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쏘기

국궁용어

은오 2016. 6. 9. 12:20

        -ㄱ-
가슴통 ................ 가슴
가입(加入) ........... 발시 동작에서 화살을 급히 끌어드려 기준보다 많이 당기는 것.
가치관(價値觀).... 가치에 대한 관점. 인간이 자기를 포함한 세계나 그 속의 사상(事象:관찰할 수 있는 사물과 현상.)에 대하여 가지는 평가의 근본적 태도.
각궁(角弓) ........... 물소 뿔과 뽕나무를 주재료로 삼아 만든 활.
가결(歌訣) .......... 활쏘기에 대한 중요 내용을 잊지않고 외우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
각립요방(脚立要方) ..... 양 발의 방향을 바로 세워 인체의 바른 축을 형성함.
각명(刻名) ........... 깃 사이에 성명을 쓴 것.
각지(角指․骨丸․扳指,決,韘).......시위를 당길 때 엄지손가락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용구로 깍지라고도 하며, 재료는 골각류, 목각류 외에 은과 같은 금속류도 있다.
각지 손 구미 ..........각지 낀 손의 팔꿈치
각지 손회목 ..........각지 낀 손의 손목.
간심(間心) ............활쏘기 자세에서 몸체의 좌우 중심을 바르게 하는 마음을 말한다.
간장(肝臟) ........... 배와 가슴사이 근육인 가로막 바로 밑의 오른쪽에 있는 기관으로, 탄수화물을 저장하고, 단백질이나 당의 대사를 조절하며, 해독 작용을 한다.
간지(干支) .........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 또는 간(干)과 지(支)를 조합한 것을 이르는 말로, 육십갑자(六十甲子)와 같은 뜻이다.
감수(勘手) ...........활을 벌렸을 때 앞 팔은 너무 높고, 뒷 팔은 너무 낮아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것
갑장(甲匠) ......... 조선시대 갑옷을 만들던 공인(工人).
갑주(甲胄) ............갑옷과 투구
강궁(强弓) ............보통 궁 보다 강한 활을 뜻하며, 육량궁이나 철태궁을 뜻함.
강무(講武) ...... 왕이 매년 단오와 추석에 수렵과 무예로 군사훈련을 하던 행사.
개궁법(開弓法)...... 활을 벌릴 때, 앞 어깨를 낮추고 앞 팔을 펴서 지면을 향해 뻗은 채로 뒤 팔꿈치를 들어올려 시위를 당겨 올리는 사법.
개념(槪念) ........... 어떤 사물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개자리 ..................과녁 앞에 웅덩이를 파고 들어앉아 적중여부를 확인하는 장소.
계장(稧長) ............사계(射契)의 우두머리. 옛날의 도유사(都有司)와 같은 말.
거기한량(擧旗閑良)...화살이 적중 내용을 살받이에서 기를 들어 알리는 사람.
검지 ................. 둘째손가락, 집게손가락, 인지(人指)와 같은 내용이다.
게발깍지 ..............반깍지의 속된 말.
견마(牽馬) ............남이 탄 말의 고삐를 잡고 말을 모는 일.
견와(肩窩)........... 어깨 위에 우묵한 곳.
결(決) ..................활을 쏠 때 시위를 잡아당기는 활깍지. 지기와 같은 내용 임.
결피 ................... 줌위를 싼 벚나무 껍질을 말한다.
경(卿) ................. 으뜸 되는 벼슬에 붙이는 존칭.
경(輕) ........ 뒷 주먹과 앞 주먹이 서로 호응하여 화살을 내보내는 것.
경(經)......... 다스림, 길, 법<불경, 성경, 무경(巫經, 武經)>
경력(勁)......... 힘쓸 때 어깻죽지에 생기는 '힘살'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내기(內氣)로 발하는 힘.
경락(經絡) ..........온 몸 구석구석을 흐르는 에너지의 순환통로 경혈(經穴)과 경혈, 몸과 팔다리를 세로 방향으로 달리는 선으로, 좌우에 12쌍이 있다고 함.
경력(勁力)......... 어깻죽지의 힘.
경마(競馬) ...........사람이 탄 말이 일정 거리를 달려 그 순위를 겨루는 일.
경마장(競馬場) .....일정한 시설을 갖추고 경마를 하는 경기장.
경맥(硬脈) ........... 고혈압 등으로 긴장도가 높아진 맥박,
경혈(經穴)........... 경락선 상에서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을 수혈(受穴)이라 하는데, 이 수혈 가운데에서 12정경과 임동맥에 배치되는 365혈을 말함.
곁동.................... 겨드랑이를 비롯한 그 근처.
경전(經典)........... 종교의 교리와 같은 의미로, 변하지 않는 법식(法式)과 도리를 적은 책이나, 성현이 지은, 또는 성현의 말이나 행실을 적은 책.
계사전(繫辭傳)..... 주역(周易)의 괘(卦)를 설명(說明)하여 상세(詳細)하게 풀어 놓은 주석(註釋).
고(固)................ 정신집중과 굳힘이 일체를 이루는 것.
고건(櫜鞬) ...........활과 화살을 넣는 동개․시복.
고공기(考工記)..... 활 및 화살제작법에 관한 전문연구서로서 중국 청나라 이전까지의 많은 중요한
제작방법을 기록해 놓은 서적.
고도리살 .............작은 새를 잡는데 쓰는 살. 촉 대신 철사나 대나무로 테를 만들어 끼움.
고등마술(高等馬術)..장애물 넘기, 멀리 타기, 물에서 헤엄치기 등의 말타기 기법.
고려궁(高麗弓)......국궁(개량궁), 대중화를 위하여 현대화한 활.
고배(高排)살 ...... 제사나 잔치상에 수북히 쌓아 놓은 음식물 높이처럼 날아가는 살고.
고시(楛矢) ......... 광대싸리 화살.
고영(高穎)....1638년 2월 15일 무경사학입문정종(武經射學入門定宗:상·중·하 3권)과 무경사학정종지미집(武經射學定宗指迷集:1∼5권)을 사서를 발간하여 동아시아 궁술의 일대 전기를 마련한 사람.
고자(彇:소) ...... 활짱 머리에 있는 시위를 매는 곳. 활을 정재(整齊)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고자깍기. ........... 고자 양 옆을 칼로 흠을 판 다음 양냥고자를 다듬는 작업.
고자잎 ............... 도고자 부터 낭낭고자 끝까지의 부분.
고자채기............. 활을 쏠 때, 위 고자가 과녁 쪽으로 기우는 것.
고전(告傳) ......... 과녁 주변에서 화살의 적중여부와 위치를 깃발로 알리는 것.
고전기(古傳旗)......화살의 적중여부를 알려주는 깃발.
고침(藁砧)
고침(藁砧)............짚 과녁으로 화살이 꼽히도록 만든 과녁을 말하며, 다른 말로 권고(眷藁), 초천
(草荐), 동결(胴結), 동체(胴締), 침질(砧質)이라는 말 모두가 같은 뜻이다.
권(捲).......... 화살을 내보낼 때 손목이 경직되어 뒷손을 수평이 되도록 제대로 펴지 못한것
교사(敎師) ...... 군사무예를 전수하는 사람에 대한 존칭.
고전꾼 .................화살의 적중여부를 알려주면서 화살을 주워주는 사람.
고정(固定) ...... 활을 벌리면서 화살이나 시위가 일정한 위치에 꼭 붙어 있도록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사법.
곡마술(曲馬術)......말을 타고 부리는 여러 가지 기술.
곡지(曲池).............팔을 90도로 구부릴 때에 팔꿈치에 생기는 금의 오목한 곳.
골격 ....................각궁 목소 부위에 심을 모아 힘줄이 솟은 것처럼 나온 것.
골무 ...................활쏘기에서는 활 골무라 하며, 시위를 당겨 놓을 때, 손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엄지 손가락 북전 부위에 씌워 끼우며, 헝겊이나 가죽 따위로 만든다.
골편사..................각 지역 사정에서 그곳을 대표하는 궁사끼리 활쏘기 대회를 하는 것.
공제(控制).............마술에서 고삐를 잡아당기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 일.
공현(空弦)........... 화살이 시위에서 벗어나 땅에 떨어진 줄 모르고 활을 쏘는 것.
교육(敎育)....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행위를 교수·학습하는 일과 그 과정.
교육과정론.... 교육활동의 내용이 되는 교육목적, 과목 등을 설계, 기획 연구.
교육양상....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중요한 활동.
교육목적.... 교육을 통해 다음 세대에게 지식과 문화를 전수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것.
교육사회학.... 교육이 갖는 사회적 기능 연구. 교육에 의한 사회화 및 계급 계층의 재생산 연구.
교육심리학....교육활동에 관계된 심리학, 학습 이론, 인지발달 등의 연구.
교장 ................ 사두를 보좌하는 지위의 사람으로 부사두 수준의 사람(행수와 동격).
과녁 ................ 겨냥하여 쏘는 목표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Target)
관(寬) ............... 과녁에서 온 말이며, 커다란 표적을 뜻함.
관소과녁........... 무과(武科)를 볼 때, 150보를 한정하여 쏘던 과녁.
관영(貫盈).......... 화살촉의 끝이 줌통의 중간까지 들어오도록 화살을 당겼을 때.
관이(貫耳).......... 화살을 죽 꽂아 장대 끝에 단 것.
관조(官租) .........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거나 비추어 봄, 고요한 마음으로 관찰하거나 비추어 보다
관중 ................. 화살이 쏘아 과녁을 맞춘 것.
관혁(貫革)......... 과녁의 원말로, 가죽을 재질로 만든 목표물을 의미한다.
권(拳) ................주먹, 오그려 쥔 손.
권무 ................. 행수 밑에서 활터의 일을 실제로 관리하고 정리하는 사람.
굽통 ................. 화살의 끝으로 상사의 윗부분.
구(軀) ................몸, 신체.
구당서(舊唐書).....중국 후진(後晉) 때, 유구(劉呴)가 편찬하여 945년에 장소원(張昭遠)이 완성한 중국 당
나라 정사. 중국 ‘이십오사’의 하나로, 《신당서》와 더불어 당나라 일대(一代)의 사실(史實)이 수록된 역사,
및 내용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200권
구사(舊射)...........사정에서 활을 오래 쏜 사람.
구심(求心) ........ 중심(中心)으로 쏠리는 힘
구율(彀率)...........활시위를 최대로 일정하게 벌리는 정도(程度)의 범위(範圍).
국궁(國弓)...........그 나라 고유의 역사적 정서와 관련되어 대중이 사용하였거나 사용하고 있는 모든 활을 통틀어 이르는 말. 조상으로부터 계승되어 역사적, 문화적, 사상적 공통적 문화이념을 갖춘 활.
규구(規矩)..........지름이나 선의 거리(距離)를 재는 도구(道具). 그림쇠
규범(規範) ........ 인간이 행동하거나 판단할 때의 마땅히 따르고 지켜야 할 판단의 기준.
균(均)....... 앞뒤 어깨와 팔의 힘이 중도(中道)의 힘으로 균형을 갖추는 것.
군문(軍門) ...... 병마가 주둔하는 군영, 영사(營舍), 영문(營門), 아문(牙門)이라고도 한다.
금원(禁苑) ....... 궁궐 안에 있는 동산이나 후원.
궁(弓) .............. 과녁까지의 거리를 재는 단위. 1궁은 6척, 현재는 5척
궁각(弓角)...........각궁을 만드는데 쓰는 소의 뿔.
궁각계(弓角契).....조선조 때 선혜청(宣惠廳)에 활 재료를 공물형식으로 바치던 계.
궁간목(弓榦木).....목궁 활 몸체의 중기를 이루는 목재.
궁간상(弓榦桑).....목궁 활 몸체 중기가 뽕나무로 형성되어 있음을 말함.
궁노(弓弩) ........ 쇠뇌
궁대(弓袋) ........ 활을 넣는 주머니. 활을 쏠 때 허리에 둘러메고 살을 꽂는다.
궁도(弓道) ........활을 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이상적 궁체를, 동양과학의 근본 이론인 음양오행을 통하여, 인체의 구조적 특성 이론과 대뇌의 구심활동의 함께 연구하는 학문.
궁력(弓力) ..........자신의 힘으로 활을 당길 수 있는 힘.
궁리(窮理)..........일을 처리하거나 개선하기 위하여 마음속으로 이리저리 따져 깊이 생각함
궁방(弓房) ..........활 만드는 곳.
궁사(弓師) ..........활 만드는 사람. 궁장과 동의어.
궁수(弓手) ..........활 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군사(軍士).
궁술(弓術) ..........병영에서 목표물을 쏘아 맞히기 위한 군사훈련 규범의 목적인 활을 쏘아 목표물을 적중하기 위한 기법.
궁시(弓矢) ..........활과 화살.
궁시무(弓矢舞).....군기(軍旗)에 제사지낼 때 추던 춤의 하나.
궁시해(弓矢解).....활쏘기를 통하여, 덕을 관찰하고, 마음속으로 깨우침을 터득하여, 손에 익숙함.
궁심(弓心) ..........자신이 사용하는 활의 성능을 자신의 마음처럼 믿는 마음.
궁방(弓房) ..........활을 만드는 곳, 사정에서 수리 및 보관하는 곳.
궁인(弓人) ..........활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 궁방장이ㆍ조궁장.
궁의(弓衣) ..........활을 쏘기 위하여 입는 의상.
궁장(弓匠).......... 조선시대 군기감의 궁전색에 속하여 활과 화살을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장인.
궁전(弓箭) ..........弓矢와 같은 말
궁전지사(弓箭之士)..활을 쏘는 무사의 다른 명칭.
궁정(弓旌) ..........활과 기(旗).
궁창(弓窓) ..........뿔 재단 시, 필요한 도구. 구부리거나 다듬거나, 해궁시 사용.
궁척(弓尺 )..........활량과 동의어. 신라시대의 활 쏘던 병졸. 尺은 ‘치’의 음차.
궁체(弓體) ..........활쏘기 과정에서 제 자세별 동작에 대한 표준 품위.
궁현(弓弦) ..........활시위.
규범(規範)......... 인간이 행동하거나 판단할 때에 마땅히 따르고 지켜야 할 가치 판단의 기준.
근(筋) .................힘줄, 힘, 기운.
근신수행(謹身修行)...몸가짐이나 행동을 삼가고 생각하거나 계획한 대로 일을 해내기 위함(三道).
근골(筋骨)........... 근육과 뼈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근력 ...................온몸에서 우러나오는 뚝심.
근초(根梢) ........ 뿌리의 끝이라는 의미로 초절(초
근후(近侯) ..........무과시험시 80보 거리에 있는 표적, 흰색 가죽에 돼지머리 그림.
귀납법(歸納法).....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전제로 하여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로서의 결론을 이끌어 내는 연구 방법으로, 자연 과학 연구 방법으로 정식화되었다.
귀족(貴族).... 가문 신분 따위가 좋아 정치적·사회적 특권을 가진 계층. 또는 그런 사람.
기(氣) ............... 기력, 생기, 원기, 용기 등의 활동의 근원이 되는 힘.
기(技) ............... 재능, 재주, 재간, 기생, 광대, 배우, 느긋함.
기능(技能)....육체적, 정신적 작업을 정확하고 손쉽게 해 주는 기술상의 재능
기력 ................ 단전을 원천으로 하는 복부의 뱃심.
기마(騎馬) ....... 말을 타는 일
기마대(騎馬隊)......군인이나 경찰이 말을 타고 직무를 수행하는 부대.
기마경찰(騎馬警察).말을 타고 직무를 수행하는 경찰.
기마전(騎馬戰)......말을 타고 하는 싸움.
기마행렬(騎馬行列).말을 타고 하는 행렬.
기사(騎射) ........ 말타고 달리며 활을 쏘는 무과시험의 1과목.
기사(騎士) ........ 말을 탄 무사. 무인(武人), 또는 그 계급을 일컫는 말.
기설구(氣泄彀).....기가 빠진 벌림으로, 활을 가득 당기다가 발시 전에 촉을 앞으로 토해 내는 것
기술(技術)... 사물을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나 능력. 과학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자연의 사물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도록 가공하는 수단.
기예(技藝) ........ 기술에 관한 재주.
기예법도(技藝法度)....표준궁체에 의(依)하여 의식적(意識的)으로 아름다움을 창조(創造)해내는 활동으로, 사인(射人)의 정신적(精神的)ㆍ육체적(肉體的) 활동(活動)을 아름답게 표현(表現)하는 일.
기운(氣韻) ........ 글씨나 그림 등(等)의 기품(氣稟)ㆍ품격(品格)ㆍ정취(情趣)에 대한 내용에 대한
생생하고 약동(躍動)스러운 내용.
기전(騎戰) .........말을 타고 하는 싸움이나 놀이.
기패(旗牌) .........기패관이 사용하는 각 군영을 밝히는 화살.
기허구(氣虛彀)....힘없는 벌림으로 활을 빠르게 벌리면서 촉이 줌통 중간에 도달하자마자 조준도 하기 전에 뒷손 힘이 빠지고 담력과 기력이 달려 그대로 화살을 보내는 것
기효신서(紀效新書)..명(明)의 장수 척계광(戚繼光)이 저술한 병서.
긴경마 ...............의전이나 의식에 쓰는 말에 다는 긴 고삐. 좌견
긴작 ..................전쟁세서 사용하는 긴 화살. 장전(長箭)과 같은 말
깃 .....................깃간 도피아래 세 갈래로 붙인 화살의 날개
깃간 ..................깃과 깃의 사이.
깃간도피 ............오늬 아래부터 깃 위까지 나무껍질과 같은 지포로 덮인 부위.
깃간마디 ............깃 바로 아래 마디로 위마디라고도 함.
깍지(角指) ..........시위를 당기기 위해 깍짓손 엄지손가락에 끼워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용구.
깍지손 ............. 깍지 끼는 손.
깍지손 구미........깍지낀 손의 팔꿈치.
깍짓손 회목........깍지낀 손의 손목.
꼭뒤 ..................도고지 붙은 뒤.
꾼 .....................<속어> 어떤 일, 특히 즐기는 방면의 일에 능숙한 사람

- ㄴ -
나경(拿勁) .........장지(掌指)를 포함한 하삼지(下三指)로 활의 줌통을 움켜잡을 때의 힘.
낙두(落頭) ........ 화살이 떨어져 도달하는 곳.
낙전(落箭)..........활을 쏘는 도중 화살이 시위에서 떨어지는 것.
남북촌편사(南北村便射)..서울 남촌과 북촌의 활쏘기대회. 고종 병자년에 처음 거행.
낭기마(郎騎馬).....혼인 때, 신랑이 신부 집에 타고 가던 말
내측 .................화살촉이 쇠 촉이었을 때 살대 속으로 들어가 끼어있는 부분.
내공(內空) ....... 눈(眼),귀(耳),코(鼻),혀(舌),몸(身),마음(心)등의 인연(因緣)기관.
내공(內功) ....... 중국 무술에서 '힘' 혹은 '에너지'를 공력(功力)이라는 말로 쓰는데, 뼈와 근육에서 나오는 외적인 공력과 내부의 기운(氣)을 강화(단전)시켜 나오는 내적인 공력으로 나뉜다. '숨겨진 힘', '남몰래 갈고 닦은 힘' 정도의 의미로 사용.
내포(內包) ....... 개념이 적용되는 범위에 속하는 여러 사물이 공통으로 지니는 필연적 성질의 전체. 형식 논리학상으로는 이것과 외연은 반대 방향으로 증가 혹은 감소한다.
노루발 ..............나무 과녁에 촉이 박혔을 때, 살을 뽑는 기구.
노망구(蓾莽彀)....거친 벌림으로 활을 벌릴 때 화살 촉 반치가량을 줌통 밖에 남겨두었다가 발시
직전에 촉을 줌통 가운데 까지 당겨 쏘는 방식.
노시(盧矢) .........쇠로 만든 검은색 화살로 깃이 넓고 무과시험이나 수렵시 사용.
논구법(論彀法)...활을 가득 벌려 화살 촉이 줌통 중간까지 오도록 당기는 것
논균경(論勻輕)...앞 주먹과 뒤 주먹이 서로 호응하여 가볍게 화살을 내보내는 것
논균법(論勻法)...앞뒤 어깨의 팔을 같은 힘으로 열어 주는 것
논심법(論審法)....활을 벌릴 때부터 조준하는 방법,
논주(論注)...........조준을 위하여 눈 힘을 집중함으로써 힘을 모으는 것
놀이(Game).......즐거움을 얻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행하는 모든 활동
뇌촉 .................화살촉이 살대 속으로 들어가는 부분.
념(捻) ...............비틀어서 쥐다. 손끝으로 잡다.
늦은삼절.............상사의 화살대 3째 마디.

- ㄷ -
단궁(檀弓)..........상고시대부족국가인 동예(東濊)에서 박달나무로 만든 활.
단궁(單弓)..........상고시대의 원시 형 활로 한 개의 나뭇가지에 시위를 묶어 만든 활.
담병(痰病).........한의학에서 몸의 분비액이 큰 열(熱)을 받아서 생기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담의 생성 원인에 따라 풍담, 열담 따위로 나눈다. 담이 결린다는 말의 뜻은 숨을 크게 쉬거나 몸을 움직일 때에, 등 어깨 아래 부위가 당기어서 딱딱 부딪치는 것처럼 뜨끔하게 아픈 현상.
대가(大架)......... 몸을 곧바로 세우고 두 발을 나란히 놓는 자세
대궁(大弓)..........예궁(禮弓).
대나무 ............. 각궁의 물소 뿔과 소 힘줄의 중심부에 사용한다.
대궁승시(大弓乘矢).예궁과 예전
대대거리 ............비교시 한 명씩 단발로 교대로 쏘아 승부를 결정짓는 경기방법.
대림끝................활의 아귀와 오금 사이 부분. 줌으로 붙인 참나무의 양쪽 끝부분.
대부(大夫)...........정사(正射)위 집정관(執政官)으로, 무관(武官) 2품(二品) 이상(以上)에 붙이는 존칭.
대사례(大射禮)......임금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옛 성인에게 제향한 뒤에 활을 쏘던 의식.
대살판 .............. 일획(一劃) 경기에서 25시(矢) 이상이 관중하였음을 기뻐하는 .말
대소 ............... 활체에서 대나무로 된 속이라라는 부위를 나타내는 뜻.
대포 ............... 커다란 베나 비단으로 만든 과녁
대학(大學).........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송(宋)의 사마광(司馬光)이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주자(朱子)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만들어 널리 세상에 퍼졌다. 경에서는 명명덕(明明德:명덕을 밝히는 일)·신민(新民: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지지선(止至善:지선에 머무르는 일)을 대학의 3강령(三綱領)이라 하고,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8조목(八條目)으로 정리하여 유교의 윤곽을 제시하였다. 실천과정으로서는 8조목에 3강령이 포함되고, 격물 즉 사물의 이치를 구명(究明)하는 것이 대학의 논리이다.
댓눈(덧눈)......... 죽시(竹矢) 마디 가지나 잎새가 자랐던 눈의 흔적. 깃간마디의 눈이 위로 오도록
깃을 붙여 그것을 보고 오늬를 먹인다.
더가는 것...........살이 과녁을 지나 넘어가는 것. <크다>라는 말로도 표현한다.
더데 ................ 철제 화살촉 중간을 둥굴고 우뚝하게 하여 내촉과 외촉을 구별한 것.
덜가는 것...........살이 과녁에 미치지 못하여 <작다>라는 말로도 표현한다.
덜미...................목뒤
도(道)............... 마땅히 지켜야 하는 도리. 심적, 종교적으로 깊히 깨우치는 이치 또는 그런 경지, 무술이나 기예 따위를 행하는 방법.
도가(道家)..........중국의 선진 시대(先秦時代) 이래, 노장(老莊)의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사상을
따르던 학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도문(道門). 선가(仙家).
도교(道敎)......... 인간의 지식이나 욕심이 오히려 세상을 혼란시킨다고 여기고 자연 그대로를 최고의 경지로 여기는 중국의 다신적 종교로, 춘추시대의 노자(老子)를 숭배하며, 여기에 음양오행설과 신선 사상을 더하여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는데, 후한 말기 때 장도릉(張道陵)에 의해 종교적 틀이 갖추어져 중국의 민간 습속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도고지 ..............활에 시위를 맬 때 심고가 맞닿는 부분.
도덕(道德)..........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행동규범.
도리(道理)..........행하는 바른길.
도반(桃盤)..........해궁(解弓)과 같은 의미.
도시(都試) ........ 중앙 및 지방별로, 매년 봄․가을에 실시하던 무과시험.
도지개................완성된 활을 해궁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활을 얹을 때 쓰는 보조기구.
도피(桃皮)..........복숭아나무 껍질을 오늬 끼운 부분을 감아 쪼개지지 않고 제습 효과.
도학(道學)..........도덕에 관한 학문. 정주학파(程朱學派) 심성(心性)과 이기(理氣)의 학(學).
동각 .................줌통을 중심으로 양 날개가 만나는 부위에 짧은 뿔 조각을 대는 것.
동각머리 ......... 동각을 대는 곳으로 양 날개의 뿔이 만나는 줌통부위.
동개 .................활과 화살을 넣는 등에 지도록 가죽으로 만든 물건.
동개살 ..............말 타고 달리며 쏘는 화살.
동개활 ............ 말을 타고 휴대하여 쏘기위한 마상 활쏘기용 활.
동시 .............. 붉은 색칠한 화살. 길이는 4자, 3.8자로 240보의 무과시험에서 사용.
동아(筒兒) ....... 활과 화살을 넣어 등에 메는, 가죽으로 만든 물건.
동이(東夷)..........동방에서 대궁(大弓)을 다루는 민족의 별칭.
동진동퇴............활을 쏘기 위해 사대에 나아갈 때는 모두가 함께 행동한다는 뜻.
두루주머니........ 각지나 밀 같은 궁시 관련 용구를 넣는 주머니.
두벌뒤 ............ 각지 손을 봉뒤 동작에서 다시 뒤로 펴주는 동작.
둥근촉 ........... 화살과 과녁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
뒤깎기 ...... 부각을 한 반제품(半製品)을 다듬는 작업.
뒤난다 ............ 발시한 화살이 과녁 왼쪽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줌손의 뒤편을 의미함,
뒷바람 ............ 줌손 등쪽에서 부는 바람
등자(鐙子)..........말을 타가나 탈 때, 두 발을 디뎌 밟는 발적대.
등정례 .......... 정에 올라와 자신보다 먼저 와있는 궁사들에게 하는 인사.
등힘............... 활을 쏠 때 줌손의 손등에서 어깨와 팔 전체로 고르게 뻗는 힘.
띠(隊).............. 활을 쏠 때 몇 사람씩 무리를 지어 같은 사대서 함께 쏘는 1개조.

- ㄹ -
레저(Leisure).....노동이나 공부 따위에서 벗어난 시간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즐기는 여가활동.

- ㅁ -
마갑(馬甲) ...... 말에게 입히는 갑옷
마경(馬耕) ...... 말을 부려 논밭을 가는 일.
마구(馬具) ...... 말을 부리는 데 쓰이던 기구.
마군(馬軍) ...... 조선 시대 금군(禁軍)이나 마병(馬兵) 또는 지방 영문(營門)의 기병(騎兵)
마계(馬契) ...... 말을 세 놀던 일을 업으로 삼는 계.
마미(馬尾) .... 말의 꼬리. 말총.
마미군(馬尾裙).. 말총으로 짜 입던 바지모양의 여자 옷.
마미전(馬尾廛).. 말총을 팔던 가게.
마방(馬房) ....... 마구간을 갖추고 있던 주막집, 절안에 말을 매어 두던 곳.
마방집(馬房) ... 말을 갖고 삯짐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
마부(馬夫) ...... 말을 부리는 사람.
마술(馬術) .........말을 타는 기술이나 기법.
마장마술(馬場馬術)...말 타는 기술의 한 가지, 60m X 20m의 마장 안에서 일정한 시간에 정하여진
각종 연기를 하여 정확하고 아름다움을 겨루는 기술.
마정(馬政).... 국가에서 역마 등의 마필 관리를 위한 행정.
마필(馬匹)...... 말(馬)의 동의어,
만(滿) ........... 화살촉이 줌통과 나란히 되도록 화살을 가득당기는 형태.
만개궁체(滿開弓體)...줌손과 각지팔의 팔꿈치가 일직선이 되고 양 어깨의 높이가 수평이 되도록 화살을 가득당기는 형태.
막막강궁(寞寞强弓)...아주 센활.
막만타궁 ....... 남의 활을 건드리지 말라는 뜻이다.
막순 ............. 종순이라고도 하며 마지막에 쏘는 한 순(巡).
막줌 ............. 흘려 잡지 않고 그냔 잡은 줌.
만작(滿酌)...... 화살을 당겼을 때, 화살촉이 줌통과 나란히 되도록 화살이 활의 외면까지 당긴 상태. 술잔이 가득하도록 술을 부은 상태.
만주원류고(滿洲原流考)...청나라 건륭(乾隆) 연간에 강희제의 명을 받아 아계(阿桂) 등이 편찬한
지리서. 만주지역의 부족, 지리, 풍속에 관한 자료를 고증하여 부족(部族), 강역(疆域), 산천(山川),
국속(國俗) 네 부문으로 분류하여 쓴 접경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1778년 간행. 20권.)
말(馬) ........... 말과의 포유동물. 목에는 갈기가 있고 발굽은 하나임. 마필(馬匹).
머구리턱........ 개구리의 옛말로 각궁 심을 놓을 때 도고자 뒤쪽 골격이 끝 모양.
먹관(과녁)...... 활쏘기에서, 활의 한가운데를 잡은 손에 가리어 과녁이 보이지 않게 되는 나쁜 자세
먼오금.......... 한오금과 삼삼이 사이.
멍에팔.......... 사법에서 줌손이 약간 휘어져 있는 모양.
맥(脈) ......... 심장의 운동으로 동맥에 일어나는 혈액의 주기적인 고동. 맥박(脈搏).
맥궁(貊弓)..... 고구려 소수맥(小水貊)에서 생산되었다는 좋은 활.
메뚜기팔찌..... 활을 쏠 때 넓은 옷소매를 잡아매는 메뚜기 장식의 팔찌.
면벚 ............. 도고자 바로 밑 부분을 감은 벚나무 껍질.
명가(名家)...... 당긴 화살 촉이 몸통 중간 이상을 당기는 형태. 탈파(脫弝)와 같은 의미.
명궁(名弓) .... 성능이 좋은 이름난 활이라는 의미이지만, 활을 잘 쏘는 무인, ‘명무(名武)’또는 ‘선사자(善射者)’와 같은 의미로 변형 왜곡하여 사용되고 있다.
목궁(木弓).... 에끼찌와 산뽕나무로 만든 활.
목소 ........... 도고지에서 삼삼이 까지의 부위.
목전(木箭)..........나무로 만든 화살로, 무과별시와 중시에서 240보 거리에 3발을 쏘았다.
몰기 .......... 한 순(巡) 쏠 때 살 5개가 다 과녁에 맞는 것을 말한다.
물촉 .............활을 당길 때 화살촉이 줌을 지나 들어오는 것. 월촉 이라고도 한다.
몸빠진살..... 가느다란 화살.
몽계필담(夢溪筆談)...송(宋)나라 심괄(沈括)의 저서(著書), 활과 화살 제작 공학기술서.
무(巫).......... 무당, 무녀, 의사
무(武).......... 전쟁과 관련한 무술, 병법 / 타격, 관절, 무기
무겁............. 개자리와 같은 말
무겁한량...... 무겁을 간검(看檢)하는 한량. 적중여부를 검사하는 임무를 맡은 한량.
무경사학정종(武經射學正宗)....명나라 고영(高穎)이 저술한 사서(射書)
무경칠서...... 칠서(七書) 또는 무경(武經)이라고도 한다. ① 제(齊)나라 손무(孫武)가 쓴 손자(孫子),
② 전국시대 오기(吳起)의 오자(吳子), ③ 제(齊)나라 사마양저(司馬穰苴)의 사마법(司馬法),
④ 주나라 위료(尉繚)의《위료자(尉繚子 5권)》⑤ 당(唐)나라 이정(李靖)의《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
3권)》⑥ 한(漢)나라 황석공(黃石公)의《삼략(三略)3권》⑦ 주나라 여망(呂望)의《육도(六韜) 6권》
를 아울러 일컫는 말로, 송(宋)나라 원풍(元豊) 연간에 이들 병서를 무학(武學)으로 지정, ‘칠서’
라고 호칭한 데서 유래된 이름.
무경칠서휘해(武經七書彙解)...청대(淸代:1700) 주용(朱墉)이 편찬한 사서(射書)
무도(武道)... 무예 및 무술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무사가 지녀야 할 품격과 도리.
무력심....... 양낭 고자의 심고가 걸리는 부위에 검은 소 힘줄.
무력전....... 낭낭 고자 밑에 단장한 천조각.
무력피....... 무력심을 덮은 가죽. 서피라고도 함.
무비요략(武備要略).. 명(明)나라 말기 장수인 정자이(程子頤)가 저술한 병서.
무사(武士)... 무예를 익히어 그 방면에 종사하는 사람. 무부(武夫:싸울아비)
무예(武藝)... 무도에 관한 재주
문화(文化)... 인간이 공동사회를 이룩하여 그 구성원이 되어 함께 누리는 가치. 삶의 양식, 표현
체계, 언어, 예술, 지식, 도덕, 풍속, 제도 등.
미기소(靡基弰)...줌손을 앞으로 내밀고 있는 상태에서 화살을 보냈을 때, 윗고자가 화살을 쫓아 과녁을 가리키고 아랫 고자는 왼편 겨드랑이 밑으로 들어오는 형태의 궁체.
미령(尾翎)... 화살 깃.

- ㅂ -
바가지활 .... 줌통을 너무 밟아 내려 만작 시 둥근 바가지 모양으로 휘어지는 활.
바닥끝 ....... 손바닥 가운데 금의 끝난 곳.
바람 .......... 공기의 움직임. 사대에서 과녁 쪽으로 불면 오늬바람, 사대 쪽으로 불면 촉바람, 오른쪽으로 불면 뒷바람, 왼쪽으로 불면 앞바람이라고 한다.
바탕 ........ 길이의 단위. 한 바탕은 활을 쏘아 살이 미치는 거리 정도의 길이이다.
박두(樸頭)... 촉이 둥근 나무로 된 화살. 중목박두, 무과 시취나 교습에 썼음.
반구비........ 화살의 살고가 알맞아 적중할 수 있게 가는 것을 말한다.
반곡궁(反曲弓)... 으리의 전통 각궁처럼 반대로 휘거나 뒤로 구부러지는 활.
반궁(半弓)....일반 궁의 반정도의 짧은 활로 않아서 쏠 수 있었다 한다.
반깍지 ...... 발시 동작에서 깍지 손을 그 자리에서 떼고 마는 발시 자세.
반바닥 ...... 엄지손가락과 식지손가락 사이의 뿌리 부분.
반작질 ...... 활을 반 정도 당기고 쏘는 것.
반지(扳指)... 깍지(角指)와 같은 말.
발경(發勁).. 경력(勁力)을 밖으로 발출하여 내보내는 것으로, 만작한 상태에서 목표물에 대한 가늠
과 조준을 통한 정신집중이 완료된 상태를 시신경을 통하여 대뇌로부터 전달받은 중추(中樞)신경에
시위를 조용히 풀어주어 화살을 쏘아 보내는 동작.
발군(撥軍).. 역마(驛馬)를 몰아 중요한 문서를 변방에 급히 전하던 군졸.
발마(撥馬).. 발군(撥軍)이 타던 말.
발사(發射)...활·총포·로켓이나 광선·음파 따위를 쏘는 일.
발소(鏺弰)...아랫 고자가 어깨 쪽으로 올라오는 것. 소자대(弰自大)와 동이어.
발시선 ...... 줌손 손목과 각지 팔의 팔꿈치를 잇는 선.
발여호미(發如虎尾) .. 깍지 손을 놓은 후 깍지 손을 뒤로 벌리는 자세.
빨래줄살.... 화살이 과녁까지 거의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살고.
밭은오금.... 대림 끝과 한 오금 사이.
발끝 ......... 발 부리.
밧탕 ......... 화살가는 거리.
방장(方長).. 세력을 넓히며 성장한다는 뜻으로 힘을 펼친다는 뜻.
방전(放箭).. 화살을 내보내는 것.
방통이....... 내기로 쏘거나 새를 잡는 데 쓰는 작은 화살.
벌터질....... 과녁이 아닌 땅위에 일정한 장소를 목표로 활을 쏘는 것.
벌이줄....... 과녁을 베로 만들었을 때, 그것을 솔대에 묶으려고 잡아당기는 줄.
범절(凡節)...법도에 맞는 모든 질서나 절차.
법가(法家) ..왕의 거둥 때에 타는 수례의 한 가지.
법도(法道)...생활상의 예법과 제도.
법칙(法則).. 사물의 사이에 필연적 불변의 관계.
범아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
변(卞)......... 과녁에서 중심부위가 아닌 부분을 말한다.
변형력 ....... 탄성체(彈性體)가 형체나 용적을 바꾸는 힘.
백패(白牌)... 품위 인증서로, 득점, 소속, 성명이 일자가 적혀있는 증서.
베어보우(Bare Bow) .. 조준기를 사용하지 않고 활을 쏘는 사법.
보궁(保弓).... 얹은 활이 틀어지거나 뒤집혀지지 않도록 끼워두는 실가락지.
보사(步射)... 서서 활을 쏘는 것. 무과시 시취와 군사들의 훈련시 행했음.
보싸기......... 활의 줌.
복압(腹壓)....복근과 횡격막의 수축으로 생기는 복강의 압력. 출산 때 자궁의 수축과 협력하여 태아를 밀어내는 힘.
복합궁(複合弓).....한 겹으로 이루어진 단궁(單弓)을 두 겹 이상으로 강화하여 성능을 보강한 활.
봉뒤 ........... 각지 손을 뒤로 내지 못하고 제자리에 머무르는 동작.
불거름......... 방광의 바로 윗 부위를 말함.
부각(付角)......물소뿔과 대나무를 접착하는 작업을 말한다.
부레풀 .......... 활 재료용 접착제로 민어의 부레를 지방간만 제거하여 쓴다.
부린활 .......... 시위를 풀어놓은 활.
부푼살 .......... 굵은 화살.
북전 ............. 손가락에서 첫째와 둘째 관절마디의 굽혀지는 부위 관절을 통칭하는 용어로 손가락 첫 째 지관절(指關節) 부위로 조금 넓적한 부위 관절.
분문(糞門)...... 항문(肛門).
불(不)내다...... 과녁을 맞추지 못하는 것.
불내다 .......... 과녁을 맞추지 못하는 것.
붕(掤)............ 손목과 어깨 사이의 부위로, 일반적으로 팔이라 부른다.
붕경(掤勁)...... 반바닥의 힘을 안으로부터 밖으로 향하도록 실처럼 감는 동작.
붕어죽 .......... 활을 잡은 손의 팔꿈치가 뒤로 젖혀져 화살대 와의 사이가 붕어의 배처럼 휘어든
자세로, 중구미를 아래로 엎지 못하고 하늘을 향하는 것.
브랜드(Brand)..상표’로 순화.
비교 .......... 시수의 기록이 같다는 용어.
비교사 ....... 시수가 같은 사람 또는 팀과의 재경기를 말함.
비장(脾臟)...... 우리말로 지라라 하며, 위(胃)의 왼쪽이나 뒤쪽에 있으며, 오래된 적혈구나 혈소판을 파괴하거나 혈관과 조직을 연결하여 면역 항체를 수송하고, 장(腸)에서는 지방을 흡수하고 운반하는 림프구를 만들어 내는 작용을 하는 인체기관.
비정비팔(非丁非八)..丁자 모양도 八자 모양도 아닌 자세로, 활쏘기의 기본자세.
빈활 .............. 화살을 먹이지 않은 활.
뼈고도리 ...... 뼈로 만든 살촉. 뼈살촉.
뽕나무............ 각궁 양끝의 고자를 만들며 강유(剛柔)를 겸하여 고자 재료로 적합함.
뿔끝................ 뿔과 뽕나무 끝이 서로 닿는 곳.

- ㅅ -
사경(射經)......활을 쏘는 기법에 대한 이론과 원리를 집대성하여, 사학 원리와 내용을 과학 범주에 의한 교리로 체계화한 내용.
사구(射具)...... 활쏘는 기구라는 뜻으로 깍지를 말한다.
사구손 ...........깍지 손.
사계(射稧)......활을 쏘려고 사정에 든 사원들로 조직한 단체.
사계편사(射稧便射).사계가 성립된 사정에 한하여 사원을 편성, 기예를 경쟁하는 것.
사기(射技) .....활 쏘는 기술
사기(射騎)..... 궁술(弓術)과 마술(馬術), 사수(射手)와 기수(騎手)
사대(射臺).... 삼국 시대에, 백제의 활터를 이르던 말. 오늘날에는 활을 쏠 때에 서는 자리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
사두(射頭) ... 일본 문화에서 유래한 용어로, 사정(射亭)을 대표하는 사람을 호칭하는 용어.
사랑편사(斜廊便射).사람끼리 사원을 편성하여 경기하는 것.
사례(射禮) .... 활을 쏘는 내용이 표준사법에 의한 내용대로 일정하게 실천하는 행위.
사마(司馬) .... 향사례에서 화살의 획수를 확인하는 사람.
사말(射末).... 사원이 자기를 낮춰 부르는 말.
사백(射伯).... 사정(射亭)을 대표하는 사람을 존칭하여 부르는 호칭.
사무.............. 행수 밑에서 활터의 일을 실제로 관리하고 정리하는 사람.
사법(射法)...... 병영에서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표물을 적중하기 위한 기법을 군사교범으로 운영하였던 병서의 규범.
사법비전공하.. 1739년(영조15년) 평양감영에서, 청대(淸代:1700) 주용(朱墉)이 편찬한 병서인 무경칠서휘해(武經七書彙解)를 번역하여 간행한 사서(射書).
사벽.............. 활병
사백(射伯).......활쏘기에 대한 학식이 높거나(사종:射宗), 기예가 능한 사람을 높여 이르는 의미와
함께, 활터(射亭)에서 지위가 높은 사람을 존칭하는 말.
사사(射司)...... 향사례에서 활쏘기 경기를 운영하는 책임자.
사상(四象)......①일월성신(日月星辰)의 총칭(總稱) ②음양(陰陽)의 네 가지 상징 : 태양(太陽), 소양
(少陽), 태음(太陰), 소음(少陰) ③땅 속의 물, 불, 흙, 돌.
사수(射手) .....대포나 총, 활 따위를 쏘는 사람.
사원(射員)..... 사정에 소속되어 활쏘는 사람.
사정(射亭)..... 활을 쏘는 곳. 사장(射場)이라고도 한다.
사정기(射亭旗)..사정을 대표하는 기, 깃발.
사풍(射風) .....활터의 풍습, 좋은 활쏘기 분위기를 위하여 만들어진 풍습과 절차.
사형(巳形)현상.. 화살이 뱀이 기어가는 모양처럼 비행하는 현상.
사후(射帿) ...... 사방 열자 가량의 포장과녁(射布)을 설치하여 활쏘기를 익히는 것으로, 임금이 신하
들과 더불어 사례(射禮)를 행할 때 사용하였다.
삭사(朔射)..........매월 음력 초하루 삭일에 당하의 문무관을 대상으로 궁술을 시험하던 행사.
산주(算珠)..... 화살이 맞는 개수를 표시하기 위해 나무로 만든 막대나 구슬.
산해경(山海經)....상고시대의 사서로 태고시대의 신화와 지리내용을 담은 중국 최고의 신화집 서책
으로, 조선(朝鮮), 개국(蓋國), 숙신(肅愼), 맥국(貊國) 등, 고대 우리나라의 국명과 강역 및 문화
형태가 기록되어 있다.
살(煞) ........ 사람을 해치거나 물건을 깨뜨리는 모질고 독한 귀신의 기운
살(摋) ........ 손을 뒤집어 무었을 때리는 것과 같은 모습, 뒷손을 어깨 높이로 뒤로 내뻗는 동작.
살가림 . 후(侯)의 옆에 세워두어 화살을 피하기 위하여 병풍처럼 세워둔 막.
살걸음 ......... 화살이 날아가는 속도.
살고 ........... 화살이 뜨는 높이.
살고름판 .... 무겁에서 주어온 활을 늘어놓는 판, 살놓이, 시대라고도 함.
살그릇 ........ 쏘고 난 화살을 담는 그릇.
살수세미...... 살촉을 닦는 수세미
살날이 ........ 무겁에서 모은 화살을 사대로 실어 보내는 기구 또는 장치.
살밑............. 화살촉.
살받이....... .. 과녁을 세운 전후좌우의 화살 떨어지는 장소.
살방석......... 화살을 닦는 제구.
살수건......... 화살을 닦는 수건.
살줄............ 화살이 날아갈 때 공중에 그어지는 줄.
살찌............ 쏜 화살의 날아가는 맵시.
살터............ 화살을 쏠 수 있는 곳. 활터와 동의어
살판......... 일획에 20시 이상 관중을 하였다는 용어 .
삼각궁....... 물소 뿔이 아닌 황소 뿔을 세조각 이어 붙인 활, 휘궁의 일종.
삼갑사(三甲射).. 활쏘기 연습의 하나로 날쌘 기마를 뽑아 3대(隊)로 나눠 표지를 다르게 하고, 북을
치면 피두전(皮頭箭)으로, 대별로 각각 2인씩 말을 달려 등(燈)을 쏘는 것.
삼군(三軍)...조선시대에 병마가 주둔하는 삼군문(三軍門)을 말하며, 삼군영(三軍營), 삼영문(三營門), 삼영(三營)이라고도 한다.
삼도(三道)...① 부모를 섬기는 세 가지 도리(봉양, 상사(喪事), 제사). ② 군사를 쓰는 세 가지 병법. (정병(正兵), 기병(奇兵), 복병(伏兵)). ③ 성문이나 보살이 수행하는 세 단계 과정.(견도(見道),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 살아가면서 유전(流轉)하는 인과(因果)의 세 가지 모양.(고도(苦道), 업도(業道), 혹도(惑道)).
삼동 ....... 줌통과 위아래 목소 두 곳.
삼동편사(三同便射)..당상(堂上), 출신(出身), 한량 3인이 연합하여 편성하는 터편사.
삼문(三門)..불교에서, 교(敎)·율(律)·선(禪)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삼번사(三番射) . 삼순으로 겨루는 활 쏘기 경기방식.
삼삼이...... 먼오금 아래 궁간목과 고자목이 만나는 부위.
삼절법(三絶法)...인체(人體)의 지체(肢體)를 세 부위로 나누어, 제일 위쪽이나 바깥쪽을 경락의 시작점이 되는 초절(梢節), 중간 부위로 경락이 전달하는 부분을 중절(中節), 바깥부위로 경력을 지탱하는 근절(根節)을 하나의 관절로 합쳐 모으는 내용을 말한다.
삼음경(三陰經)..경락(經絡)의 세 가지 음(陰)의 경맥. 태음경, 소음경, 궐음경.
삼족오(三足烏).. 동아시아 신화에서, 태양 속에서 산다는 세 발을 가진 까마귀로, ‘태양(太陽)’을 달리 이르는 말.
삼지 ....... 줌손의 아래 세손가락을 말하며 하삼지(下三指)라고도 함.
삼지끈..... 보궁과 같으며 삼지에 끼는 실가락지라는 데서 부름.
상(相)....... 이마에는 주골(主骨), 눈에는 안정(眼睛), 코에는 양주(梁主), 다리에는 천근(天根), 등에는 삼갑(三甲), 배에는 삼임(三壬)
상사......... 화살대 아래의 대통으로 싼 부분.
상지(上肢)..팔
쌍분(雙分)..줌손의 밀어주는 힘과 각지 손의 당기는 힘의 배분.
생각(生覺)...헤아리고 판단하고 인식하는 것 따위의 정신 작용,
소가(小架)..두 발을 크게 벌리고 몸과 팔을 낮추는 자세를.
소리목...... 조막손이
소자대(弰自大)...아랫 고자가 어깨 쪽으로 올라오는 것. 발소(鏺弰)와 동이어.
소학(小學)... 8세 전후의 어린아이들이 배우던 수신서(修身書)로, 일상생활에서 소년들을 교화(敎化)시킬 수 있는 범절과 수양을 위한 격언과 충신·효자의 사적 등을 모아 편찬한 책으로, 남송 효종 때인 1185년부터 편집을 시작하여 2년 후에 완성했다.
소힘줄...... 소의 등뼈 부분에서 뽑아낸 힘줄.
쏨세 ....... 발시 동작 후 마무리 모양새.
서분한살.. 굵으면서 가벼운 화살.
서유구(徐有榘)..호는 풍석(楓石:1764-1845), 조선조 후기의 실학자로 농업백과사전인 임원경제지(16부분:112권)를 저술하였으며 내용 중, 유예지(遊藝志:6권)에 사결(射訣)을 수록.
석획자(釋獲者)....성적 집계자
선(禪:dhyaa)..... 삼문(三門)의 하나. 마음을 한곳에 모아 가다듬고 정신(精神)을 통일(統一)하여 번뇌(煩惱)를 끊고 무아 정적(無我靜寂)의 경지(境地)에 몰입(沒入)하는 일
선비... 예전에, 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던 말.
선사(善射).. 활을 뛰어나게 잘 쏘거나 솜씨가 있는 사람.
선생(先生)....학생을 가르치는 사람, 기예가 뛰어난 사람
설자리............ 활을 쏠 때에 서는 자리.
설경(說經)...불교에서, 경문(經文)을 해설하는 일.
설문해자(說文解字).....중국 후한 시대에 허신(許愼:30∼124)이 편찬한 한자의 형(形)·의(義)·음(音)을 체계적으로 해설한 최초의 자서(字書).
섬주(剡注).. 화살이 높이 솟았다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과녁을 향해 거의 직진하는 형태를 말함.
섭(鞢) .........가죽으로 만들어진 깍지,
섭(韘) .........코끼리 상아로 만들어진 깍지,
세전(細箭)...... 가는대 라 하며 적진에 격서를 보낼 때 쓰임.
소(弰) ............. 활고자(활짱 머리에 있는 시위를 매는 곳)
소(小)........... 뒷손을 오므린 채 펴지 못하는 것
소가(小架)...... 두 발을 크게 벌리고 몸과 팔을 낮추는 자세
소살판............ 일획에 15시 이상을 관중하였음을 기뻐하여 표현하는 말.
소지(素地)........ 존래의 바탕, 요인이 되는 바탕, 밑바탕.
소지(小指).... 새끼손가락.
소포.......... 베나 비단으로 만든 작은 포속으로 만든 과녁.
손............... 한 손에 잡을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다섯 손가락
솔................. 베나, 비단 또는 포로 만든 과녁으로, 사적(射的)이라고도 한다
솔대.............. 솔 과녁을 버티는 나무.
쇠뇌(弩).......... 줄을 당겨 꼭지에 걸어, 촐처럼 겨냥하여 쏘는 활.
쇠살(鐵箭)........ 육량전, 아량전, 정전 세가지를 가리킴.
수띠................. 편사에서 편장으로 맨 처음 활을 쏘는 사람.
수지(手指) ....... 손가락.
순(巡)........... 활쏘기에서 각 사람이 각각 화살에 다섯 대까지 쏘는 한 바퀴
순전................ 무겁 앞.
순점(巡點)....... 한 순에 맞춘 점수. 명부(名簿)에 점(點)을 찍어 조사(調査)함. 마지막 활쏘기가 끝났음을 알리는 소리. 마지막 활쏘기가 끝나고 활 쏜 사람의 시지(試紙) 아래에 그리는 동그란 점
술(術) ....... 기술이나 재주
숫각지...........뿔막대 끝에 시위를 걸어 움켜쥐고 당기는 각지.
숫터 ........... 사대보다 낮은 과녁.
스포츠(Spoet)..체력이나 기술을 바탕으로, 오락으로 즐기거나 승부를 겨루기 위한 규정에 의해
행하는 게임이나 신체활동.
스파인(Spine)..화살이 휘어지는 탄성 강도.
습(拾) ........... 활을 쏠때 시위가 팔소매를 스치지 않도록 옷을 걷어 올리는 것.
습사무언.......... 여렀이 활을 쏠때 조용히 하여야 한다는 뜻.
승마(乘馬)....... 말을 타고 하는 여러 가지 동작
승마술(乘馬術)..말을 타는 기술.
승마복(乘馬服)..말을 탈 때 몸이 편하도록 입는 옷.
시누대............ 우리나라 중남부 해안지대에 분포되어 있는 화살대의 재료.
시동................ 화살을 주워오거나 심부름을 하는 아이.
시복(矢箙) ..... 화살을 넣는 용구로, 마작궁술(馬作弓術)시 등에 착용하는 화살집.
시복(時服)....... 예복(禮服)의 한가지. 단령(團領)에 흉배(胸背)가 없고 빛이 붉음
시수............... 화살의 수(數)
시수꾼............ 일획(10순)시수에서 30시 이상 맞히는 사람.
시인(矢人)...... 화살을 만드는 장인.
시위............... 활줄. 현.
시자표............ 자표. 1자대 2자대 등 화살의 차례를 표시한 것.
시후(豕侯) ......무과와 교습 때에 사용하는 돼지가 그려진 과녁.
시장(矢匠)...... 화살을 만드는 사람.
시지 ............. 시수를 기록하는 용지
시치대 .......... 수거해온 화살을 한곳에 올려놓기 위한 받침대.
신사(新射)...... 처음 활을 배우는 사람.
신장(腎臟)...... 척추동물의 비뇨 기관과 관련된 장기인 콘팥은 의미하는 의학용어로, 체내에 생긴 불필요한 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하고 체액의 조성이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신전(信箭)...... 왕명을 전하는 화살.
실대 .............. 화살의 몸통을 이루는 대를 말한다.
실중힘 .......... 센 활 다음가는 활로 실중력(實重力)이라고도 한다.
심(審) .......... 활을 쏘아 맞히려는 목표물을 정신을 집중하여 세심하게 살피는 마음.
심(心) ........... 시위의 중앙.
심놓이 .......... 소힘줄을 활에 올리는 것.
심바 ............. 부각할 때 압축을 위하여 감는 줄
심고(弰) ........ 활시위를 걸기 위하여 양냥고자 끝에 소의 심으로 만들어 댄 고.
심고(審固)...... 목표물 조준을 상세하게 집중하기 위한, 조준의 견고함.
심장(心臟)...... 주기적인 수축에 의하여 혈액을 몸 전체로 보내는 순환 계통의 중심적인 근육 기관으로 인체의 가슴에서 중앙보다 왼쪽에 있는 주먹보다 약간 큰 근육질 덩어리로 원뿔형의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으며 염통이라 말하기도 한다.
심판 ............. 경기에서, 경기규정에 의거 판정을 전담하는 사람을 말한다.
십간(十干)....천간(天干)을 달리 이르는 말로,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열 가지로 구분한다.

- ㅇ -
아귀(弝眼) ............. 활의 줌통과 오금이 닿는 오긋한 부분.
아귀피........... 줌 아래와 위에 감은 곳.
아대............. 손목 또는 발목을 보호하기위하여 착용하는 용구.
아동편사(兒童便射)..한 동네씩 구별하여 아동으로만 편성, 경기하지 않게 하는 것.
아래아귀.........줌피의 아래 끝부분.
아래장........... 활의 한통(줌) 아래부분.
아랫마디........ 죽시의 세 마디 가운데 촉 쪽에 있는 마디.
아량전(亞兩箭).4량 무게지만 정식 량수인 6량에 버금간다고 하여 아량전이라 함.
아악(雅樂).......고려 ·조선 연간에 궁중의식에서 연주된 전통음악.
악(握)............ 줌손내의 힘. 손잡이. 손아귀.
악절(樂節) ......두 개의 악구(樂句)로 이루어져 하나의 악상을 표현(表現)하는 구절.
악차(幄次) .... 왕의 거동 때 막을 둘러친 임시 휴식처.
안고수비(眼高手卑)...눈은 높고 마음은 크나 재주가 따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상만 높고 실천이 따르지 못함을 이르는 말.
안교(鞍橋)..........말안장의 모양이 마치 시렁이나 교량처럼 생긴 안장.
안바람........... 과녁에서 사대방향으로 부는 안고 쏜다는 바람, 안풍, 촉바람.
앉은죽........... 붕어죽도 아니고, 똑바로 선 것도 아닌 죽 모양.
알과녁........... 과녁의 한복판. 홍심(紅心)을 말함.
알줌 ........... 대림(줌)의 가운데 부분.
암가드(Am Guard).... 활을 쏠때 시위의 충겨으로 인하여 팔을 보화는 용구(습과 같은 의미).
암각지 ......... 평각지와 같으나 앞부분이 시위가 걸리도록 약간 파여 있음.
압점(pressure point)..줌손 범아귀 피부면에서 압력에 특히 예민한 점
앙사(仰射) .... 사대를 기준으로 과녁이 높이 설치되어진 것을 말함.
앙낭고자 ...... 활의 양 끝 부분(Tip).
양척(養尺) .... 구부러진 앞팔의 팔꿈치를 펴서 팔꿈치 위에 물잔을 올려놓는 것을 말한다.
앙터 ............. 사대가 과녁이 높은 활터.
약(約).......... 뒷손이 기울어져 손목(손바닥)이 위를 보지 못하는 것
약지(藥指) .....약손가락, 소지(小指)와 중지(中指)사이의 손가락.
언(偃) ............화살을 내보낼 때 손목이 경직되어 뒷손을 수평이 되도록 제대로 펴지 못한것
언소(偃弰)..... 몸은 똑바로 세웠어도 머리가 앞으로 기울고 앞손 손목(손바닥)이 위를 향한 것.
왼구비 ......... 화살이 높이 가는 것을 말한다.
앞난다.......... 살이 과녁의 오른쪽으로 떨어지는 것. 줌손의 앞쪽이라는 뜻이다.
야시(野矢) .... 화살이 떨어지는 위치와 원근이 일정하지 않은 화살의 형태.
양냥고자....... 고자의 맨 끝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 소(簫)라고도 한다.
애기살(片箭)...천보 이상을 날아가며, 갑옷도 능히 뚫을 수 있는 편전용 화살.
애끼찌 ..........활을 만드는 데 쓰는 특수한 나무
애끼찌활.........애끼찌 나무로 만든 활.
양(楊) .......... 화살이 과녁의 위를 맞힌 것을 이르는 말.
양수(陽手) .... 당긴 활의 각도가 수직 형태로 곧게 세운 형태.
양적(兩摘) .... 화살을 내보낼 때 앞뒤 두 손이 한 동작으로 힘을 쓰지 못하는 것.
양척(襄尺) .... 활을 넓게 벌리기 위하여 구부러진 팔꿈치를 펴는 것을 말하며, 수평된 상태에서 팔꿈치 위에 물 잔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한다는 말이다.
양반(兩班) ....고려·조선 시대에, 지배층을 이루던 신분의 계층. 점잖고 예의 바른 사람.
어깨선 ......... 시위를 당길 때, 줌손과 줌팔 어깨를 있는 선.
언소(偃弰) ... 몸은 똑바로 세웠어도 머리가 앞으로 기울고 앞손 손목(손바닥)이 위를 향한 것
얹은활(張弓)...시위를 걸어놓은 활.
엄지가락.........줌 잡는 손의 엄지손가락.
여무사 ......... 여자 궁사.
여우살 ......... 활을 당겨 놓았다가 힘이 빠져 밀리기 전에 시위를 조금 더 당겼다 놓는 발시 내용.
역마(驛馬).... 공문서의 전달이나, 영송(迎送), 물자의 운반을 위하여 사용하는 말.
역참(驛站).... 조선시대의 교통 통신 기관으로 역마를 바꿔 타던 곳.
연역법(演繹法)..일반적 사실이나 원리를 전제로 하여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추리 방법을 이른다. 경험에 의하지 않고 논리상 필연적인 결론을 내게 하는 것으로, 삼단 논법이 그 대표적인 형식이다.
연전(揀箭) .. 활쏘기를 배울 때, 무겁에 떨어진 화살을 주워 오는 일.
연전동(揀箭童).. 화살을 주워다 주는 아이.
열(捩)........ 앞손으로 줌통을 밀고 뒷손으로 시위를 당기는 모습이 무엇을 함께 비트는 것 같음.
엉치 ........... 응덩이, 엉덩이.
연궁(軟弓)... 무른 활.
연맥(軟脈).....저혈압 등으로 긴장도가 낮아진 맥박,
연사(燕射).... 신하(臣下)들을 위로(慰勞)하는, 궁중(宮中)의 잔치에 베푸는 활쏘기
연상(軟上)... 실중힘 아래 활로 무른 활 중에서 제일 센 것.
연소............ 활체의 뼈대가 되는 나무. <소>는 <속>의 받침이 떨어진 것.
연심(鍊心)... 오랜 습사를 통한 경험으로 터득하는 마음가짐
연전 .......... 화살을 주으러 다니는 것.
연전길 ....... 화살을 주으러 다니는 길.
연중(軟中)... 연상의 아래활로 무른 활 중에서 조금 센 것.
연하(軟下)... 연상의 아래 활로 무른 활.
영감(靈感) ... 신령스러운 예감이나 느낌. 창조적인 일의 계기가 되는 기발한 착상이나 자극.
영관(盈貫)... 당긴 화살 촉 끝이 줌통 중간까지 들어오는 형태.
영기(靈氣)... 신령스러운 기운.
영전(令箭)... 명령을 전달하는 화살.길이 10cm 두께 2cm.
영축(零縮)... 남고 모자람.
예(禮) ........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예(藝) ....... 재주, 기예, 법도, 학문, 과녁
예(羿) ........ 활로써 나라의 여러 가지 재앙을 막은 것으로 유명하다. 토지를 황폐하게 만들고 다니
는 풍신(風神)을 활로 쏘았고,요(堯) 임금 시대에 지구 위에서 뜨겁게 불타고 있던 10개의 태양
가운데 9개를 활로 쏘아 떨어뜨렸다고도 한다.(일설에는 9개 중 8개를 떨어뜨렸다고도 함).
예궁(禮弓)... 궁중연사, 반궁대사례, 향음주례에 사용되었던 활. 본래 이름은 대궁.
예기(禮記)... 49편(編)으로 이루어진 유가의 경전이며, 오경(五經)의 하나로, 주례(周禮), 의례(儀禮)와 함께 삼례(三禮)라고 한다.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 하는 것은 예(禮)에 관한 경전을 보완(補完)·주석(註釋)하였다는 뜻이다. 예기(禮記)는 의례의 해설뿐 아니라 음악·정치·학문 등 일상생활의 사소한 영역까지 예의 근본정신에 대하여 다방면으로 서술하고 있다.
예기(禮記)는, 곡례(曲禮)·단궁(檀弓)·왕제(王制)·월령(月令)·예운(禮運)·예기(禮器)·교특성(郊特性)·명당위(明堂位)·학기(學記)·악기(樂記)·제법(祭法)·제의(祭儀)·관의(冠儀)·혼의(婚儀)·향음주의(鄕飮酒儀)·사의(射儀) 등의 제편(諸篇)이 있고, 예의 이론 및 실제를 논하는 내용이며, 사서(四書)의 하나인 대학(大學)과 중용(中庸)도 예기(禮記)의 한 편이다.
예전(禮箭)... 길이가 석자, 깃이 크며 궁중연사 대사례, 향음주례 등의 예식용 화살.
예의(예의).. 인간상호간, 상대에게 표현하는 말투나 몸가짐 행동의 총체.
오금 .......... 팔꿈치와 같은 말로 곡지(曲池)와 같은 뜻이다.
오늬(矢括) .. 화살을 시위에 걸어 끼우기 위한 부품(Nock).
오늬도피..... 오니를 감싼 나무껍질 피.(죽시에서는 복수아 나무 껍질을 많이 사용)
오늬바람..... 사대에서 과녁으로 부는 바람.
오마작대(五馬作隊)..마병(馬兵) 행군시, 오열(五列)종대(縱隊)로 편성하였던 대열.
오행(五行).....우주(宇宙) 간(間)에 쉬지 않고 운행(運行)하는 다섯 가지 원소(元素). 金ㆍ木ㆍ水ㆍ火ㆍ土. 방진(方陣:네모), 원진(圓陣:원), 곡진(曲陣:굽다), 절진, 예진(銳陣:무리)
오행심(五行心)..활쏘기를 위하여 실천해야 할 5가지 마음가짐.(弓箭體信念)
오관(五官) ......코(鼻), 귀(耳), 눈(目), 혀(舌), 입(口).
오금............ 무릎의 구부러지는 오목한 안쪽 부분. ≒곡추(曲䐐) · 다리오금 · 뒷무릎
오금고(Tiller Hight).. 활의 손잡이와 시위(弦)와의 폭을 말한다. 저고(底高)와 같은 의미.
오금폭 ....... 오금고와 같은 말이다.
오덕(五德) ..... 얼굴을 움직이지 말고, 표정을 일그리지 말고, 자세를 편안히 하고, 기와 호흡을 고르게 하고 정신을 집중하는 것.
오병(五兵) ......궁시(弓矢), 수(殳:몽둥이), 모(矛:창), 과(戈:칼), 극(戟:갈라진 창).
오장(五臟) ....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
오체(五體)...... 피모(皮毛)골(骨)근(筋)맥(脈)육(肉).
오행(五行) .....동양 철학에서 우주 만물의 변화양상을 주도하는 5가지 원기인 목, 화, 토, 금, 수의 상생과 상극의 변화를 우주와 인간 사회의 현상을 해석하는 이론.
온깍지......... 발시 자세에서 깍지 손을 놓을 때, 각지손 바닥이 어깨 뒤로 넘어가면서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고 각지 팔이 줌팔과 대칭하여 펴주는 자세.
온작질......... 활을 만작하여 당기는 것.
완(腕)........ 팔뚝.
완구비......... 화살이 높이 떠서 날아가는 상태
왕거(王琚)...중국 당나라 측천무후(624∼705)시대 사람으로 사경(射經)의 저자.
요두(搖頭)... 화살촉이 떨면서 나는것. 발시 때, 각지 손의 영향으로 일어나는 병폐.
요소(要素)... 어떤 일의 성립이나 효력발생 등에 없어서는 안될 근본적인 조건.
요파(搖擺)... 화살이 날면서 평쾌하지 않는 비행상태.
용벗............ 보 껍질로 활의 전체를 싼 것.
용의(用意)... ①마음을 먹음. 뜻을 가다듬음 ②기식(氣息)과 신체운동을 계시하고 지배하는 것.
우궁깃......... 꿩의 왼쪽 날개 깃을 사용한 화살 깃으로 우궁 화살에 쓰임.
우는살(嚆矢)..소리를 내는 화살을 쏘아 시작을 알린다는 효시의 의미를 담고 있다.
운시대 ........ 무겁에서 모은 화살을 사대로 실어 보내는 기계식 또는 전기운송장치.
울고도리(鳴鏑)..우는살. 날아가면서 소리를 내는 살. 명적이라 한다.
웃동............ 웃동 이라고도 하며 어깨사이를 말함.
웃아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뿌리가 서로 닿는 부위.
윗장............ 활의 한통 위 부분.
원후(遠侯)... 무과(武科)보사(步射)에서, 2백 40보(步) 거리에, 푸른 베로 높이와 넓이가 1장 8척이
되게 하고, 가운데에 시후(豕侯)를 붙여 정곡(正鵠)을 만들어 세운 과녁(侯).
월촉 .......... 활을 너무 많이 당겨 촉이 줌을 지나 쑥 들어오는것.
웅후(熊侯)....대사례를 비롯해 국왕이 사용하는 한 곰이 그려진 과녁.
원후(遠侯).. 멀리 있는 표적을 말한다. 무과에서는 사단에서 240보 거리에 설치됨.
유(留)......... 화살이 과녁의 아래를 맞힌 것을 이르는 말.
유사(有司) ...활쏘기 사무를 맡아 행하는 사람.
유연성(柔軟性)..부드럽고 연한 성질.
유열각지..... 걸어 당기도록 길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으며 숫각지 라고도 함.
유엽전(柳葉箭)..각궁에 사용하는 죽시(竹矢).
유향(劉向) ....전한 말기(BC206∼BC8)경 최초의 사법서인 열여전(烈女傳) 저자
육기(六氣) ..... 1. 중국 철학에서, 천지 사이에 있다는 여섯 가지 기운. 음(陰), 양(陽), 풍(風), 우
(雨), 회(晦), 명(明). 2 사람 몸에 흐르는 여섯 가지 기운. 호(好), 악(惡), 희(喜), 노(怒), 애(愛),
낙(樂)을 이른다. 3 음양(陰陽)의 여섯 가지 기운. 한(寒), 서(暑), 조(燥), 습(濕), 풍(風), 화(火).
육량전(六兩箭)..철전(鐵箭)으로 무게가 6량이 되는 화살.
육례(六禮) ...유교사회에서 행하여지는 여섯가지 큰 의식. 관, 혼, 상, 제, 향음주, 상견.
육예(六藝)... 고대사회에서 전인교육을 위하여 익혀야 했던 6가지 과목.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육십갑자(六十甲子) ..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배합하여 늘어놓은 것.
은각지...... 각지의 뿔 안쪽에 백색의 둥근 테가 있는 것.
은오절 ....... 상사에 감춰진 마다.
음양(陰陽)... 우주 만물을 만들어 내는 상반된 성질의 두 가지 기운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우주나 인간의 상반된 성질의 두 가지 기운이 서로 균형을 맞추어 가려는 특성을 말함.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우주나 인간 사회의 모든 현상 및 만물의 생성 소멸을 음양과 오행의 소장
(消長), 변천으로 설명하려는 이론.
응덩이 ....... 엉치
응심(凝心)... 마음을 모으고 정신을 집중하는 것,
응력(應力)... 활 날개의 변형력(變形力), 인장응력(張力)을 말한다.
이념(理念)... 경험을 초월하여 순수한 이성에 의하여 얻어지는 관념.
이성(理性)... 사물의 이치를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도리에 따라 판단하거나
행동하는 능력.
이정분(李呈芬)...중국 명나라 시대 사경(射經)의 저자(1366∼1644)
이중화(李重華)... 조선의 궁술 저자(1929).
일순(一巡)... 한번에 차례대로 돌아가며 화살 5개를 쏘는 것.
일획(一劃)... 관사 과녁에 10순(巡)을 쏘는 것. 즉 50시(矢)를 말한다.
외촉 ........... 쇠촉의 경우 살촉의 더데 아랫부분.
인프라(infrastructure)....생산이나 생활의 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물
의산문답(醫山問答)... 조선 후기, 홍대용이 지은 책. 중국 청나라를 왕래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실옹(實翁)과 허자(虛子)의 문답 형식으로 우주와 인간의 문제 따위를 논하였다


- ㅈ -
자경마(自牽馬)..말을 탄 사람 스스로가 고삐를 잡고 말을 모는 일.
자표 ......... 화살에 1, 2, 3, 4, 5의 숫자를 표한 것.
자세 ......... 시위를 당겨 만작한 상태의 외적 모양새.
작현(斫弦) .. 화살을 내보내고 윗 고자를 앞으로 쓰러뜨릴 때 줌손이 줌통을 너무 꽉 잡고 있어
손목을 들어주지 못하는 것
잔대 ......... 벌주(罰酒)잔을 바치는 것.
잠심(潛心).. 마음을 가라앉혀서 깊이 생각함.
장(掌) ...... 손바닥.
장 ............ 활의 수량을 셀 때 쓰는 말.
장군전(將軍箭)..무게 3-5근이 되는 포노(砲弩)로 배를 파괴하는데 사용하는 화살.
장궁(長弓)...도고지 밑까지 뿔로 댄 활. 즉 긴 뿔을 댄 각궁을 말한다.
장근(掌根)...손바닥의 뿌리라는 의미로, 새끼손가락 의 뿌리 근절부위를 말한다.
장무 ......... 행수 밑에서 활토의 일을 실제로 관리하고 정리하는 사람.
장사위(將射位).... 무과에서 활을 쏘는 자리. 서쪽 뜰 옆에 동쪽을 향하여 설치.
장심(掌心)...손의 범아귀 부위로 손가락 골절이 없는 부분. 호구(虎口)와 동의어.
장전(長箭)...무게가 한량 반 정도 되며 전시에 사용하는 화살.
장전(帳殿)....임시로 설치한 왕의 않는 자리.
장족(獐足)...나무과녁의 박힌 화살을 뽑는 노루발 같이 생긴 기구
장족마치 ... 화살 뽑을 때 장족을 두드리는 망치.
장족한량(獐足閑良)..장족(獐足)을 가지고 과녁의 살을 뽑는 한량.
장지(掌指)... 손바닥의 손가락.
장안편사(長安便射)..서울의 활터를 세 구역으로 나누어 치루었던 활쏘기 대회.
장편전(長片箭)...장전과 편전의 줄임말.
저고(底高:Tiller Hight)....시위를 얹었을 때 시위와 줌통의 간격.
적(的) ....... 활을 쏠때의 표적.
전단(箭端).. 나무막대 위에 한 줄의 홈을 새겨 놓고, 살대를 홈을 따라 끼워 천천히 당기고 밀면서 휜 화살을 곧게 잡는 도구.
전대(戰帶).. 군복에 띠는 남색 띠
전대(箭帶).. 화살을 꼽기위해 허리에 두루는 궁대(弓帶).
전동(箭筒).. 화살을 담는 통, 죽(竹), 지(紙), 오동나무 등이 많이 사용된다.
전립(戰笠)...투구속에 쓰는 벙거지
전복(戰服)...조선시대 동달이 위에 입던 소매가 없고 뒤 솔기가 째진 군복.
전사과녁 ... 내기 할 때 쓰이는 과녁
전심(箭心)...화살에 대한 특성에 대하여 궁사가 자신의 마음처럼 안다는 뜻이다.
전우(箭羽)...화살대의 오늬 가까운 곳에 3치 길이로 자른 깃털 3개를 부레로 만든 아교로 붙여 정(鼎)의 세 발과 같게 만드는 것
전인교육(全人敎育)...지식이나 기능 따위에 교육에 치우치지 아니하고, 인간으로서의 살아가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교육의 세 가지 심적 요소인 지성, 감정, 의지를 균형 있게 갖추어 원만한 인격을 지닌 사람으로 교육하는 것.
전통복장 .. 이어 내려오는 사상·관습·문화 등의 핵심을 이루는 내용이 담긴 복장.
전통조승.... 전통을 달아서 허리에 차는 쇠나 뿔로 만든 것.
전통주머니. 두루주머니
절피(Nocking Point).... 시위에 오늬를 놓기 위하여 실로 턱을 만들어 놓은 것.
점경(粘勁)... 물체와의 접촉을 신체감각을 통하여 버티는 힘.
점심살 ....... 땅바닥에 맞고 튀어 과녁을 맞춘 살.
점화 ........ 각궁의 보온 조절을 위하여 탄력을 유지하기 위한 열보온 장치.
점화통 ...... 활을 보관하기 위하여 알맞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만든 상자.
점현(墊弦)....활시위를 당겼을 때 깔개가 시위를 높게 괴어 팽팽하게 하여, 화살을 쏜 후 그 반발력을 막아 활을 상하지 않도록, 거문고의 기러기발과 같은 작용을 한다.
접장(接長)....보부상의 우두머리라는 용어였으나, 활터에서 첫 몰기를 한사람에게 축하의 의미로
높여주는 말로 사용하고 있으나 높임말은 접주(接主)이다.
정(正) ...... 과녁. 후(候)의 관(貫)을 가리킴.
정의(井儀)......활을 가득 벌린 모습이 井같은 모습이 되는 것이나, 화살이 꼽힌 모양이 井같은것.
정간(正間)......지구를 중심으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칠요(七曜) 행성인, 해(日)와 달(月),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이 180년을 주기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
정곡(正鵠)..주례(周禮) 천관(天官) 사구(射毬)편에, 활을 쏘아 맞히는 4종류의 과녁인 질(質:사방 네치/13cm), 정(正:사방 두자/60cm), 후(侯:사방 10자/3m) , 곡(鵠:사방 넉자/120cm) 과녁 중에서, 중간 규격 과녁인 "정"과 적은 과녁의 이름을 딴 명칭.
정량궁(正兩弓)..모양은 각궁과 같은 큰 활.
정사관(正射貫).. 정면에서 쏘아 꿰뚫는다는 의미를 더하여 표기한 과녁 명칭.
정순 ......... 궁사가 10순(50발)의 활을 정식(正式)의 순(巡)으로 쏘는 것을 말한다.
정심(正心)...활쏘기를 하는 자세에서 몸체의 쌍분의 바름을 말한다.
정의(井儀)... 활을 가득 벌린 모습이 우물(井)같은 모습이 되는 것을 말한다.
정지(正志) ...화난 기세로 활을 벌리고 편안한 기세로 화살을 내보낼 수 있는 마음이 안정된 상태.
정지심법(正指心法) .. 활쏘기의 실기(實技)로 안법(眼法), 수법(手法), 족법(足法), 신법(身法).
정체성(正體)...변하지 않는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성질, 독립적 존재.
정체성(停滯)...사물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머물러 있는 특성.
정탈목(違和)....... 도고지 밑의 굽은 부분.
정혜(淨慧)...마음을 한곳에 머물게 하는 ‘정(淨)’과, 현상인 사(事)와 본체인 이(理)를 관조하는 ‘혜(慧)’를 아울러 이르는 말.
재대(指帶)...시위를 당기거나 놓을 때 줌손이나, 각지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구.
재수(提手)... 앞팔은 너무 낮고 뒤팔은 너무 높은것
제명(除名)..봉건시대의 잔재로 구성원의 자격을 박탈하기 위한 용어이다.
조궁장(造弓匠).... 활을 만드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 (궁방장이·궁장이·조궁장이)
조막손이.... 굽은 화살을 열을 가하면서 바로 펼때 사용하는 기구.
조선(朝鮮)...상고(上古)시대 사용한 우리나라의 국명.(단군, 위만, 근세조선)
조선사법......한국의 전통사법인 엄지손가락으로 활을 당겨 사용하는 방법.
조선의궁술..1929년 황학정 이중화가 발행한 궁술 도서.
조준선정렬(Alightment)..궁수의 눈으로부터 화살촉과 과녁 중심간의 조준내용이 일치한 직선.
종대 ........ 편사 때 마지막으로 쏘는 사람.
종띠 ........ 편사놀이에서 한패를 나눈 각 무리 가운데서 수띠 다음가는 사람
종순(終巡)..막순
쪽 ........... 절반이라는 뜻으로, 시위를 당길 때 양팔의 균형이 맞지 않아 한쪽으로 몰리는 것.
좌견천리(坐見千里) : 앉아서 천리를 본다는 뜻으로 미래를 잘 헤아린디는 사자성어.
좌궁•우궁...시위를 당기는 사람이 사용하는 팔에 따라 좌,우궁이라 부른다.
좌궁깃...... 꿩의 오른쪽 날개 깃을 사용한 화살 깃으로 좌궁 화살에 쓰임
주(注)...... 힘과 정신을 집중함으로써 주의를 모으는 것
주(肘)...... 팔꿈치, 팔뚝.
주살(弋箭)..........높이 세워놓은 대나무 끝과 오늬에 줄을 매어 쏘는 화살.
주살대...... 장대 끝에 줄을 메달고 그 끝에 화살을 메달아 놓은 장치.
주살질...... 주살대에 걸린 주살로 발시 연습을 익히는 것.
주와(肘窩)...팔꿈치의 우묵한 곳.
주역(周易)...고대 중국의 철학서로 육경(六經)의 하나. 만상(萬象)을 음양 이원으로 설명하여, 그 으뜸을 태극이라 하였고 64괘를 맞추어 철학·윤리·정치상의 해석을 덧붙였다.
주용(朱墉)....청나라 시대(1700년대) 무경칠서휘해(武經七書彙解)의 저자.
주체성(主體)..자기 의사로 자유롭고 자주적인 성질
주피(主皮)..활로 과녁을 쏘아 약속한 점수를 먼저 채우는 내용의 경기.
죽머리...... 활잡은 어깨 부위.
죽지 .........어깨.
죽지떼다.....활을 쏘고 어깨를 내리다.
준요좌과(蹲腰坐胯)... 평소의 자세보다 두 발을 약간 더 벌린 상태에서 뒷다리를 약간 구부려서
허리를 낮추는 자세
줌 .......... 주먹의 준 말로, 활의 손잡이를 쥐는 손.
줌가리심.....줌 위에 올리는 소힘줄.
줌뒤 ........ 줌손의 뒷 방향.
줌앞 ........ 줌손의 앞 방향.
줌통 ........ 활의 한가운데 손으로 쥐는 부분.
줌피 ........ 줌을 싼 피(皮).
중구미...... 활을 잡은 팔의 팔꿈치
중용(中庸)...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저작으로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에 있는 중용(中庸)이 송(宋)나라 때 단행본이 된 것으로,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와 함께 사서(四書)로 불리고 있다. ‘中’이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庸’이란 평상(平常)을 뜻하며, 인간의 본성은 천부적(天賦的)인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그 본성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되므로 본성을 좇아 행동하는 것이 인간의 도(道)이며, 도를 닦기 위해서는 궁리(窮理)가 필요하며, 궁리를 교(敎)라고 한다.
중전(重箭) ..무거운 화살
중지(中指)...가운뎃손가락. 장지(長指).
중포 ........ 소포보다 큰 솔.
중후(中侯)...무과(武科) 보사(步射)에 쓰는 과녁의 하나. 사단에서 1백 80보(步)의 거리에 세우는 것
중힘 ........ 실중힘 다음가는 활로 中力이라 함.
지(持)....... 앞 팔은 버티듯이 하고 뒷 팔은 나무 가지처럼 펴기 위하여 버티는 것.
지기(指機)..강한 활(弩)을 손으로 당기는 기기.
지도자...... 남을 가르쳐 이끄는 사람.
지성(知性).. 지혜로운 성품. 인간의 심리현상의 知, 情, 意
지식(知識)...알고 있는 내용이나 사물.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하여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
지지(地支)...육십갑자의 아래 단위를 이루는 요소.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이다.
지엽법(指葉法)...각지 손가락을 시위에 걸고 중지로 엄지손가락을 감아쥐는 방법.
지체(肢體) ...팔다리와 몸.
지화자대.... 한 순중 마지막 5시를 가리키는 말.
진법(陳法)...안진(雁陣), 학익진(鶴翼陣) 따위와 같이 전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진(陣)을 치는 방법.
진전(眞詮)... 참된 깨달음. 진리를 나타낸 글귀. 참뜻.
짧은작 ...... 길이가 짧은 화살.
쪽활 ......... 줌손의 바깥쪽, 즉 줌뒤로 나가는 것.

- ㅊ -
참나무........ 줌을 만드는데 쓰인다.
참선(參禪) ... 선사(禪師)에게 나아가 선도를 배워 닦거나, 스스로 선법을 닦아 구함.
창밑 ........ 목소의 중간부분부터 전탈목 까지를 말함.
천간(天干).......육십갑자의 위 단위를 이루는 요소.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이다.
척계광(戚繼光).....명나라때 장수로 기효신서(紀效新書) 저자
천공개물(天工開物)....명나라 송응성(宋應星:1587-1648)이 지은 산업기술서, 실제적인 활 제작을
바탕으로 작성된 공학기술백과사전.
천지현황(天地玄黃)...활이나 포의 강도와 무게의 차등 수자를 메길 때 사용한 단위로, 탄력성 정도
에 따라 강궁(强弓), 중궁(中弓), 연궁(軟弓)으로 나누며, 강궁의 시위는 삼겹실로 240겹, 중궁은
210겹, 연궁은 180겹을 하였다.
철갑(鐵甲) ........ 쇠붙이 판을 옷 곁에 붙여 지은 갑옷.
철궁(鐵弓).. 철로 만든 활.
철전(鐵箭)....살촉이 쇠로, 육량전(六兩箭), 아량전(亞兩箭), 장전(長箭) 3종이 있다.
철학(哲學)....인간이 존재하는 이유와 가치를 있게 해주는 사고의 밑거름인 지혜를 통하여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인생관관 세계관을 탐구하는 학문.
철태궁(鐵胎弓)..활채(弓幹)를 쇠로 만든 것. 전쟁과 수렵에 모두 사용.
첩경문(捷徑門)..주용(朱墉)이 저술한 사법인단(射法引端)에서 활을 배우는 길이란 의미로 말함.
체절(體節, segment) .. 동물의 분절적(分節的)인 입체구조의 단위로서 환절(環節)이라고도 하며,
근절(筋節)·척수신경 및 척추(脊椎)의 분절에서 볼 수 있다.
체심(體心).. 활, 화살을 다루는 주체로서 바른 자세에 대한 자신감을 뜻한다.
채쭉뒤...... 각지손을 당길 때 각지 손을 훔쳐 쥐고 팔회목으로만 당기는 것.
초순......... 처음으로 쏘는 한 순
초절(梢節).. 나뭇가지나 마디의 끝.
추축점(Pivot Point:樞軸點)..활에서 줌손의 압점과 닿는 지점
출전피....... 줌 위 옆에, 화살이 놓이는 곳에 가죽을 붙여 활과 화살의 마찰로 인한 흠을 예방하고 발시 때 화살의 마찰을 줄여주기 위하여 부착한 부품.
초시례....... 사대에 서서 첫발을 내기 전에 하는 인사.「활 배웁니다」.
촉(燭) ...... 화살의 쇠끝 부분.
촉돌이 ...... 살촉을 뽑거나 박는 기구.
촉바람 ...... 활을 쏠때 앞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출전피 ...... 파수(把手) 위 옆에 화살이 땋는 곳에 가죽을 붙인 것.
총무 ......... 행수 밑에서 활토의 일을 실제로 관리하고 정리하는 사람.
충빠지는것..화살이 떨며 가는 것을 말한다.
치........ 쇠뿔로 만든 술잔. 벌주를 마시게 할 때 사용됨.
치마죽...... 화살대의 굵기가 촉에서 깃쪽으로 가늘어지는 화살.
칠지단장(漆紙丹粧)..양낭고자 밑에 칠지로 가로 꾸민 장식.
찰갑(札甲) ........ 가죽 판을 옷 곁에 붙여 지은 갑옷.

- ㅋ -
카르마(Karma).. 행위․행동이란 뜻이지만 인연․업(業)으로 풀이하기도 함.

- ㅌ -
탈줌 ........ 흘려쥔 줌
탈파(脫弝)...줌손이 너무 느슨해서 줌손을 앞으로 쓰러뜨리기는 했지만 줌통을 돌려주지 못하는 것.
터과녁...... 거리는 120보에 한하고 습사(習射)할 때 쓰는 소포나 과녁.
터편사...... 한 사정이 한 편씩 편성하여 승부를 가리는 것.
턱깍지...... 암깍지.
토고납신(吐故納新)..도가(道家) 수련법의 한가지로 몸 안의 공기를 토해내고 신선한 공기를 받아
드리는 수련법(심호흡)
토리 ........ 과거에 촉이 쇠 촉일 경우 살대 끝에 씌운 쇠고리.
토성(土城)..무겁 뒤 흙을 쌓아 화살이 멀리 가는 것을 방지하는 곳.
통아(筒兒)..동개와 같은 말로, 말을 타고 쏘기위한 활과 화살을 넣는 주머니.
통아(桶兒)..편전을 쏘기위하여 통로 구실을 하는 대나무로 된 덧살.
태복사(太僕司)....궁중의 여마(與馬), 조마(調馬), 구목(廐牧)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 ㅍ -
파(把)....... 활을 쥐는 부위, 줌통.
파발마(擺撥馬) .. 조선시대 공무로 급히 다른 지역으로 가는 사람이 타던 말.
파수(把手)... 활의 손잡이. 줌(Grip)
파식(帕識)...활을 쏘는 사람의 신분 서열에 따라 서는 두 행렬.
파우(破愚)...무경칠서(武經七書)에 나오는 말로 어리석은 생각을 깨우쳐 준다는 뜻이다.
팔오금 ...... 아래팔과 위팔을 이어 주는 뼈마디의 안쪽 부분.
파폭(弝幅)...활의 줌통의 높이․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의 첫 관절을 모두 합친 길이
팔찌 ........ 한복 등 넓은 소매의 옷을 입을 때 팔소매를 잡아매는 기구.
팔찌동...... 사대에 서는 순서로 좌궁은 오른쪽, 우궁은 왼쪽이 팔찌동 상석이다.
편사(便射).... 예전에, 활 쏘는 사람들이 자기가 속한 사정에 따라 편을 나누어 활 쏘는 기량을 겨루는 행사.
편장 ........ 편사에서 정을 때표하여 선수를 이끌고 참가하는 사람.
편전(片箭)..쪼가리 화살이란 뜻으로 애기살 또는 동전(童箭)이라고도 한다.
평각지 ..... 일반적으로 활을 쏠때 사용하는 각지.
평사 ........ 사대와 과녁의 높이가 같은 조건을 말함.
평작 ........ 길지도 짧지도 않은 화살.
평찌 ........ 화살이 평평하고 낮게 날아가는 것을 말한다.
평활 ........ 연습할 때 쓰는 활.
패러다임(paradigm)...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
폐장(肺臟)... 우리말로 허파라 하며, 가슴안의 양쪽에 원뿔을 반 자른 것과 비슷한 모양의 호흡을 하는 기관.
품(品) ...... 품계(品階)의 순위를 나타내던 말.
품계(品階)...관리의 직위를 나눈 등급. 관계(官階)·위계(位階)라고도 한다.
품새 ........ 활쏘기에서 기본기술을 연결한 연속동작.
모양등을 나타내는 말이며, '새'는 모양새, 맵시(Appearance), 꼴(Shape) 등을 의미한다.
품위(品位)...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위엄이나 기품.
포족(飽足)..마술용어로 말이 약간 달림.
표(標) ...... 활을 쏘아 득점할 수 있는 조준을 위하여 선정한 위치 점.
풍우전(風羽箭) ......깃 붙이는 곳을 움푹 들어간 홈통처럼 깍아, 와류(渦流)의 저항력을 갖게하여 화살이
안정되게 날수 있도록 만든 화살.
피두전(皮頭箭)..화살 끝에 가죽을 입힌 연습용 화살.
핍(乏)) ..... 사례를 거행할 때, 가죽으로 만든 병풍형상의 화살을 피하기 위한 도구.

- ㅎ -
하띠 ........ 연전띠 내기할 때 화살을 가장 적게 내거나 화살을 나중에 던져 짠 띠.
하말 ........ 사말과 같은 말.
하사 ........ 사대를 기준으로 과녁의 높이가 낮은 조건을 말함.
학무 ........ 깍지 손을 온 깍지 형태로 발시 하는 자세.
한량(閑良)..본래는 조선조 호반을 말하며, 무과에 합격한 사람.
한량대 .... 지화자대와 같은 말.
한배 ........ 화살이 제턱에 가는 것.
한오금 ..... 시위를 걸었을 때 시위와 활의 높이를 측정하는 부위
한통 ........ 과녁판의 범위와 같은 말로, 화살이 과녁판 안으로 날아가는 것.
합수(合手)....당기는 활의 기울기가 두 손바닥이 합하여 기원하는 손바닥의 기울기를 나타냄.
합성궁(合成弓)....대나무나 목재를 주재료로 만든 활에서 발전하여 물소 뿔과 같은 동물의 소재와 민어풀을 이용한 접착으로 활의 성능을 강화한 활.
향사례(鄕射禮)..매년 봄(삼짇날)과 가을(중오절)에, 각 향(鄕)의 관리와 유지들이 모여 지역 청소년
들의 활쏘기 기량을 겨루는 행사.
향음주례(鄕飮酒禮).. 온 고을의 선비들이 모여 읍양(揖讓)의 예를 갖추고 활쏘기 대회를 겸한 고을
행사를 통해, 향약(鄕約)을 낭독하여 양풍미속을 유지․진작하고 청소년의 예절교육과 궁체의 향상
을 위한 고을의 정기행사.
해갑순 ..... 종순과 같은 말로, 무사가 갑옷을 벗는다는 뜻에서 사용되었음.
해궁(解弓) ........ 점화하여 시위를 걸어 활의 균형을 살피면서 바르게 조절하는 것.
해탈(解脫).. 번뇌의 얽매임에서 풀리고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남. 열반과 같이 불교의 궁극적인 실
천 목적. 유위(有爲) 해탈, 무위(無爲) 해탈, 성정(性淨) 해탈, 장진(障盡) 해탈 따위로 나누어진다.
해태(懈怠)..보통은 게으르다는 뜻이나, 화살의 비행이 둔하고 막힌듯함을 말한다.
행수(行首)..사두를 보좌하는 지위의 사람으로 부사두 수준의 사람(교장과 동격).
해식(楷式)..활을 당겨 벌릴 때, 흔들리는 모습과 불편한 기색 없이, 몸을 편안하게 하고 숨을 가다듬어 심지(心志)를 한결같게 함을 말한다.
허리간마디..화살의 중간부분 마디 부분
허리심 ..... 살의 중간부분의 휨의 크기.
허자(虛字)... 사물의 상태나 동작을 나타내는 글자. 비(飛), 행(行), 주(走), 고(高), 저(低) 따위이다.
헐겁지 ..... 깍지’의 옛말로 가죽으로 제작되어 엄지손가락에 걸어 사용하여 오늬가 검지 뿌리 부분을 치구 나가면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내용을 방지하기 위한 용구.
현(弦) ...... 활의 시위, 활줄.
현(懸) ...... 달려 있거나 메어 있는 것.
현심(弦心).. 시위 상에 화살을 올려 놓기위한 부분으로 절피와 의미와 같다.
호구(虎口)..엄지와 식자사이의 손가락 골절이 없는 부위.
호마(胡馬) ....... 만주나 중원의 북방지역에서 생산되는 말.
화용(和容).. 궁사의 풍채와 발시에 대한 내용이 음률과 일치한가에 대한 내용.
호기(呼氣).. 기운(氣運)을 내붊. 내쉬는 숨. 곧, 허파에서 공기(空氣)를 내보내는 숨
홍심 ........ 과녁 중앙에 원형의 적색으로 표시된 부분.
화살 ........ 끝에 촉을 꼽고 세 줄로 새의 깃을 붙여 활로 쏘아 보내도록 만든 것.
화전(火箭).. 촉에 불을 달고 쏘는 화살.
화초한량....각궁을 남이 얹어주어야 활을 쏘는 활량.
화피(樺皮)..벚나무 껍질로 활을 감싸, 장식과 함께 방수의 기능이 있음.
활 ........... 화살을 메겨서 쏘는 기구. 댓개비나 단단한 나무나 쇠, 뼈 따위를 휘어서 반달 모양의 몸체 두 끝에 시위를 건 다음 줄에 메워 줄의 탄력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도구.
활고자...... 시위의 양쪽 올가미 부위.
활잡이...... 활쏘기에 능한 사람.
활집 ........ 부린 활을 넣어두는 주머니.
활짱 ........ 활의 몸체.
활창애 ......이어 붙여 겉모양이 이루어진 활 몸체를 걸고 전체 모양을 바로잡는 틀.
활채 ........ 활에서 화살을 날려 보내 주기 위한 탄성 물체. 예전에는 물소 뿔에 참대, 소 힘줄 따위를 여러 겹 붙여서 만들었는데, 오늘날에는 카본, 유리 섬유 따위와 같은 탄성이 좋은 화학
활터 ........ 활을 쏠 수 있는 곳.
획자(獲者)..화살을 주워 모아오는 시동(侍童).
획창(獲唱)..살이 적중 시, 획관(獲貫) 옆에서 맞혔소 하고 외치는 사람.
후도(帿道)..사대에서 과녁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순수한 우리말은 바탕이다.

'활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  (0) 2016.06.13
사법 점검표  (0) 2016.06.09
보우라인 매듭  (0) 2016.06.08
죽시 관리법  (0) 2016.06.02
각궁제작 2  (0) 2016.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