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쏘기

오니의 위치가 위쪽에 있는 이유

은오 2018. 6. 27. 10:09

아마 궁사들이 의문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인데 깊이 파고드는 분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선배가 그렇게 하니까 눈으로 보고 따라 하는 식이다


그러나 우리 궁사는 이것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물론 책에도 나와있는 내용이지만 여기서 간단히 그 원리를 설명해 본다


이론적으로 활이 탄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은 활채의 중앙이다(아래위의 두께가 일정하다고 가정시)

그때 오니의 위치도 현줄의 중앙에 있어야 활과 현줄이 탄력의 최대지점을 일치시킬 수가 있다


문제는 오니를 현줄의 중앙에 설치하면 줌통때문에 활을 쏠 수가 없다(줌통은 줌손이 잡고 있고

줌통을 잡고있는 줌손의 중간부분으로 화살촉이 나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즉 화살의 촉은 안정된 위치인 줌손의 엄지위에 자리를 잡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오니를 줌통의 반정도 길이만큼(줌통길이 8cm, 줌통의 반정도 길이 4cm) 현줄의 중앙에서

위쪽으로 오니를 설치하였다


오니를 올려놓고 보니 문제가 생겼다

오니를 올리기 전에는 활채의 탄력의 중심점이 활채의 중간에 있었는데 오니를 올려놓고 당겨보니

활채의 탄력의 최대점이 아래로 이동하였기 때문이고 그 부위의 탄력의 중심점은 활의 효율성에서

좋지않은 위치가 되고 하장이 너무 많이 휘게 되어 활의 수명문제가 대두된다


활의 최대 탄력의 중심점은 상하가 균등하게 휘일 수 있는 지점에 있다

만약에 하장을 강하게 해주면서 상하를 균등하게 휘일려면

1)하장으로 조금 내려서 줌통을 설치하거나

 (줌통을 하장쪽으로 내리면 하장이 힘을 많이 받게 되어 균등한 휘임이 된다)

2)현줄의 오니를 그 만큼 올려주면 된다.

 (국궁은 줌통은 중앙에 설치하면서 오니를 올렸다. 오니를 올리면 하장쪽에 더많은 힘을 받게 된다)

즉 활과 현줄의 탄력의 최대지점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활의 탄력의 최대지점을 일치시키는 것은 그 활이 가장 효율성이 좋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줌통을 활채의 중앙에 설치하고 오니를 줌통의 반정도 위쪽에 설치하면서 활채의 탄력의

최대지점과 오니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찾다가 보니까 일반적으로 2가지의 방법이 나오고

3번째 방법은 줌통을 내리면서 활과 오니의 탄력 중심점을 일치시킨 방법이다


1. 줌통은 그대로 활채의 중앙에 설치하고 활의 하장을 강하게 한다

  (줌통 중앙설치는 여러모로 편리하다. 한쪽으로 치우친것보다 훨씬 편리성이 있다)

2. 줌통의 아랫부분을 두툼하게 한다

  (아랫부분을 두툼하게 하면 자동으로 밑장을 밀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3. 줌통을 활채의 중앙에서 아래로 내린다


여기서 우리 활은 1번과 2번을 채택한 것이다

그 이유는 애시당초 우리활은 길이가 짧기 때문이고 말을 타고 쏘는 활이기 때문이다


근데 3번을 채택한 활에는 양궁과 일본활이 있다(활이 길이가 긴 경우는 이 방법을 채택하는데

심지어 일본활 같은 경우 줌통을 내리지 않으면 줌손이 너무 위로 올라가서 쏠수가 없다)

줌통을 아래로 내려서 활채의 탄력의 최대지점과 오니위치를 일치시킨 것이다

그래서 일본활이나 양궁은 줌통을 기준으로 아랫장이 윗장보다 짧다


궁사분들에 따라 줌통의 위치 ,오니의 위치가 조금씩 다르다. 그건 궁사의 힘쓰는 방향과 자세가

모두 틀리기 때문이다


하장이 강할수록 오니의 위치는 더 위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아래위장을 균등하게

민다면 오니위치를 더 낮출 수도 있는 것이다

균등하게 민다고 하여 아래위장에 동등한 힘을 쓴다는 것은 아니다

왜냐면 활은 하장이 강하게 만들어져 있고 줌통모양이 아랫부분이 두툼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활의 하장을 강하게 하여 제작하여 활과 오니의 탄력 최대지점을 일치시켰음에도 불구

하고 만작시 하장이 훨씬 더 많이 휘었다면 이는 잘못된 것이다. 그 이유는 활채와 오니의 탄력의

중심점을 일치시켰는데 더욱 하장을 밀어주면 탄력의 중심점이 이동하여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

이다

이런 분들은 하장의 강도가 적절한지(아래위장의 한오금에서 현줄까지 간격의 차이가 1cm가 적절)

확인해보고 적절하다면 하장을 미는 힘의 강도를 줄이든가 오니의 위치를 좀 내리든가 또는 활 제조

업자에게 하장이 더 강하게 주문하든가 하는 것이 활의 수명이나 관리에 있어 좋을 것이다



이런 원리를 알고 우리활을 접한다면 우리 선조님들의 그 기묘한 발상이나 탁월함에 저절로 머리가

숙여지는 것이다

'활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막손이  (0) 2018.07.05
궁틀+도지개 (처사님 글)  (0) 2018.06.29
소풍  (0) 2018.06.07
심고매듭 예쁘게 매기  (0) 2018.06.05
점화장 온습도제어기 설치법  (1) 2018.06.02