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쏘기

줌통을 어떻게 만들것인가

은오 2014. 6. 24. 17:17

아래글은 한산님의 글입니다

줌통을 이해하는 글로 적당하다고 생각하여 여기 올립니다

 

**********************************************************************************************************************

 

활을 배우면서 깍지도 고생을 많이 시키지만, 손에 맞는 만만한 줌통을 만들기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어떤 줌통이 내 손에 잘 맞고 우리활을 제대로 쏘는데 유리한 줌통일까요?

다음 그림을 보고 숫자를 맞추어 가보시길 바랍니다.

가령 1번 문제에 정답은   번 이런 식으로 맞추어 나가면 4번 문제에서 원하는 줌통 모양이 나올 것입니다.

 

 

그림 설명.

1번 문제에서는 중통 모양새에 관한 그림입니다.

왼   쪽 번은 가운데가 부른 단지형을 표현 했습니다.

가운데 번은 원통형 줌통을 표현 했습니다.

오른쪽 번은 가운데가 잘록한 서양망치자루형을 표현 했습니다.

 

2번 문제에서는 일단 원통형 줌통을 기준으로 활채 배치에 관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왼   쪽 번은 줌통 가운데로 활채가 정확히 지나가서 상.하장이 균등한 상태를 표현 했습니다.

가운데 번은 윗장이 두껍고 아랫장이 얇게 만들어진 줌통을 표현 했습니다,

오른쪽 번은 윗장이 얇고 아랫장이 투꺼운 상태를 표현 했습니다.

 

 

 

 

그림 설명.

3번 문제에서는 활채가 줌통 어디에 위치하는게 좋은가에 대한 고찰입니다.

왼   쪽 번은 활채를 줌통의 좌측으로 가도록 만들어 지는 것을 표현 했습니다.

가운데 번은 활채를 줌통의 한 가운데로 배치되도록 만들어 지는 것을 표현 했습니다.

오른쪽 번은 활채를 줌통의 우측으로 가도록 만들어 지는 것을 표현 했습니다. 

 

 

4번 문제 에서는 줌통의 단면이 어떠한 모양을 가지면 우리활을 제대로 쏠 수 있는가에 관한 고찰입니다.

왼   쪽 번은 줌통의 단면이 우궁일 경우 왼쪽으로 치우친 타원으로 만들어야 효과적으로 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가운데 번은 줌통의 단면이 우궁일 경우 좌우대칭의 타원으로 만들어야 효과적으로 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번은 줌통의 단면이 우궁일 경우 오른쪽으로 치우친 타원으로 만들어야 효과적으로 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 여러분의 정답은 몇 번 입니까?

 

각자 자기가 생각하는 정답을 맞추어 보시기 바랍니다.

 

순서   1> >    2> >    1 >>   1

'활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깍지  (0) 2014.06.30
심고매듭(한산님의 전통심고매듭 글)  (0) 2014.06.25
흘려잡기 줌통 고찰  (0) 2014.06.24
총알같이 날아가는 화살  (0) 2014.06.17
화살이 왜 명중하지 않는가?  (0) 201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