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림. 2.당김 3. 겨눔 4. 쏨 5. 처리 6. 기타 7. 의견
[1 차림]
1. 발 : 非丁非八. 丁자. 八자. 양궁 쏘는 듯
2. 발 힘 : 앞발. 양발. 뒷발
3. 다리 힘 : 힘주고 선다. 힘 안준다.
4. 몸 중심 : 발가락. 장심. 뒤꿈치
5. 몸과 관 : 관과 정면으로 향해 선다. 모로 선다.
6. 가슴 : 허하다. 실하다. 벌어진다.
7. 볼거름 : 배를 내민다. 볼거름 팽팽하다. 엉덩이가 빠진다.
8. 몸의 각도 : 뒤집어 짐. 곧곧 함. 앞으로 숙임.
9. 목덜미 : 곧게하고 느린다. 오무린다. 구부린다.
10. 턱 끝 : 죽머리와 가깝게 묻는다. 들린다. 돌아있다.
11. 눈 : 왼쪽 눈. 오른쪽 눈. 두 눈으로 본다.
12. 줌 쥐는 법 : 흘려 거드쳐 쥠. 막 짐. 흙 받귀 쥠.
13. 줌손힘 : 힘없이 잡는다. 가볍게 잡는다. 처음부터 힘주어 꽉 잡는다.
14. 손가락 : 식지가 엄지보다 높다. 엄지가 식지보다 높다.
15. 손안의 공간 : 줌통과 하삼지 사이 공간이 있다. 없다.
16. 줌팔형태: 굽힘. 가볍게 폄. 강하게 뻗음.
17. 줌손위치: 줌 뒤. 관과 바로. 줌 앞.
18. 줌높이(눈기준): 낮다. 눈 위치. 높다. 아주 높다.
19. 활 각도: 직립. 약간 엎음. 좀더 엎음. 아주 엎음.
20. 활 각도 직립 기준점: 관혁 어딘가에 있다. 없이 감각적이다.
21. 각기: 외가락. 3지. 5지.
22. 각지와 화살: 껴낀다. 조금 띠운다. 많이 띠운다.
23. 각지 힘: 가볍게 잡는다. 힘준다. 강하게 힘준다.
24. 각지 중구미 위치(어깨기준): 낮다. 같다. 높다. 아주 높다.
[2 당김]
1. 당김형태: 줌을 펴놓고 당김. 줌과 각지 동시. 각지 먼저 안착 후 줌 민다.
2. 당김방향: 머리위로. 뺨. 턱 밑으로. 가슴쪽으로
3. 죽머리: 죽머리를 틀어넣는다. 그냥 당긴다. 풀고 반반히 밀며 당김.
4. 활의 각도: 직립. 약간엎음. 좀더 엎음. 아주 엎음.
5. 허리: 튼다. 많이 튼다. 틀지 않는다.
6. 가슴: 허하다. 실하다. 벌어진다.
7. 볼거름: 배를 내민다. 볼거름이 팽팽하다. 엉덩이가 빠진다.
8. 몸의 각도: 뒤집어짐. 곧곧함. 앞으로 숙임.
9. 목덜이: 곧게 하고 느린다. 오모린다. 구부린다.
10. 턱끝: 죽머리가 가깝게 묻는다. 들린다. 돌아간다.
11.각지당김: 중구미와 등힘으로 당긴다. 회목으로 당긴다. 채죽 뒤.
12.각지: 둘러맨다. 옆으로 당김. 어깨 붙임. 들각지
13.화살: 붙지 않는다. 붙는다.(입술위. 입술밑. 턱. 턱밑)
14.현: 가슴에 붙지 않는다. 약간 붙는다. 심하게 붙는다. 쌍현이 진다.
15. 줌팔: 다 펴인다. 펴이지 않는다.
17. 줌손 중구미: 붕어 죽. 앉힌 죽. 엎은 죽
18. 여유: 줌손이 여유 있다. 줌과 각지 여유. 여유 없다. 각지 여유.
[3 겨눔]
1. 표: 촉. 엄지. 하삼지. 활아랫 장. 공중에 뜬다.
2. 시간: 처음부터 표에다 박고 당김. 당김과 동시 맞춤. 당긴후 맞춤.
3. 표 위치: 관의 줌 뒤. 가운데. 관의 줌 앞. 먹관.
4. 정확도: 정확하다. 대충.
5. 표를 맞춤시 자세도 한번 확인한다. 아니다.
[4 쏨]
1. 유전: 속사. 정당히 유전한다. 지사
2. 의식: 방전을 의식한다. 저절로 벗어진다.
3. 가입: 퇴촉. 연삽히. 가입. 가입심하다.
4. 방사형태: 줌과 각지 두끝으로 쏜다. 가슴을 밀며 쏜다. 몸을 뒤집을 정도로 벌이며 쏜다.
5. 방전주체: 줌으로 밀어 쏨. 줌과 각지 동시. 각지 당겨 쏨.
6. 좀손힘점: 반 바닥과 등힘으로 민다. 온 바닥으로 민다. 하삼지가 풀리고 웃아귀가 밀린다.
7. 줌손처리: 줌을 꺽으며. 곧바로. 하삼지 받치며. 활을 비튼다.
8. 줌손각도: 관쪽으로 떠오름. 꼼짝않음. 바닥으로 떨어짐.
9. 줌으로 벗겨 쏘기 전 먼저 각지부터 힘을 준다. 아니다.
10. 각지: 각지 중구미 힘주며. 회목으로. 쥐어 짬.
11. 각지형태: 붕 뒤. 두벌 뒤. 강하게 뒤로 남.
12. 각지로 당겨 쏘기 전 먼저 줌부터 힘을 준다. 아니다.
13. 각지가 잘 빠지지 않는다. 잘 빠진다.
14. 방전 순간에 줌 손에 힘이 빠진다. 끝까지 힘 준다.
15. 줌 팔이 다 펴인다. 펴이지 않는다.
16. 방전이 맹열하다. 아니다.
17. 이전시 기운과 숨을 마시며 방사한다. 아니다.
[5 처리]
1. 방사순간 활이 손 안에서 틀어진다. 아니다.
2. 이전후 몸이 앞으로 기운다. 변함없다. 뒤로 넘어진다.
3. 화살방향: 줌 뒤로 떠서 관으로. 곧바로. 줌 앞으로 떠서 관으로.
4. 빰이나 귀를 친다. 아니다.
5. 팔을 친다. 아니다.
6. 손목을 친다. 아니다.
7. 깃이 줌손 엄지를 훑고 지나간다. 아니다.
8. 현이 각지손 식지를 친다. 아니다.
9. 활을 거두는 시간: 바로 내린다. 우뚝 들었다 내린다. ㅓ
10. 활을 거두는 각도: 몸 밖으로. 볼 거름으로.
11. 현의 위치: 들 떨어짐. 중앙(각궁 경우 얹은상태 그대로). 날 떨어짐
12. 살이 나간 후 발을 옮긴다. 그대로 꼼짝 않고 서 있다.
[6 기타]
1. 집궁제원칙: 모른다. 안다. 외운다. 지킨다.
2. 활과 화살: 몸에 맞다. 아니다. 모른다.
3. 표: 항상고정. 자유로이 옮긴다.
4. 발시 명령에서 방사까지 시간: 약10초. 15초. 20초. 25초. 30초 직전.
5. 바람 불 때: 표 옮긴다. 강하게 쏘아 바람을 이긴다. 활이나 각지 각도로 조정한다. 쏘임을 바꾸어 조정한다.
6. 호흡: 들어 마시며. 내쉬며. 호흡을 중단하고.
7. 활이 몸에 안겨 하나 된 기분이다. 몸에서 뜬 것 같다.
8. 지금의 활과 화살이 조금 몸에 맞지 않아도 그냥 쓰겠다. 활과 화살이 몸에 맞지 않다고 생각되면 주저 없이 바꾸겠다.
9. 자신의 쏘임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다. 아니다.
10. 반구제기 한다. 아니다.
11. 백번 쏘면 백번을 똑 같이 쏠 수 있다. 아니다.
12. 궁체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하루에 400백 발이라도 그리고 몸에 맞는 활과 화살을 찾기 위해서는 금전적인 투자도 아끼지 않을 각오가 되어 있다. 시간적으로 체력적으로 금전적으로 그만한 투자를 할 수 있다.
[7 의견]
이상의 6개 사항으로 대 분류하여 자기 점검표를 만들었습니다.
지금 막 활을 배우는 신사(접장 및 비 접장)는 물론이고 구사에게도 필요한 사항이라고 생각됩니다.
점검표를 만든 사람 : (경북 경산 경조정 사두 . 渡天 白仁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