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공부

한자부수 4획69번 - 도끼 근斤

은오 2017. 4. 6. 13:23

한자부수 469번 도끼 근

도끼날[: ]과 도끼자루[]의 모양이 합쳐진 글자이다. 도끼는 주로 남자들이 사용하는 연장이기 때문에 아들의 상징으로 쓰이기도 하여 아들 낳기를 기원하는 사람들이 간혹 도끼모양의 작은 쇠붙이를 지참하는 풍습도 있었다.



의 부수에 속하는 한자로는 (벨 참), (끊을 단) 등이 있다. 예외적인 경우 중에 부수의 편성 과정 중에 오류라는 생각을 가지게 하는 글자들이 몇몇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글자가 바로 (병사 병)으로 오늘날은 의 부수에 편입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매우 잘못된 부수편제 방법이며 의미로 분류한다면 도끼의 모양을 본뜬 과 두 손을 맞잡고 있는 모양을 본뜬 의 합체자임을 감안한다면 의 부수에 소속되어야 할 것이다.


. ()도끼 : 도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도끼를 뜻하니, 도끼 근()/ 도끼를 저울의 추로 사용했으니 무게 근()/ - (활용) 斧斤(부근: 큰 도끼와 작은 도끼) - (활용) 斤量(근량)/ 斤數(근수)/

 

 

. ()끊을 : 斤斷(계근단)[이을 계, 도끼 근, 끊을 단] (끊을 단)/ 여러 겹으로 이어진[] 실을 도끼[]로 끊는다는 데서, 끊을 단()/ 도끼()로 실을 끊듯이() 딱 잘라 결단하니, 결단할 단() - (활용) 切斷(절단)/ 斷交(단교)/ 斷絶(단절)/ 判斷(판단)/ 決斷(결단)

 

 

. (도끼 근) 마을 주민 한자들

(도끼)/ )/ 날 근)/ (새 신)/ (끊을 단)/ (이 사)/ (물리칠 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