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획 33번 선비 사
마치 폭격기를 연상케 하는 글자로 위 가로획의 길이만 서로 다를 뿐 土와 무척이나 닮았다. 士의 十은 손잡이, 아래는 무기의 날을 본떴다. 원래는 무기를 다루는 무사[武士]를 뜻하던 것이 지금은 반대개념의 학문을 하는 사람인 ‘선비’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원래 武(굳셀 무)는 발의 모양을 본뜬 止(그칠 지)와 창의 모습을 본뜬 戈(창 과)가 합쳐진 글자로, 창을 들고 씩씩하게 나아가다는 의미를 가졌다. 오늘날 글자의 구성만으로 전쟁[戈]을 그치게[止]하는 것이 ‘武’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풀이가 적당치 않다. 간혹 ‘보무(步武)도 당당하다’의 경우처럼 ‘발걸음’의 의미로도 쓰이는데, 이때의 걸음을 步(걸음 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이른다.
갑골문을 발견하기 전까지만 해도, ‘하나[一]를 들으면 열[十]을 아는 사람이 선비[士]’라는 이상한 글자풀이는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1899년 갑골문의 발견으로 모두 엉터리 설명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가. 士(선비 사) : 十一士(십일사)[열 십, 한 일, 선비 사] → 士(선비 사)/ 하나(一)를 들으면 열(十)을 아는 사람이라 하여, 선비 사(士)/ 선비가 열심히 공부하여 과거에 급제하면 벼슬을 얻으니 벼슬 사(士). - (활용) 士氣(사기)/ 士兵(사병)/ 壯士(장사)/ 士農工商(사농공상)
나. 壹(한 일) : 士冖豆壹(사멱두일)[선비 사, 덮을 멱, 콩 두, 하나 일]→ 壹(오직 일, 하나 일)/ 선비(士)는 콩(豆)을 심어 가꾸는 농사일은 덮고 오직 학문을 오로지 해야 하니, 오직 일(壹)/ 선비의 할 일은 오직 하나 공부하는 일이니, 이것을 갖은자로 활용하여 하나 일(壹) - (활용) 壹是(일시)/ 壹意(일의)/ 壹拾(일십)원
다. 壽(목숨 수) : 士一工一口寸壽(사일공일구촌수)[선비 사, 덮을 멱, 장인 공, 하나 일, 입 구, 한 치 촌, 목숨 수] → 壽(목숨 수, 장수 수)/ 선비(士)의 한(一) 마디 말(口)은 목숨처럼 소중하고, 장인(工)이 한(一) 치(寸)를 정확히 헤아려 제대로 만든 물건은 ‘수명’이 오래가니, 목숨 수(壽)/ 장수 수(壽) - (활용) 壽命(수명)/ 天壽(천수)/ 長壽(장수)/ 壽宴(수연)/ 祝壽(축수)
라. 士(선비 사) 마을 주민 한자들
士(선비 사)/ 壽(목숨 수)/ 壹(한( 갖은 한 일)/ 壬(북방 임( 천간 임)/ 壯(장할 장)
'한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부수 3획35번 - 천천히 걸을 쇠 (0) | 2017.03.22 |
---|---|
한자부수 3획34번- 뒤쳐져올 치 (0) | 2017.03.22 |
한자부수 3획32번 - 흙/ 땅 토 (0) | 2017.03.22 |
한자부수 3획31번 - 에워쌀 위(나라 국) (0) | 2017.03.22 |
한자부수 3획30번- 입 구 (0) | 2017.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