁한다"는 뜻으로, 《논어(論語)》 팔 일(八佾)편 7章에 나오는 대목이다. 군자는 소인(小人:보통사람)과 다르게 경쟁하고 다투지 않아야 하는데도 활쏘기에서만은 경쟁한다고 하였는데 .. 활쏘기 2015.10.22
깍지손 보호대 남자표준 158% 포토샵에서 인쇄후 본을 떠서 사용(여자는 140%) 그러나 정확하게 하려면 아래그림처럼 치수를 잰 후 조정해서 하면된다 그 치수에 맞게 %를 조정해서 인쇄하면된다 포토샵이 아닌경우 그림을 복사해서 저장하고 인쇄를 하면 된다 포토샵에서 하라는 이유는 그림의 크기를 .. 활쏘기 2015.10.19
과녁의 변천사(퍼옴: 2005년 국문연 세미나 자료) 1. 들어가며 : 왜 이런 주제를 잡았는가? 정간 사건 (2003년)의 의미 1) 국궁의 전통을 뒤집어 본 최초의 사건 2) 전통의 맹목적인 수용 거부, 비판적 계승 천명 3) 역사적 접근, 현재적 의미 검토, 행동화 4) 국궁의 ‘전통’ 구성 요소에 대한 의식적인 뒤집어 보기 촉구 국궁 과녁 문제 1) 오늘.. 활쏘기 2015.05.27
솔포 과녁 2년정도마다 지역을 이동하며 다니다 보니 이동과녁에 관심이 간다 인근의 활터를 가도 되겠지만 그것도 한두번이지 쉬운 일이 아니다 신사때는 아무것도 모르고 다녔는데 지금은 눈치도 보이고 편안한 쏘임을 하기가 어려워 나만의 과녁을 만들어 두고 필요시 사용하고있다. 레이져 거.. 활쏘기 201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